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류 브랜드화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4초

[논문철회] 한류의 대중화를 통한 한국 교육컨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전략 연구 ([Retraction] A study on strategy for Korean education contents to enter the global market through popularization of Korean Wave)

  • 박현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99-104
    • /
    • 2020
  • 한류열풍과 함께 우수한 교육컨텐츠를 보유하는 현시점에 세계시장으로 이를 알리고 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교육컨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해 교육컨텐츠 보급의 필요성과 브랜드화에 관한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진행하기 위한 전력방법을 제시하여 한류와 더불어 한국교육컨텐츠의 세계시장 진출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전략방법으로는 첫째 교육컨텐츠 보급과 활용을 통한 문화교류 확대, 둘째 교육컨텐츠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현지화 방안, 셋째 일방적 전파로 비추어질 수 있는 상황에 대처를 위한 컨텐츠 현지화 및 현지 파트너쉽 형성이 있다. 교육컨텐츠의 세계시장 진출은 국가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은 뿐만아니라 한류가 본래 가지고 있었던 경제적 효과도 지속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류 휴먼브랜드의 특성과 애착 및 자아일치성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여성 소비자를 대상으로 - (Influence of characteristics, attachment and self congruity of Korean wave human brand on brand equity - Focused on Chinese female consumers -)

  • 김은혜;이진화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5호
    • /
    • pp.479-495
    • /
    • 2019
  • This study defines Korean wave stars as Korean wave human brand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attachment, and self-congruity of the Korean wave human brand on brand equity. For this, this study surveyed Chinese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consume many Korean wave products from May 2018 to June 2018. First, human brand characteristics, attachment, self-congruity,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and brand equity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Second, characteristics, attachment, self-congruity, and the aspiration level of the Korean wave human brand showed correlations with brand equity. However, brand awareness, a sub-factor of brand equity, does not show correlations with self-congruity. Third, characteristics, attachment, self-congruity, and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had a positively influenced brand equity. Fourth, when looking into the mediated effect of attachment on brand equity, both human brand characteristics and self-congruity showed a partially mediated effect. Fifth, when analyzing the adjustment effect in the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a group with higher Korean wave aspiration level showed more correlations with attachment and brand equity. This study found that attachment and self congruity are important elements in forming human brand and brand equ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erified the influence of Korean wave brand power that has been on the rise recently on brand equity and provided a theoretical basis that has allowed researchers to determine that the characteristics, attachment, and self-congruity of Korean wave human brand significantly influence brand equity.

한류 화장품 광고모델의 특성이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Advertising Models' Characteristics of Hallyu Cosmetics on Brand Personality and Brand Attitude: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 왕뢰;이진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95-50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of advertising model on brand personality and the effect of brand personality on brand attitude; and analyze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ing model have a direct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or indirectly through the brand personality. A survey was conducted from August 10, 2017 until August 31, 2017, and 400 respondents'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For data analysis, SPSS 23.0 was utilized to perform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five brand personality factors were derived, which are aesthetics, safety/expertise, sophistication, pro-environment, youth, respectively. For advertising model characteristics, seven factors were derived, which are credibility, visibility, attractiveness, expertise, similarity, likeability, and familiarity, respective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osmetics advertising model, brand personality, and brand attitude. Brand personality does not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advertising model's characteristics and brand attitude. Advertising model's characteristic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brand attitude. Consequently, Cosmetics companie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ing model and implement the marketing strategy by carefully selecting the advertising model so that consumers can relate the characteristics of advertisement model to the brand attitude which will ultimately lead to positive evaluation of the brand.

한류 증진을 위한 CGV의 성장 전략: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CGV's China Market-Oriented Growth Strategy for the Korean Wave)

  • 권상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76-588
    • /
    • 2016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최근 한류 증진과 국내 영화상영관(플랫폼)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진중인 CGV의 해외 성과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본 연구는 CGV가 경영진의 기업가적 지향성과 차별화된 시장 진입 전략을 토대로 어떻게 세계 영화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시장 점유율을 높였는지에 관해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중국 영화상영 산업에서 진행 중인 CGV의 시장 진출 및 확대 과정을 바탕으로 주요 성공 요인이 무엇인지 도출하고자 깊이 있는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CGV는 시장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차별화된 성장 전략을 각국에서 펼치고 있었으며, 이와 관련하여 각 국가에서 성공할 수 있는 주요 요인도 다르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가장 중요한 점은 수익이 아닌 한류 증진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하고자 차별화된 시장 진입전략을 추동한 경영진의 노력이었다. 이와 같은 경영진의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 시장에서 높은 브랜드 충성도와 시장 점유율 확대에 기여했다. 더 나아가 CGV의 활발한 해외 진출은 국내 영화상영 산업의 글로벌화에 기여했으며, 한류를 더 많이 확산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이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와 관련된 학문적 기여도 및 실무적 시사점을 결론 부분에 제시하였다.

