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옥형 아파트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 seconds

A Study on Interior Design Expressional Tendency of Korean style Apartments introducing Traditional Hanok Factors - Focusing on the Cases applied to Korean Brand-name Apartments - (한옥의 전통적 요소를 도입한 한국형 아파트 실내디자인의 표현 경향에 관한 연구 - 한국 브랜드 아파트에 적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

  • Lim, Bo-Ra;Choi, Sang-Hu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5 no.3
    • /
    • pp.121-128
    • /
    • 2016
  • Focusing on the cases applied to korean brand-name apartments In 1960s, economical growth and introduction of western-type cultures led to a boom of apartment construction. After internationalization'in 1980s through Olympic games in 1988, korean culture has attracted attention and individual life quality has been improved. Since 1990s, changes in personal life style has affected the housing culture and the construction companies started moving from quantitative supply to developing their own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on scheme triggered by construction companies since mid-1990s mainly focused on various ideas for space deployment. Space plans include such things as a private ground, a kitchen in the south, etc. while interior plans include to provide selection of the korean traditional style, natural or casual one. 'korean traditional style' apartment is one of such theme of the brand-named apartment. Interests on 'Tradition' can be broken down into a social trend and media trend. Firstly, the former includes the designation of Bukchon as a reserving area, one of the governmental 'Hanok Survival Program', and traditional building promotion scheme on the basis of construction policy plans. Secondly, the latter covers the interests which attract through the media showing oriental cosmetics, korean culture export via Hallyu, popularity of korean dramas, etc. Thus, it seems worth studying on the apartments with traditional factors. And also, this study aims to setup the concept and trends of korean traditional style apartments through the interior expression on the korean-factor space developed by brand-name apartments so that it could correct such false knowledge out of misunderstood concept of traditional space which results from simple decoration or structure type not accompanying Korean emotion or spirit rendered by some misleading media.

A Study on the Consumer Awareness for Hanok Style Apartment Plan (한옥형 아파트 계획을 위한 소비자 인식에 관한 연구)

  • Shin, Young-Sook;Cho, Myung-Eu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9 no.1
    • /
    • pp.190-199
    • /
    • 2010
  • Nowadays the increas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have been required more diversified housing environment. And it also focused on concern about Korean traditional housing style, Hanok. There were several studies applied to traditional style design on Hanok. but few on Hanokstyle apartment.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consumer awareness on Hanok style apartment plan and its design details. The research were done by questionnaire methode. It were distributed to 130 city and rural residents. 109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x^2$-test, F-test, ANOVA, t-test, and factor analysi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70% of respondents revealed their intention to live in Hanokstyle housing if it has improved conveniency and lowered maintenance expenses. Second, they preferred under 5 story row house type or apartment type Hanok located in suburbs. Third, Hanokstyle apartment characteristics were expected to have visual openness, good view, traditional decor, functional, rhythmical and transitional space. And also they wanted traditional Madang(inner garden) and Maru(a wooden floor room) located next to living room.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No, Hyeong-Rae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6)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2 s.382
    • /
    • pp.67-73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Planning of Korean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Focused on Segwon Jeong's Improved Hanok Planning- (한국형 융합 집합주거문화 계획 연구 -정세권의 개량한옥 계획을 대상으로-)

  • Choi, Ho-S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4
    • /
    • pp.123-130
    • /
    • 2019
  • The Study aims at carrying out basic research on the future housing culture plan by the aging and low fertility phenomenon which is the most serious problem that Korean society faces today. In the future, the housing culture will be transformed into a 'convergence housing complex's residential culture' that can be coexisted with households with various members, rather than a housing type represented by apartments today, due to the phenomenon of nuclear family and the increase of one resid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a basic study on the housing complex culture of Korea. It is not that the hosing complex culture has been imported from the western society today, but the Korean traditional housing complex's culture proposed by Korean first developer Segwon Jeong has already existed in Korea urban and architectural perspective. In the early 20th century, Segwon's improved Hanok planned to complement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hanok and the modernization of hanok such as the standardization of hanok, moreover the most important point is the beginning of the Korean style housing complex by modernization of the inner space of hanok.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for Segwon's housing complex of improved hanok will provide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Korean-style convergence residential culture plan needed for our society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