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반도산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Tentative Catalogue of the Oribatid Mites (Cryptostigmata: Acari) of Korea (한국산 날개응애 목록 (1980. 10))

  • Paik Woon-Hah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19 no.4 s.45
    • /
    • pp.250-256
    • /
    • 1980
  • 전보에서 외국산에 의해 기록된 한반도산 날개응애류 26종과 필자가 채집한 미기록종 29종 도합 65종의 목록을 발표한 바 있다. 그 후의 채집품을 조사결과 다수의 미기록종이 발견되었기에 전보를 증보하여 발표한다. 이로서 한반도산 날개응애류는 29상과, 59과, 99속, 158종이 되었다. 이밖에 미정리분중에도 약 50중의 미기록종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한국산 날개응애류는 200여종이 되는 셈이지만 한국에 실재하고 있는 종수는 그 $2\~3$배가 될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분포를 논할 단계는 아니지만 일본과의 공통종은 69종, 구주와의 공통종은 51종, 3자공통종은 55종이 되어 한반도 고유종은 34종이 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인접해 있는 중국대륙의 날개응애상이 밝혀지면 고유종은 줄어들고 중국과의 공통종이 많아질 것이다.

  • PDF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Alpine Plants of Mt. Halla, Cheju Island, Korea (한라산 고산식물의 분포 특성)

  • 공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2
    • /
    • pp.191-208
    • /
    • 1998
  • 제주도의 기온온난화가 한라산 고산식물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하나로 한라산 고산식물 8종의 수평 및 수직 분포역과 생육환경이 조사되었다. 그 결과 희귀하거나 멸종 위기 상태에 있는 고산식물들에 관한 생물지리학적 기초 자료와 정보가 축적되었다. 한라산 고산식물은 분포특성에 따라 8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며, 그 중 70퍼센트 정도가 한반도의 고산지나 일본열도의 것들과 공통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은 빙하기 동안 동북아시아에서 한반도를 거쳐 제주도로 유입되었고, 일부는 일본열도에 전파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이들 고산식물은 열악한 기후, 척박한 토질과 지질 그리고 동결과 융해가 반복되는 주빙하성 환경에 적응하여 산정부 일대에 주로 분포한다. 본 연구는 한라산 고산식물의 분포와 과거 및 현재 환경과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여, 한반도의 자연환경 변천사를 파악하고, 기온온난화가 지속될 때 한라산 고산경관과 생태계가 당면할 문제를 파악하고 대안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ystematic stud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H. Itô) Fraser-Jenk. (Dryopteridaceae) in Korea (한반도산 관중속 홍지네족제비고사리아속(관중과)의 분류학적 연구)

  • Lee, Sang-Jun;Park, Chong-Woo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2
    • /
    • pp.114-135
    • /
    • 2015
  • The taxa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are variable in morphology, resulting in taxonomic confusion in delimiting taxon boundaries. We examin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embers of subg. Erythrovariae to clarify their taxonomic identities and relationships. The shapes of the blades, pinnae, and pinnule apices, the shapes and colors of the scales, and the positions of sori were useful for delimiting the Korean taxa of the subgenu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evidence from previous studies, 13 taxa comprising 12 species and one variety of Dryopteris subg. Erythrovariae were recognized in Korea. Descriptions of all Korean taxa of the subg. Erythrovariae and a key to the species are provided. The descriptions presented here are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the examination of some 1,000 specimens from the major herbaria of the world.

Evaluation of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using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실측 기반의 한반도지표자료동화체계를 이용하여 추정된 증발산 평가)

  • Lim, Yoon-Jin;Byun, Kun-Young;Lee, Tae-Young;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4
    • /
    • pp.298-306
    • /
    • 2010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KLDAS) for the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ET) by comparing the modeled against the observed ET at Gwangneung deciduous forest of KoFlux site (GDK) from 2006 to 2008. Although the magnitudes of ET by KLDAS overestimated the observed ET, the seasonal patterns of KLDAS ET were comparable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8. The difference between the KLDAS ET and the observed ET was larger in spring and summer due to rapid plant growth and frequent rainfalls with high cloud cover,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ET estimated by NASA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with $0.25^{\circ}$ and $1^{\circ}$ resolution, the ET by KLDAS with 10 km resolution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at the GDK site. Albeit further improvement is necessary, our results suggest that KLADS can be used as a practical tool to map ET and to examine its spatiotemporal variability over the Korean Peninsula.