아시아의 중심, K-Musical의 역할과 가능성 (Center of Asia, The Role and Potential of K-Musical)

  • 이은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3-84
    • /
    • 2020
  • 한국의 뮤지컬 산업은 'K-Musical'이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브랜드화 되어 급성장하고 있다. K-Musical의 성장은 단기간에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한류 문화 콘텐츠가 성장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형성되었다. 그 영향으로 한류의 바람이 한국의 뮤지컬에 불고 있으며 새로운 문화의 거점을 이루고 있다. 큰 성장세를 보였던 2012년 상반기에는 공연시장 상승규모 중 뮤지컬이 24% 상승되었고, 하반기에도 최소 20% 성장하여 2013년 3000억 원대에 진입하였다. 이는 신설된 뮤지컬 전용 공연장에서 좋은 성과를 이루었고 창작 뮤지컬의 성공에서 기인한 것으로 국내 뮤지컬 작품을 해외에 수출하는 기반이 되었다. 나아가 2018년 집계된 국내 뮤지컬 판매액은 2571억 원을 기록하여 전년에 비해 29%로 대폭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뮤지컬 시장을 아시아로 확대하고 아시아 뮤지컬 산업의 중심이 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이에 K-Musical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일본과 중국의 현황을 파악 하고 대비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아시아의 중심으로써 한국의 뮤지컬 산업이 지속적으로 뮤지컬 산업을 이끌어나갈 수 있는 전략과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의 뮤지컬 콘텐츠 산업이 아시아 뮤지컬 산업과 함께 공존하고 발전하여 한시적이 아닌 지속적인 산업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콘텐츠산업 수출이 기업 수익에 미치는 영향 - 영상 및 게임 콘텐츠 기업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xport on Firms' Profit in Contents Industry - In the Case of Visual and Game Contents Firms -)

  • 오춘호;조용래;김원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53-164
    • /
    • 2009
  • 한류 등으로 인한 콘텐츠산업에서의 수출은 2000년 이후 빠르게 확산되어 국가 브랜드의 확산 및 타 산업의 연계 효과 확대 등 긍정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국가 경제의 큰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국내 콘텐츠 기업들의 수출 확대와 이를 통한 국제화 전략의 전개 과정이 과연 기업 수익성과 연결되었는지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입증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콘텐츠산업 중에서도 영상 및 게임 업종에서의 수출 확대가 기업 성장성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게임 업종에서는 영업수익 대비 수출 비중의 확대가 기업의 양적 성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익성은 오히려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상 업종의 경우, 수출비중의 재무성과에 대한 영향은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수출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선형성 관계에 대한 검증에 있어서는 전 업종 모두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콘텐츠산업의 수출 활동에 대한 보다 전략적 접근과, 내수시장에서의 영업수익 확대 및 프로젝트기반의 꾸준한 시장테스트를 통해 수출을 위한 기반 마련의 중요성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경제적, 산업구조적, 문화적 요인을 기반으로 한 주요 국가의 한국 품목별 수입액 예측 모형 개발: 한국의, 한국에 대한 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forecasting model for import volume by item of major countries based on economic, industrial structural and cultural factors: Focusing on the cultural factors of Korea)

  • 전승표;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7권4호
    • /
    • pp.23-48
    • /
    • 2021
  • 한국경제는 지난 수십년간 정부의 수출전략정책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경제 성장을 이룩해왔으며, 수출의 증가는 경제의 효율성 향상, 고용창출, 기술개발 촉진 등 우리나라의 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크게 경제적 요인과 산업구조적 요인이라는 두가지 관점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번째, 경제적 요인은 환율과 글로벌 경기 변동과 관련된 것으로서, 환율이 우리나라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환율 수준 및 환율 변동성에 따른 영향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며, 글로벌 경기 변동은 세계 수입 수요에 영향을 미쳐 우리나라 수출을 좌우하는 절대적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산업구조적 요인은 국제 분업화의 둔화, 중국의 특정 수입품 자국내 대체 증가, 수출 주력 산업의 해외생산 형태 변화 등 산업이나 제품에 따라 발생한 고유한 특징이다. 가장 최근 글로벌 교류와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경제적 요인 및 산업구조적 요인과 더불어 문화적인 측면이 중요함을 여러 문헌에서 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각국의 한국 수입액 예측 모형에 문화적 요인을 함께 반영하여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문화적 요인이 수입액에 미치는 영향을 PUSH-PULL 프레임워크 관점에서 반영해보고자 하였다. PUSH 관점은 한국이 자신의 브랜드를 개발하고 적극 홍보하는 관점으로 K-POP, K-FOOD, K-CULTURE 등으로 대표되는 한국의 브랜드에 대한 각국의 관심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PULL 관점은 각 국가의 국민들의 문화적, 심리적 특징으로 해당 국가의 지배체계, 남성성, 위험 회피성, 시간에 대한 단기/장기 지향성 등으로 대표되는 각 국의 문화 코드로서 한류문화를 얼마나 수용할 성향을 띄고 있는지로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최종 예측 모델의 고유한 특징은 Design Principle에 기반하여 설계한 것인데, 1) 신규로 추가한 데이터 소스를 통해 한국에 대한 관심 및 문화적 특성이 반영될 수 있는 모형으로 구축하였고, 2) 경제적 요인 등의 변화와 품목 및 국가 Code를 입력하면 예측값을 바로 불러올 수 있도록 실용적으로 편의성 있게 설계하였으며, 3) 이론적으로도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서 입력과 목표 변수간의 관계를 해석 가능한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설계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기술적 측면, 경제적 측면, 정책적 측면에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으며, 수입액 예측 모형을 활용하여 중소·중견기업의 수출 지원 전략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