• Title/Summary/Keyword: 한자 분석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Chinese Character Expressions of Dynamic Poster Design Based on Kinetic Typography Principle - Focused on '24 Solar Terms' Theme Poster -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원리에 기반을 둔 다이나믹 포스터 디자인의 한자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 - '24절기' 테마 포스터를 중심으로 -)

  • Chu, Ziyi;Park, Yong-Ji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10
    • /
    • pp.195-212
    • /
    • 2022
  • Based on the kinetic typography principle and the structure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this study took the Chinese'24 solar terms' theme dynamic poster as the research object, explored the visual expression of dynamic Chinese characters, and tried to summarize the visual expression law of Chinese characters in dynamic poster design. It can be found that, there could be 6 different types of Chinese character expressions in the 24 solar terms poster design. Among them, 'Drawing' design method has the meaning of text structure and form expression, and 'Assembling' design method has the meaning of text stroke and texture association, also, 'Forming' design method bring its meaning through stroke deformation, 'Transforming' design method conveys the content through text disintegration, 'Replacing' design method mainly bring the meaning through simulation, while 'Rotation' design method always express through visual three-dimensional and space. Finally, the findings could not only provide analytical logic and methods for the expression of Chinese characters in dynamic poster design, but also fill the lack of formative research on dynamic Chinese characters, which hopefully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related to dynamic Chinese character structure, as well as the dynamic poster designers.

한국판 실어증 감별진단 검사법 시안(1)의 표준화에 있어서 한국 정상대조군을 중심으로 한 쓰기능력 검토

  • 박혜숙;사사누마스미꼬;선우일남;나은우;신정순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4.06b
    • /
    • pp.85-85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쓰기 과제에 있어서 득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연령차인지 학력 차인지를 검토하였다. 연구대상은 40세 이상의 정상자 162명이며 남성 82명, 여성 80명으로서 다음의 3가지 조건을 갖춘 자로 하였다. 1) 정신·신경학적인 기왕력이 없을 것, 2. 오른손잡이이며, 3. 교육수준은 최저 국민학교 졸업이상인 것 등이다. 검사 항목은 1) 한자 문자의 재현, 2) 한자 단어의 스스로 쓰기, 3) 한자 단어의 받아쓰기 등이며, 검사득점 분석결과 한자의 쓰기 능력 득점에 영향을 주는 것은 학력 차보다는 오히려 연령차이에 의한 영향이 주 요인인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phonetics-Centered Chinese character Lecture on Quantitative EEG (성부 중심 한자강의가 정량화 뇌파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Byeong-Chan;Weon, Hee-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12
    • /
    • pp.482-492
    • /
    • 2019
  • This study began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phonetics-centered interpretation of 100 Chinese characters would enhance thinking ability and comprehension. For this purpose,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mparative group were recruited from the graduate students from June 3, 2017 to February 22, 2018.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phonetics-centered Chinese character lecture for 4 hours per week for 6 weeks for a total of 24 hours. QEEG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honetics-centered Chinese character lecture. A total of 18 subjects ( nin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 comparative subject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nd the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QEEG of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was analyzed, respectively.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nese character lecture changed brain waves. Second, the LORETA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lecture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elta wave in the brain region (Broadmann 40) associated with the meaning of language and phonology. This study result is meaningful because it shows the significant changes of EEG via the lecture.

Shale을 왜 '혈암'이라 하는가?

