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우 난구복합체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5초

소 난구복합체의 체외성숙시 Okadaic Acid (OA)가 핵성숙 및 Mitochondria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kadaic Acids (OA) on Nuclear Maturation and Mitochondrial Activity of Hanwoo COCs during in vitro Maturation)

  • 최선호;한만희;조상래;김현종;최창용;손동수;김영근;이명헌;정연길;정영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3-309
    • /
    • 2005
  • 본 연구는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성숙에서 OA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도축 한우암소의 난소로부터 난구 복합체를 채취하여 $0.1\%$ PVA-TCM199로 3회 이상 세정 후 $0.1\%$ PVA-TCM 199, 0.2 uM, 2 uM, 20 uM OA를 각각 첨가하여 $5\%\;CO_2,\;95\%$ 공기, $39^{\circ}C$에서 6, 12, 24시간 동안 체외성숙을 실시하였다. 또한 체외성숙시 cycloheximide(CX)와 OA와 체외성숙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0.1M-PVA TCM199, CX 25 ug/mL, 동량의 CX를 6시간 처리한 후 2uM의 OA로 체외성숙을 실시하거나, 0.2 uM OA 단독으로 체외 성숙시켰다. 체외 성숙된 한우 난구 복합체의 핵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0.5\%$ hyaluronidase 용액으로 난구세포를 용해하고, 난자는 1:3 acetic acid, ethanol 용액에 30초간 고정하였으며, $3\%$ basic Fuchsin을 염색하여 핵형을 관찰하였다. 체외 성숙된 난자의 핵형 및 체외 발달율에 대한 통계분석은 3반복을 하여 얻어진 결과를 ANOVA test로 분석하였다.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성숙율은 $0.1\%$ PVA-TCM199, 0.2 uM, 2 uM, 20 uM OA를 첨가시, 각각 72.0, 50.0, 70.9, $68.8\%$를 나타내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p<0.05), CX와 OA가 한우 난구복합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0.1M-PVA, CX 25 ug/mL, 동량의 CX를 6시간 처리한 후 2uM의 OA로 체외성숙을 실시, 0.2 uM OA 단독처리시의 체외 성숙율은 각각 73.8, 7.2, 45.5, $73.7\%$를 나타냈어 극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은 0.1M-PVA, CX 25 ug/mL, 동량의 CX를 6시간 처리한 후 2uM의 OA로 체외성숙을 실시, 0.2 uM OA 단독 처리시, 핵성숙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 향을 보였고, CX 처리시 다른 처리와 비교하였을 때, 성숙 6시간에 1/3의 FI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OA는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성숙에 중요한 조절물질이며, 핵성숙과정 중 미토콘드리아의 활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능력 한우 종모우 체세포를 이용한 핵이식 배아의 발달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nuclear Transfer Embryos using Somatic Cell Nuclei from Korean Native Cattle (Hanwoo) with High Genetic Value)

  • Park, S. W.;M. R. Shin.;Kim, Y. H. .;H Shim;Kim, N. H.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61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한우 수소에서 유래된 체세포로 핵 이식한 복제 난자의 발달능력을 조사하였다. 종모우의 귀세포를 배양하면서 공여핵으로 사용하였고, 수핵란은 도축장에서 얻은 난소에서 난구-난자 복합체를 채취한 후, TCM 199 배양액에서 20시간 정도 체외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성숙된 난자는 Cytochalasin B가 있는 dPBS에서 핵과 극체를 제거하였고, 이어 이 난자에 귀의 섬유 아세포의 핵을 삽입시키고 전기 자극법에 의해서 음합하였다. 재조합된 난자들은 Ionomycine과 6-dimethylamino-purine으로 활성화 한 후, 7.5일 동안 C $R_{1aa}$ 배양액에 배양하였다 총 524개의 난자가 핵 이식되었고, 응합된 난자중 65.6% (277/422)의 난자가 난할이되었으며, 그 중 30.7% (85/277)의 난자가 상실배에서 배반포까지 발달하였다. 계대배양에 따른 제조합된 난자의 체외 발달능력은 차이가 없었다. 공여 세포에 의한 외래 미토콘드리아의 분포 및 생존 여부를 조사하기 위하여 Mito Tracker로 공여 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염색하여 핵이 제거된 난자와 융합하였다. 외래 미토콘드리아는 초기 배아 발달 단계에서는 발견이 되었지만, 급격히 사라졌다. Mito Tracker 염색은 재조합된 난자의 발달율에는 지장을 주지는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우 수소의 체세포를 이용한 핵 이식에 의해 이식 가능한 난자를 생산 할 수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다.

  • PDF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발생에 있어서 FGF(Fibroblast Growth Factor)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GF on Embryonic Development In Vitro in Hanwoo COCs)

  • 최선호;조상래;김현종;최창용;한만희;손동수;정연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06
  • 소 난포란의 체외 성숙은 과립막 세포, 난자의 핵성숙을 촉진하는 미지의 혈청내의 물질뿐만 아니라, 호르몬이나 생리 활성 인자 등에 의해 촉진됨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체외 성숙 및 체외 발달에 사용되는 배양액의 조성도 복합 배양액에서 단순 배양액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체내의 조건에 보다 더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의 성숙 시 FGF의 첨가가 체외 성숙율 및 체외 수정 후 배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우 난포란의 체외 성숙시 FGF를 0.1, 1, 10 ng/ml를 첨가하였을 때 24 시간째에 Metaphase II 도달율은 각각 72.7, 70.0, 75.0%로서 무첨가 대조군의 37.5% 에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보였다(p<0.05). 그러나 FGF 첨가 농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FGF로 체외 성숙된 난포란의 체외 수정 후 배발달율은 0, 0.1, 1, 10 ng/ml FGF 첨가군에서 각각 25.0, 9.5, 0, 2.9%를 보여, 무첨가 대조군에 비해 FGF 첨가군에서 낮았다(p<0.05). FGF로 체외 성숙된 난포란을 체외 수정 후 10% FBS-HPM 199, 0.8% BSA-HPM 199 및 0.1% PVA-HPM에 배양한 결과 12.4, 12.8, 8.5%의 배반포 발달율을 보였으며, 무혈청 배양액인 IVMD, IVD에 배양한 결과 38.4 및 34.8%의 배반포 발달율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FGF는 한우 난포란의 체외 성숙시 유용한 물질이나, 한우 난자의 체외 발달에는 단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다른 생리 활성 인자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