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미FTA

Search Result 15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한ㆍ미 타이어 업체간 경쟁과 협력 전략

  • Lee, Hang-Gu
    • The tire
    • /
    • s.227
    • /
    • pp.10-17
    • /
    • 2006
  • 최근 한미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이하 FTA) 체결을 위한 협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원고와 엔저가 진행되면서 일본 타이어업체들은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그 동안 전 세계 타이어업체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가격인상 압력에 직면해 왔으나, 일본 타이어업체들은 엔화의 평가 절하로 이러한 압력에서 벗어나고 있다. 여기에 세계 각국의 FTA체결이 확산되면서 국내외 타이어시장에서의 업체 간 경쟁이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본고에서는 최근 한미 양국이 추진하고 있는 FTA의 현황과 미국 자동차 및 타이어산업 현황 및 한미 FTA가 타이어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기로 한다.

  • PDF

A Study on Preparation for ISD under the KORUS FTA -Lessons Learned from NAFTA ISD Cases- (NAFTA의 ISD 분쟁사례를 통한 한미 FTA의 ISD 시사점 및 대응방안)

  • Bae, Sung-Ho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14 no.2
    • /
    • pp.369-387
    • /
    • 2012
  • Throughout intensive negotiations on the KORUS FTA and even after its ratification on March 15, 2012, ISD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 has been at the center of many controversies within the FTA. Although the original function of the ISD is intended to be a protectional measure for foreign investors, there have been many foreign investors who tried to use the ISD as a tool to attack a government and nullify the public policy demanding tremendous amount of compensation. Many of the NAFTA ISD cases including Ehtyl v. Canada and UPS v. Canada demonstrate such a behavior by foreign investors. It is the right time for Korean government to conduct in depth studies on NAFTA ISD cases because the precedents provide invaluable insights including the legal reasoning by the decision making authorities including ICSID and UNCITRAL. The lessons we would learn from those cases would prepare Korean government for expected ISD claims by foreign investors and enable the government to maximize its efficiency in policy making process under a new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the KORUS FTA.

  • PDF

A Comparative Study on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between The Korea - US FTA and The WTO (한미 FTA 및 WTO 분쟁해결제도 비교고찰)

  • Kim, In-Gu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3 no.2
    • /
    • pp.618-642
    • /
    • 2009
  • Currently the nations which join the WTO shall observe understanding on rules and procedures governing the settlement of disputes in WTO agreement. In addition this agreement provides it will be able to apply dispute settlement mechanism of the WTO.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re accomplishing an important role as the core members of the WTO. Regardless of this, The Korea - US FTA is providing a separate dispute settlement system. This paper pursues a comparative analysis concerning rules and procedures of dispute settlement between The Korea - US FTA and the WTO, and furthermore derives problems from the viewpoint of effectiveness, and suggests alternatives and implications in view of trade policy. I hope this study contributes to setting-up and development of national trade policy and is applied to FTA negotiation hereafter.

한미 FTA 타결에 따른 부동산 및 건설 시장 파급 효과

  • Park, Seong-Min
    • 주택과사람들
    • /
    • s.204
    • /
    • pp.6-9
    • /
    • 2007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한미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이 지난 4월 2일 14개월간의 열띤 공방 끝에 타결됐다. 이로 인해 경제는 물론 사회, 문화, 정치 등 여러 분야에서 큰 파급이 예상된다. 한미 FTA 타결이 부동산 및 건설 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그 파급 효과에 대해 조명한다.

  • PDF

해운이슈 -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협상타결로 개방 가속화 - 관세 등의 철폐로 양국간 교역량 크게 증가할 듯 -

  • 한국선주협회
    • 해운
    • /
    • no.4 s.38
    • /
    • pp.22-27
    • /
    • 2007
  • 한미 FTA 타결은 수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세계 1위의 경제 대국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이 타결됨으로써 우리나라는 개국에 버금가는 엄청난 변화를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9세기말 강화도 조약으로 조선이 개화기를 맞았듯이 이번 FTA 타결로 우리는 개방경제의 닻을 본격 올리게 되었다. 특히 중국과 일본에 끼어 샌드위치 신세를 면치 못하던 우리가 모처럼 새 성장 동력을 얻어 동북아 지역에서 기선을 잡는 계기를 마련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해운 및 항만의 경우 양국간 교역량 증가로 해운 및 항만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다 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다음은 한미 FTA 체결에 따른 부문별 파급여파와 변화 등을 요약정리한 것이다.

  • PDF

The Impact on Software Industry by Korean-American Free Trade Agreement (한미FTA의 소프트웨어산업 영향 분석)

  • Kim, Gyu-Sung;Ryoo, Jong-Ho;Son, Jeng-Dal;Kang, Gi-Bong;Kim, Hyun-Soo;Kim, Joong-Han;Ahn, Yeon-Shick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143-150
    • /
    • 2006
  • 본 연구는 한미FTA 체결이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소프트웨어 산업의 현황을 패키지소프트웨어, IT서비스, 디지털콘텐츠 등으로 구분하여 경쟁력 및 대미 수출입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관련된 한미 FTA 협상 영역중에 통신 및 전자상거래, 서비스, 저작권, 그리고 정부조달 영역 등에 대해서 각각 소프트웨어 산업 부분에 파급되는 영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으로는 우리나라 소프트웨어산업의 자체 경쟁력을 제고하고 미국 관련 시장에 폭넓게 진출하기 위한 전략의 관점에서 소프트웨어 산업 관련 정책상의 제안이 제시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