  • Lee, Chang-Jin;Ryu, Chun-Ryeol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24-24
    • /
    • 2010
  • 중등 지구과학교과서와 대학 교재에서 학습하는 광물과 암석 이름은 대부분 영어, 한자, 일본어에서 도입한 용어이다. 이 용어에 대한 어원과 말뜻에 대한 분석이나 연구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로 사용해왔기 때문에 지질학 초보자들이 학습하기에 아주 어렵다. 광물과 암석이름의 어원과 말뜻을 잘 알지 못하고 단순히 외우거나 학술적인 이름이나 의미만을 생각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한 광물이나 암석에 대하여 여러 가지 이름을 사용하기도 한다. 심지어 전혀 엉뚱한 암석 이름이 대중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이를 통제하지도 못하고 그 명칭이 틀렸다는 것도 모르고 있다. 예를 들면 영어로 Shale을 중등 교과서와 대학 교재에서 영어 발음을 따라 한국어로 셰일이라고 표기하지만 중국과 일본에서는 혈암(頁岩)으로 표기한다. 우리나라의 대중 매체의 인터넷 사전과 대중들이 사용하는 용어는 중국어 혈암(頁岩)을 공공연하게 '혈암'으로 표기하고 있다. '혈(頁)'을 한자 사전에서 찾아보면 '머리 혈'과 '책 면 엽'으로 정리되어 있다. 그러면 셰일의 암석학적 특징으로 볼 때 혈암이라고 해야 하나? 엽암이라고 해야 하나? 과학과의 다른 분야에서는 어려운 한자를 쉬운 한글로 표준화하는 연구와 실행을 꾸준히 진행해오고 있다. 생물의 경우 생물의 어려운 학명을 이미 쉬운 한글로 표준화했으며, 그 학명이 학생과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져 있다. 지구과학의 교과서 문장에 나오는 단어와 전문용어가 한자를 한글로 표기한 경우가 많은데 이 단어들을 하루 속히 한글로 표준화하여 전문가들이 먼저 사용하는 동시에 학생과 대중들에게 알려 주어야 한다. 이렇게 되면 지구과학의 내용보다 용어가 어렵다는 인식을 바꾸어 줄 것이고 지구과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줄 것이다. 그 일환으로 광물과 암석 이름의 어원을 조사해 보고 한글 표준화의 가능성을 타진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ctual State of School Mathematics Terms in North Korea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 Park Kyo Sik
    • School Mathematics
    • /
    • v.7 no.1
    • /
    • pp.1-15
    • /
    • 2005
  • In this paper, some characteristics of actual state of school mathematics terms in north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which were issued in 2000-2002, are discussed. In north Korea, terms are expressed in north Korean orthography. Many Chinese style terms are translated into pure Korean terms, but there are still so many Chinese style terms. It is known that there is deep gap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terms. But actually it is not. This means that integr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n terms can be easily realized. It is known that translating Chinese style terms into pure Korean term can be useful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but north Korean experiences tell that we should act with prudence in doing so. We need sufficient discussion in case of north Korean terms which are totally different with south Korean terms. Semantical analysis is needed with preference survey.

  • PDF

The Analysis of Chosun Danasty Poetry Using 3D Data Visualization (3D 시각화를 이용한 조선시대 시문 분석)

  • Min, Kyoung-Ju;Lee, Byoung-Ch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7
    • /
    • pp.861-868
    • /
    • 2021
  •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visualizing big-data, tasks such as intuitively analyzing a lot of data, detecting errors, and deriving meaning are actively progressing.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3D analysis that collects and stores the writing data in Chinese characters provided by the Korean Classical Database of the Korean Classics Translation Institute, stores and progress the data, and visualizes the writing information in a 3D network diagram. It solves the problem when a large amount of data is expressed in 2D, intuitive that analysis, error detection, meaningful data extraction such as characteristics, similarity, differences, etc. and user convenience can be provided. In this paper, we improved the problems of analyzing Chosun dynasty poetry in Chinese characters using 2D visualization conducted in previous studies.

A Study of Gazette Comparison of Google Earth and US Data base -in case of Korea and Taiwan- (구글사의 위성영상과 미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에 나타나는 지명 비교연구-한국과 대만사례를 중심으로)