First Record of Odontobutid fish, Odontobutis obscura (Pisces, Gobioidei) from Korea (한국산 동사리과 어류의 1 미기록종, Odontobutis obscura (Pisces, Gobioidei))

  • Chae, Byung-S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1 no.1
    • /
    • pp.12-16
    • /
    • 1999
  • Four specimens of the odontobutid fish, Odontobutis obscura (Temminck et Schlegel) of the family Odontobutidae were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Koje Island, Kyongsangnam-do, Korea. Odontobutis obscura was easily discriminated from congeners in that this species have no sensory canals at preoperculomandibular and supraorbital pit lines on head and the first band on lateral side of body is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first dorsal fin. This species distributes in western Japan mainly and Koje island which situates southernmostly in Korean Peninsula. So a new Korean name "Nambangdongsari" is proposed.

  • PDF

A Study on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Racomitrium Native to Korea (한국산 서리이끼속의 형태·생태학적 특성 연구)

  • Eunhwa Yoo;Kuynghoon Kim;Sunhee Sim;Wonhee Kim;Shin-Ho Ka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64-64
    • /
    • 2022
  • 서리이끼속(Racomitrium Brid.)은 고깔바위이끼과(Grimmiaceae)에 속하며 전 세계에 약 80여종이 알려져 있다. 이 중 한국산 서리이끼속은 18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그 중 6종은 1900년대 초반 한반도에서 최초 발견되어 신종으로 보고되었다. 서리이끼속 이끼류는 주로 양지바른 바위나 사질토양 등에 서식하고, 건조에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예·조경 분야에서 실내 벽면 및 옥상 녹화용 자원식물로 서리이끼속은 주로 늦은서리이끼(Racomitrium japonicum)와 모래이끼(Racomitrium canescens)가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자원식물로써 선태류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자생 선태류에 대한 형태적 특징과 함께 생육환경에 대한 정보 제공 요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원식물로 활용이 가능한 한반도산 서리이끼속의 형태·생태적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기준표본 원산지가 한반도인 서리이끼속 6종을 우선하여 서식 환경 특징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백두산과 천지

  • 홍시환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0 no.31
    • /
    • pp.74-77
    • /
    • 1992
  • 장백산이라 부르고 있는 우리나라의 조종산인 백두산, 하기야 장백산맥의 주봉을 이루고 있다고 하여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장백산이라고 부르고 있으니 우리가 올라간 곳은 백두산이 아니라 장백산이라고 불러야 맞을지는 모르겠다. 그러나 우리는 옛부터 백두산이라 볼러왔고 이 산이야말로 우리나라 한반도의 영봉으로 알고 있으니 백두산이란 이름으로 불러야 마음이 편하다고 하겠다.(중략)

  • PDF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zards (Reptilia: Squamata) (한국산 도마뱀류의 현황)

  • Chang Min-Ho;Song Jae-Young;Lee Jong-Nam;Oh Hong-Shi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3
    • /
    • pp.352-358
    • /
    • 2006
  • We reconsidered the taxonomy of lizards in Kore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characters of collected specimens and previously published data. A total of 138 specimens were used in this study, which were collected from April 1996 to October 2005, From the observations, we presented keys to classify Korean lizards. Also, we indicated sampling sites for each species on the Korean map. In addition, we added some remarks on the distribution of Gekko japonicus, the study of genus Scincella and the synonym of genus Takydromus. Especially, it was uncertain whether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s a natural habitat of Takydromus tachydromoides oldi which will be necessary in further study.

Morphology and distribution of Moroco percnurus (Cyprinidae) (동버들개(잉어과)의 형태와 분포에 관하여)

  • 민미숙;양서영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5 no.4
    • /
    • pp.505-508
    • /
    • 1992
  • 한국산 담수어류인 버들치(Moroco)속의 동버들개(M. percnums)는 한반도 이북에 서식하며 이남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었으나 본 형태연구 결과와 유전적 연구(Yang and Min, 1989) 결과, 강원도 강릉 경포호지역에서 동버들개가 서식 분포하는 것이 확인되어, 동버들개의 분포상 최남단 지역으로 보고하며, 한국산 버들치속 어류는 총 5종이 한반도 이남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