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산

Search Result 32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북한의 화산지형 소고

  • 오종우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6 no.37
    • /
    • pp.33-37
    • /
    • 1994
  • 한반도는 지질적으로 안정된 지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활화산이 없고 화산지형도 극히 제한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지질사적으로 중생대 이전의 화산활동을 제외하면, 주로 현지 표면상에 나타나는 화산활동의 흔적에 의한 지형들은 대게 신생대 제3기의 주요 화산활동으로써 백두산(2744m), 무두봉(1930m), 대연시봉(2360m), 북포태산(2289m), 남포태산(2435m), 소연지봉(2123m), 관모봉(1387m), 소배산(2174m), 두류산(2309m), 칠보산(906m) 등이 백두산 화산대(그림 1)의 열하를 따라 남동쪽 설령(2442m), 만탑산(2205m) 과 거의 일직선상의 수많은 분출공에서 유동성이 큰 현무암의 분출이 있었다.(중략)

  • PDF

신암리각섬암의 암석화학과 지구조적 의의

  • 박영석;김정빈;김종균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302-305
    • /
    • 2003
  • 진안-장수지역 (이하 본 역)은 한반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지괴인 영남육괴 지리산지역의 북서부와 옥천지향사대의 동남연변부에 위치한 곳으로 두 지괴의 경계면을 따라 압쇄작용으로 형성된 순창전단대가 분포하며 지질시대와 암석학적 특징이 상이한 여러 화성암체가 나타난다. 본 연구지역의 지질은 지리산 편마암복합체를 기반으로 선캠브리아기의 변성퇴적암류, 신암리섬암, 장수화강편마암, 선각산화강편마암 그리고 쥬라기의 대성리엽리상화강암, 순창엽리상화강암과 남원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중략)

  • PDF

한반도 안보환경변화와 적정 국방예산

  • Na, Gi-Sa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 s.167
    • /
    • pp.18-19
    • /
    • 1993
  • 군사비가 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면 군사비나 경제개발 투자비의 문제가 아니라 군사비를 포함한 국가재정이 얼마나 효율성 있고 생산성 있게 쓰여졌는가가 중요한 문제입니다. 앞으로의 군사력 건설은 기술집약적 방위에의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국방비 사용의 효율성(비용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동시에 경제적으로 파급효과도 크게끔 하는것이 요구된다 하겠습니다

  • PDF

Vertical distribution and vascular plants in the Gakho mountain (Yeongdong-gun), Korea (각호산(영동군)의 관속식물과 수직분포)

  • Jung-Hyun Kim;Jin-Suk Kim;Sookyung Shin;Tae-Im Heo;Young Hoon Kim;Sunghyuk Park;Jin-Seok Kim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41 no.1
    • /
    • pp.60-88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vascular plants in the Gakho mountain. Form the results of three field surveys from May 2022 to September 2022, a total of 478 total taxa, representing 426 species, 11 subspecies, 35 varieties, four forms, and two hybrids were identified, which were categorized in 282 genera and 94 families. We identified the elevational distribution ranges of 398 taxa of vascular plants. Among them, 19 taxa were endemic to Korea, one taxon was identified as a rare plant. The floristic target plants amounted to 72 taxa, specifically two taxa of grade V, two taxa of grade IV, 16 taxa of grade III, 27 taxa of grade II, and 25 taxa of grade I. Further, 71 taxa were identified as northern lineage plants. A total of 19 taxa of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with a Naturalized Index of 4.0%, an Urbanization Index of 6.6%, and three plants that disturbed the ecosystem. The result of analyzing the pattern of species richness showed a reversed hump shape with minimum richness at mid-high elevation. A cluster analysis showed a high degree of similarity between adjacent elevation sections that are geographically adjacent with similar habitat environments. Warmth index in the Gakho mountain ranged from 57.2℃·month to 84.2℃·month.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vascular plants and valuable information on elevational distribution ranges of current plant species in the Gakho mountain, which could serve as a baseline for comparison of the shifts in elevation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imulation of Radar Network for Observational Gap Filling as Electromagnetic Waves Beam Blockage in the Korean Peninsula (전자기파 빔 차폐 사각 지역 해소를 위한 한반도 레이더 관측망 모의)

  • Jo, Jun-Mo;Kwon, Byung-Hyuk;Yoon, Hong-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3
    • /
    • pp.553-562
    • /
    • 2020
  • S-band, C-band and X-band radars are used for weather observation purposes. Since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Republic of Korea Air Force operate rada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bservation by departments, the installation site and observation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a meteorological point of view, blind observational areas in the low level with an elevation of less than 1 km around the mountainous terrain near Jirisan and Taebaeksan. Assuming a small radar installation, we simulated low-level observations. In order to monitor dangerous weather in North Korea, we analyzed the precipitation of North Korea and simulated a large radar network. Finally, a radar network for Korean Peninsula was proposed.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Forest Life Resources in Jeju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

