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글 입력 인터페이스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32초

심플키 : 터치제스처기반 자음중심 한글입력 (SimpleKey: Consonant based Hangul Entry Using Touch Gesture)

  • 경보현;나기욱;한국현;홍승환;한상준;김보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00-202
    • /
    • 2008
  • 본 논문은 터치스크린기반의 CE기기에서 한글을 효과적으로 입력하는 새로운 형태의 터치 GUI 기반 인터페이스를 제시한다. 제시된 한글입력방식인 심플키(SimpleKey)는 기존의 한글입력방식인 천지인, EZ한글, 모아키 등과는 다른 터치 제스처 기반 자음 중심의 7~12인치 터치스크린에 최적화된 방식이다. 심플키는 터치제스처와 누르는 세기 구분을 포함하고, 자음 중심 키배열에 모음 빈도 분석을 통한 제스처 매핑을 적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된 방식은 현재 8.9 인치 크기의 포터블 디바이스에 적용 구현하였으며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해 심플키의 효과성을 검증했다.

노인용 그립형 한글입력 인터페이스 (A Grip Type Korean Text Entry Interface for the Elderly)

  • 장희동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5-22
    • /
    • 2009
  • 우리사회는, 모든 구성원들에게 컴퓨터사용 능력을 요구하는 정보화지식사회이면서 또한 60세이상 노인들이 많이 존재하는 초고령화 사회이다. 그러나 우리사회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한계를 고려한 노인용 컴퓨터들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신체적 능력과 한계를 고려하여 디자인한 그립형 한글 입력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노인용 한글 인터페이스를 기존 제품들인 노인용 키보드(ME TOO SV01)와 노인용 휴대폰(LG KV-3900) 입력 버튼들에 대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방법은 측량을 통한 정량적 평가와 10명 노인들을 대상으로 만족도(5점 만점) 실험을 통한 정성적 평가를 하였다. 정량적 평가결과에 의하면, 제안한 한글 입력인터페이스는 인체공학적인 입체적 디자인과 입력버튼들의 위치, 손가락 이동을 요구하는 입력버튼 수, 손가락 최대 이동 범위, 입력에 사용되는 손가락 수의 항목에서 가장 우수했다.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항목별 만족도(5점 만점) 평가결과에 의하면 인터페이스 모양와 입력버튼 위치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버튼들의 간격과 문자입력 편리성은 두 번째로 우수하였지만 평가점수로는 키보드의 가장 높은 점수들과 근접하였다.

  • PDF

멀티터치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Character Input using a Multi-touch Screen)

  • 서우영;오한울;박홍진;김현수;조현중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1-392
    • /
    • 2009
  • 최근 모바일 기기에서 입력방식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멀티터치 입력방식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다양한 방식의 입력을 가능하게 하였다. 기존 싱글 터치 입력 방식을 사용한 모바일 한글 입력방식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멀티터치 입력방식에 접목시켜 한글 입력방식을 연구함으로써 좀 더 직관적이고 차별화된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Efficient Mobile Writing System with Korean Input Interface Based on Face Recognition

  • Kim, Jong-Hyu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9-56
    • /
    • 2020
  • 가상 키보드방식의 문자 입력 시스템은 고정된 버튼 위치를 터치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편한 사람들이나 노인들은 입력하기가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시키고자,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RGB 카메라를 통해 얻은 영상과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자판 입력과 필기 기능이 가능한 효율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이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얼굴인식을 활용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컨트롤 좌표를 계산하고, 이 좌표 값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고 조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개발한다. 얼굴인식을 기반으로 계산된 컨트롤 위치는 자판의 글자를 선택하고 전달하는 포인터 역할을 하며, 마지막으로 전달된 글자들을 조합하여 한글 자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통합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얼굴인식 기술을 활용한 효율적인 필기 시스템이며, 이 시스템을 사용하면 일반인 뿐 만 아니라 신체가 불편한 지체장애인의 의사소통 및 특수교육 환경도 개선시킬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N-gram 모델을 이용한 뇌-컴퓨터 한국어 입력기 설계 (Design of Brain-computer Korean typewriter using N-gram model)

  • 이새벽;임희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0년도 제22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43-146
    • /
    • 2010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뇌에서 발생하는 생체신호를 통하여 컴퓨터나 외부기기를 직접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다. 자발적으로 언어를 생성하지 못하는 환자들을 위하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한국어를 자유롭게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을 위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에서 낮은 정보전달률을 개선하기 위해서 음절 n-gram과 어절 n-gram 모델을 이용하여 언어 예측 모델을 구현하였다. 또한 실제 이를 이용한 뇌 컴퓨터 한국어 입력기를 설계하였다, 이는 기존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에서 특징 추출이나 기계학습 방법의 성능향상을 위한 연구와는 차별적인 방법이다.