  • Park, Kyeong;Chang, Eun-Mi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203-211
    • /
    • 2007
  • 세계화의 빠른 진행과 더불어 외국에 대한 정확한 인식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아직도 사실적 오류와 더불어 국제관계에서의 위치 때문에 많은 오류가 남아 있는 점도 사실이다. 그 가운데 미국의 위성영상서비스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구글사의 검색서비스와 미국지리정보국의 지명데이터베이스에 관한 내용을 분석함으로서 문제의 뿌리가 어디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미 구글에 관련된 논문은 Science Direct 검색결과 69개가 검색되고 있을 만큼 전세계적 문화적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전 세계의 지명을 영어로 서비스하고 있는 구글사와 미국의 지명 DB내에 있는 오류사례를 찾아내고, 그 유형을 분석하고, 특히 일제의 강점을 당했던 한국과 대만사례를 비교하는 데 있다. 대만 역시 1945년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으로 인해 일본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지명에도 일본의 영향이 크게 남아 있을 것으로 보고 앞서 나온 유형대로 몇 개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을 들면, 경상남도 남해군 일원의 위성영상을 보면 최소한 3개의 일본식 지명이 나타난다. 우선 해양지명으로 미조만은 Mijo-wan으로 앵강만은 Oko-wan으로 표시되어 있고, 천황산은 Tenno San이라는 지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제주도의 한라산을 지칭하는 표준어는 Halla-san으로 등재되어 있으나 이명으로 소개되어 있는 것이 무려 11개나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Halla-san에 대한 미국의 NGA(National Geospatial-Intelligence Agency)의 지명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앞의 간라산 또는 간다산 등은 일본식 표기임이 확실하며 여기에 오크랜드산(Auckland, Mount)이라고 또한 표기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대만의 경우 총 1,280개의 산악명과 산맥명이 등재되어 있으니 일본어 표기는 하나도 없으며, 영어로 Central Mountains와 Seaboard Mountains두개만 영문표기 지명이 등재되어 있을 뿐이며, 그 가운데 12개는 한자로 표기되어 있다. 국내의 지명이 모두 영문 알파벳으로 표기된 것과는 달리 대만의 경우 한자지명이 그대로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되어 있다. 하천의 경우를 분석해보면 1485개의 지명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24개는 한자지명으로 표기되어 있다. 유형별 분석을 통한 연구결과가 올바른 지명 찾기에 기여하고, 독도와 백두산에 국한된 지명논쟁의 근간을 공고히 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ategory Comparison between Thousand-Character Text and Roget's Thesaurus (천자문과 로제 시소러스 범주체계 비교)

  • Kim, Sang-Rak;Yang, Jae-Gyun;Bae, Jae-Hak J.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85-89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천자문과 로제 시소러스의 어휘 분류체계를 분석하였다. 전처리 작업으로서 천자문과 로제 시소러스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그리고 분석 작업의 용이성과 연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천자문 대응 로제 시소러스 검색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로제 시소러스 총 39개 과(Section) 가운데에서 'Creative Thought' 과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과가 천자문 한자와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Space in General', 'Dimensions', 'Matter in General' 3개의 과가 가장 높은 대응률을 보였다. 상관계수값도 약 0.94로 나타나 천자문 한자와 로제 시소러스의 범주 관련성이 아주 높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PDF

DaHae: Japanese Morphological Analyzer for Japanese to Korean Machine Translation (DaHae: 일한 기계번역을 위한 일본어 형태소 분석기)

  • Yuh, Sang-Hwa;Jung, Han-Min;Chang, Won;Kim, Tae-Wan;Hwang, Do-Sam;Park, Do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195-207
    • /
    • 1995
  • 일본어는 한자, 히라가나, 가다가나 등 다양한 종류의 문자를 사용하며 이들의 혼용 비율이 매우 높아 띄어쓰기를 하지 않아도 문서의 가독성을 유지한다. ICOT 사전, EDR 사전, ATLAS I/JK사전 등 기존의 전자 사전에서 복합 자종의 표제어가 차지하는 비율(한자+히라가나의 표제어 제외)은 평균 8.8%로 그 수가 매우 작다. 따라서, 문장 내에서 자종의 변화는 단어를 구분하는 하나의 delimiter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형태소 분석의 전단계로 전처리기를 두어 자종정보(character type information)에 의한 fragment 분리 및 예외 단어, 정형표현 처리를 수행하며 각 fragment 의 형태소 분석 방법을 제시한다. 형태소 분석기는 전처리기의 처리 결과를 입력받아 각각의 fragment를 전처리기가 제시한 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입력 문장의 가능한 모든 분석을 추출한다. 이 방법은 불필요한 사전 탐색과 접속 체크 회수를 줄여 분석 성능을 향상시킨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