  • Eun-Young Y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24-24
    • /
    • 2022
  • 제주는 면적에 비해 생물종다양성이 높은 지역으로 평가된다. 한반도 자생 관속식물은 4,500여종으로 이 중 50%에 달하는 2,200종이 제주에 분포하고 있으며 최근 30년간 80여종의 미기록 식물이 출현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선태식물과 산림버섯 분야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지리적 위치, 기후적 조건, 한라산으로 인한 수직 식생 분포, 특이산림생태계로 인한 입지 환경의 다양성과 관련이 있다. 동시에 제주는 희귀 및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보고이다. 제주에서 수집하여 종의 실체를 확인한 2,167종을 대상으로 희귀성과 유용성을 평가한 결과 제주고사리삼, 구상나무, 갯취 등의 희귀·특산 식물이 400종, 흑오미자, 제주백서향, 황칠나무 등의 유용식물이 781종에 달하였다. 또한 제주는 우리나라에서 기후변화에 가장 민감한 지역으로 동북아시아 기후변화의 요충지로 전망되고 있다. 한라산의 구상나무가 쇠퇴하는 등 이상 징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동북아시아 아열대 최북한계지로서 한반도 생물지리의 징검다리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나고야의정서 발효와 기후위기로 산림생명자원의 보존과 활용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주는 우선 연구 대상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절멸 위기에 처한 종의 보존과 유용 산림생명자원의 활용 기반 마련을 위해 수집 및 탐색-빅데이터 기반 구축-증식기술 개발-현지내·외보존원 조성 및 관리 기술 개발 등의 일련의 연구를 20년 이상 수행해 왔다. 여기에서는 제주지역 산림생명자원의 가치와 함께 보존과 활용 연구 성과를 소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산림 바이오 소재 산업화와 관련된 학계와 임업인 및 기업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Petrological Study on the Intermediate-basic Plutonic Rock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 서남부에 분포하는 중성-염기성 심성암류에 대한 암석학적 연구)

  • Kim, Yong-Jun;Park, Jae-Bong;Park, Byung-Kyu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5
    • /
    • pp.528-538
    • /
    • 2006
  • Main aspect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etrochemistry and petrogenesis of intermediated-basic plutons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se Intermediated-basic plutons consist of Pre-Cambrian anorthosite-gabbro, Triassic hornblende gabbro (Jirisan area), Jurassic diorite-syente (Jirisan and north area) and Cretaceous gabbro-diorite (south area). The Massif type anorthosite has multi intrusions, where each one intruded by gabbroic rocks, composed of gabbro, norite, troctolite and leucogabbro. In the variation diagram of the major-minor composition, AMF and Pl-Px-Ol diagrams, we suggest that intermediated-basic pluton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 show a trend consistent to Daly's value and calc-alkaline rock series. Accoding to REE (La/Yb)cw and Eu/Sm, these plutons are enriched with LREE than HREE, and emplaced by the tectonic setting in continent and/or continental margin.

Geographical Distribution Range and Preliminary Conservation Assessment of Fraxinus chiisanensis Nakai, A Korean Endemic Plant, Using IUCN Red List Criterion B (한반도 특산식물 물들메나무 분포와 적색목록 평가 적용 가능성)

  • Jung, JI-Young;Park, Jeong-Geun;Pi, Jung-Hun;Park, Jeong-Seok;Son, O-Gyeong;Suh, Gang-uk;Lee, Cheul-ho;Son, Sung-W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8.04a
    • /
    • pp.30-30
    • /
    • 2018
  • 한반도 고유 식물자원인 특산식물 물들메나무의 지리학적 분포 범위에 대한 고찰을 시도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IUCN 적색목록 평가 자료 확보를 위해 IUCN Red List Criteria B의 분포범위(Extent of occurrence)와 점유면적(Area of occupancy)을 측정하였다. 물들메나무 분포도 작성을 위해 분포가 언급된 관련 문헌자료, 국립수목원 표본관(KH) 소장 표본정보,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Nature) 종발생정보 DB, 그리고 현장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한반도 특산식물 물들메나무는 지리산을 중심으로 전라남 북도, 경상남 북도 및 충청북도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방한계지역은 경상북도 보현산으로 추정된다. 수집된 분포정보를 바탕으로 IUCN Red List Criteria B의 분포범위(Extent of occurrence)과 점유면적(Area of occupancy)을 계산한 결과 각각 $25,183km^2$, $96km^2$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확한 보전지위 평가를 위해서는 점유면적, 분포범위, 서식지 면적, 개체군 크기에 대한 지속적인 하락과 극단적인 변동을 측정할 수 있는 모니터링과 객관적인 자료가 요구된다.

  • PDF

Historic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20th century (II) (20세기초에 채집된 한반도 고표본 (II))

  • SUN, Eun-Mi;CHANG, Kae Sun;SON, Hyun-Duk;IM, Hyoung-Ta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9 no.3
    • /
    • pp.240-252
    • /
    • 2019
  • Many of the historic plant specimens collect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were lost during the Korean War, though some of them were deposited in the herbarium of Tokyo University (TI) and thus remained unharmed. Data on historic Korean plant specimens at TI are very important given the lack of current data on North Korean plants. Moreover a number of unidentified Korean historic specimens are present at TI. We carried out an identification process and created a list of plants in a newly found collection held by Dr. Ikuma Yoichiro, a Japanese entomologist. He traveled from Cheongjin to Hyesanjin via Baekdu-san (Mt.) in August of 1913 and collected 240 species. We also secured one duplicate set.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 공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4
    • /
    • pp.357-370
    • /
    • 2002
  • Present work aims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physiognomy and distribution of arctic-alpine and alpine plants(AAP) of the Korean Peninsula. The dominance of AAP in the northern Korea may be due to the frequent exchanges of floras with circumpolar regions for the seek of the glacial refugia during the alternate Pleistocene glacial epochs. The post-glacial climatic amelioration pushed AAP back northwards and upwards, so they now shows disjunctive distribution on separate mountain tops. The diverse morphological adaptations of AAP to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viz. the dominance of perennial species, stunted tree growth, multiple protection of leaves, krummholz, and dwarf shrubs, are the result of long-term graduall development which have safeguarded the survival of AAP in a such a harsh cryo-climatic area.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endemic AAP reflects the long-term isolation of species in Korea, and the local environmental diversities which have both accentuated this isolation and aided the development of genetic diversity. Evergreen broad-leaved AAP at c. 1,500m to 1,800m and above are now endangered because of the competition from down-slope plants, and from the global war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