  • PDF

터치스크린에서의 모음의 방향성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식의 설계 (A Design of Korean Input Method using Direction of Vowel on the Touch Screen)

  • 임양원;임한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924-932
    • /
    • 2011
  •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기기의 보급이 활성화되었지만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 대한 한글 입력 방식은 키패드를 이용한 버튼식 방식이 대부분이며, 터치를 이용하더라도 기존 쿼티키를 그대로 적용한 인터페이스를 채택하여 터치만 할뿐 기존방식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서는 제한적인 화면의 크기를 갖는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을 가진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한글입력시스템에 대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이는 모든 모음에 한글 창제원리에 맞는 방향성을 할당하여 드래그하는 방법으로 모음을 입력하도록 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식보다 입력에 필요한 한글입력자판을 단순화하면서 한글 입력의 신속성 측면에서 매우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서 입력을 위한 한/영 자동 토글 시스템 (Hangul/English Automatic Toggle System for Document Input)

  • 최연우;서동린;김용수;박영호;이금석;김철호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2년도 제4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1-328
    • /
    • 1992
  • 컴퓨터의 보급과 활용이 늘어남에 따라 한글과 영문이 혼합된 문서 작성의 필요성이 계속 증대되고 있다.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서 사용자의 편리성과 효율성을 최대한 배려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고 있어서 보다 편리한 한/영 혼용문서의 작성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키보드를 통한 한/영 혼용문 입력시에 입력된 문서의 내용을 입력 오토마타 및 사전 수록 정보를 토대로 분석하여 자동적으로 한글 또는 영문으로 변환하는 자동토글 시스템 개발에 대해 설명하고, 현재의 시스템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점 및 개선 방향을 기술한다.

  • PDF

시선 입력 장치에 의한 한글 입력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angul Input Methodology for Eye-gaze Interface)

  • 서한석;김치용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239-244
    • /
    • 2004
  • 정보사회의 발전에 있어 정보의 수집, 전달 둥을 위해 수많은 IT기기가 개발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IT기기를 장애자나 고령자를 포함, 누구나가 쉽게 이용 할 수 있도록 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상체부자유자의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시선 입력 장치가 주목 받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인 흐름에서 본 연구에서는 Eye-gaze Interface를 이용한 시선 입력만으로 컴퓨터상에서 한글입력이 가능한 한글 입력 시스템을 개발 제안한다. 또한 본 연구의 목적으로는 기존의 키보드 마우스에 의한 입력 장치와 Eye-gaze Interface를 이용한 입력 장치와의 정점과 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정보사회에 있어서의 장애자와 고령자들의 Barrier Free에 관한 연구를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Eye-gaze Interface는 Eye Tech Digital System회사의 Quick Glance System를 사용한다. 장애자와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사용자 평가 실험에 의해 실험을 진행 하였으며, 한글의 음운규칙에 관한 연구를 기초로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 일본어가 입력 가능한 입력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것은 컴퓨터 조작이 곤란한 장애자와 고령자가 일반인과의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 PDF

통합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연구 : 인공 신경망 모델을 이용한 한글 필기체 On-line 인식 (A Study on the Intelligent Man-Machine Interface System: On-Line Recognition of Hand-writing Hangul using Artificial Neural Net Models)

  • 최정훈;권희용;황희융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26-131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Error Back Propagation 학습을 이용해 한글 문자를 On-Line 인식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Pointing device의 궤적을 추적해 입력 패턴의 특징(feature)을 추출해 신경 회로망 입력으로 준다. 이때 사용하는 특징은 기본 획 (stroke)의 종류 및 획간의 상대적 위치 관계이다. 학습과정에서는 자소의 정의를 읽어 초성, 중성, 종성에 대해 각 획수마다 정의된 신경회로망의 weight를 조정한다. 인식 과정에서는 초성, 중성, 종성의 순으로 에러가 최소인 획수의 신경회로망 출력을 택하여 2 바이트 조합형 코드로 완성한다. 이로써 Intelligent Man-Machine Interface 시스템중 위치 및 크기에 무관한 전필 입력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필기 입력데이터에 대한 언어식별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Language Identification System for Handwriting Input Data)

  • 임채균;김규호;이기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63-68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시대로의 도약을 위하여 모바일 기기의 입력 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기존의 마우스, 키보드뿐만 아니라 필기, 음성, 시각, 터치와 같이 다분야로 세분화되어 새로운 인터페이스가 연구되고 있다. 특히 소형 모바일 기기에서는 크기로 인하여 추가가능한 장치의 제약이 심하기 때문에, 작은 화면에서도 효율적인 입력 인터페이스로 필기 인식이 대두되고 있다. 필기 인식에 대한 이전 연구는 2차원 영상을 기반으로 하거나 벡터로 입력받은 필기데이터를 인식하는 알고리즘이 대부분이며, 필기 인식 알고리즘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연구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실제 필기 입력하는 경우에는 현재 문자가 영문 대/소문자, 한글, 숫자 등의 어느 분류에 속하는지 선택해야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기반으로 형상 분석을 통하여, 영문이나 한글의 여부를 판단하고 언어식별이 가능한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기법은 벡터 단위의 집합으로 필기 데이터를 취급하여 각 벡터 간의 상호관계와 방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언어식별을 가능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