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한자어

Search Result 54,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Terminology for Construction of Structured Glossary - A Morphological Analysis of Sino-Korean Suffixes of Compound Noun in Humanities & Social Sciences (구조적 학술용어사전 구축에 있어서 인문사회분야 복합명사의 한자어 접미사 형태분석에 의한 용어의 개념화에 관한 연구)

  • Park, Seong-Eun;Shin, You-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123-128
    • /
    • 2013
  • 본 연구는 한자어 접미사를 가진 학술용어 복합명사의 형태를 분석하고, 한자어 접미사를 가진 복합 명사의 범주화를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배경은 구조적 학술용어사전의 구축과 관련하여 용어의 효율적인 개념화 방법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한자어 접미사를 가진 인문사회분야 복합명사의 형태를 분석하여, 출현 빈도가 10회 이상인 한자어 접미사를 각 분야별로 14개씩 추출하였다. 그리고 각 한자어 접미사가 배정된 개념범주와 개념범주 배정 빈도를 분석한 결과, 동음이의 한자어 접미사를 가진 경우 개념범주가 다양하게 배정될 수 있지만, 동음동형 한자어 접미사를 가진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는 특징을 파악하였다. 또한 특정 한자어 접미사가 하나의 개념범주에 배정된 빈도가 높고 그 외의 개념범주에 배정된 빈도는 현저히 낮을 경우 빈도가 높은 개념범주에 배정되는 것이 더 타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Hanja word processing on Hangul disyllabic characteristics (한글의 음절특성에 따른 한자어 정보처리)

  • 이재욱;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125-130
    • /
    • 2002
  • 우리의 언어생활을 비추어 볼 때 한자어 정보처리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유어 언구에 비해 소흘해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단일 한자어를 구성하는 각 음절이 단어의 재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점화과제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실험은 기존의 한자어 연구에 빈도특성과 고유어와 외래어의 글자특성까지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았다. 먼저 실험1의 어휘판단관제에서는 고유어와 한자어의 양상이 비슷하며 외래어는 다른 처리를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고유어와 한자어는 빈도에 따라 영향을 받지만 외래어는 빈도의 영향에 변함없이 일정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한국인은 고유어와 한자어를 동일한 양상으로 처리하며 이런 이유는 외래어의 한국어와는 다른 음운규칙이나 음절규칙의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실험 2에서는 한자어 형태소와 의미적으로 유사한 조건(강도-강력)과 철자적 유사 조건(강도-강변), 고유어 유사 조건(강도-강정)조건을 점화과제를 이용하여 어휘판단을 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 모든 조건이 통제조건에 비하여 빠르게 나왔다. 그리고 의미적 유사 조건이 촉진적 점화효과를 일으키고, 철자적 유사조건은 억제 효과를 일으켰으며 고유어는 특이하게도 판단시간이 빠르게 나와 한자어와는 다른 처리과정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결과는 지연조건에서도 동일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런 결과는 한자어는 어휘접근 이후에도 실험의 과제 특성상 한자어 형태소는 단어 수준 아래 위치하기는 힘든 반면, 고유어는 단어 수준 아래에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결국 한자어와 고유어는 기본적으로 외래어와 다른 처리를 보이면 한자어와 고유어 내에서도 한자어는 단어접근 전에 의미접근의 단계를 거쳐야 하지만 고유어는 각 음절이 형태소가 아니기 때문에 바로 어휘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ulic geometry and sediment transport has been applied to: (1) gravel-bed transport measurements in a cobble-bed stream at Little Granite Creek, Wyoming; (2) sand and gravel transport by size fraction in the sharp meander bends of Fall River, Colorado; (3) changes in sand dune geometry and resistance to flow during major floods of the Rhine River in the Netherlands; (4) changes in hydraulic geometry of the Rio Grande downstream of Cochiti Dam, New Mexico; and (5)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and the Coriolis force on flow velocity and sediment transport of the Lower Mississippi River in Louisiana. Recent developments also include two textbooks on "Erosion and Sedimentation" and "River Mechanics" by the author and state-of-the-art papers in the ASCE Journal of Hydraulic Engineering.rk on is diversified, the importance of skills are diversified in each field of jobs.

  • PDF

Proposed Methodology for Building Korean Machine Translation Data sets Considering Phonetic Features (단어의 음성학적 특징을 이용한 한국어 기계 번역 데이터 세트 구축 방안)

  • Zhang Qinghao;Yang Hongjian;Serin Kim;Hyuk-Chul K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592-595
    • /
    • 2022
  • 한국어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일상어의 경우 한자어와 외래어의 비중이 약 53%, 전문어의 경우 약 92%에 달한다. 한자어나 외래어는 중국이나 다른 나라로부터 영향을 받아 한국에서 쓰이는 단어들이다. 한국어에서 사용되는 한자어와 외래어의 한글 표기과 원어 표기를 발음해보면, 발음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자어인 도서관(图书馆)을 중국어로 발음해보면 thu.ʂu.kwan'로 해당 단어에 대한 한국 사람의 발음과 상당히 유사하다. 본 논문에서는 Source Length, Source IPA Length, Target Length, Target IPA Length, IPA Distance 등 총 5가지의 음성학적 특징을 고려한 한국어-중국어 한국어-영어 단어 기계번역 데이터 세트를 구축하고자 한다.

  • PDF

Processing of Orthography and Phonology in Reading Sino-Korean Words (한자어의 표기정보와 음운정보 처리)

  • Yi, Kwang-Oh;Bae, Sung-Bong;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5.10a
    • /
    • pp.63-72
    • /
    • 2005
  • 한자어의 처리에서 나타나는 표기중복의 효과가 표기 처리에 기인한 것인지 음운 처리에 기인한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에서는, 점화어-표적어의 관계를 표기불일치(음운일치), 음운불일치(표기일치), 음운-표기일치, 무 관련의 네 가지로 조작하였다 또한, 음운규칙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유음화, 비음화, 연음화의 세 가지 규칙이 자극의 구성에 이용되었다. 점화어의 제시방식은 차폐점화와 SOA 200ms의 두 가지가 사용되었다. 음변화의 종류 및 점화어 제시방식에 관계없이, 음운불일치조건에서의 반응 양상이 음운-표기일치조건에서의 반응 양상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표기중복의 효과가 음운처리에 의한 것이 아님을 시사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실험 1에서는 표적어에 음변화 규칙이 적용되었으나 실험 2에서는 점화어에 음변화 규칙이 적용되었다. 실험 2의 결과, 음운 불일치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표기불일치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실험 1과 2의 결과는 한자어 처리에서 음운정보가 아니라 표기정보의 우선성을 지지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the Trisyllabic Words with same form-morpheme and same meaning in Modern Chinese and the Trisyllabic Korea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ith same form-morpheme and same meaning (현대 중국어의 삼음사(三音詞)와 현용 한국 삼음절(三音節) 한자어(漢字語)의 동형(同形) 동소어(同素語) 비교 연구)

  • CHOE, GEUM DAN
    • Cross-Cultural Studies
    • /
    • v.25
    • /
    • pp.743-773
    • /
    • 2011
  • In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done a comparative analysis of 4,791 trisyllabic modern Chinese vocabularies from "a dictionary for trisyllabic modern Chinese word" and the corresponding Korean word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out of 170,000 vocabularies hereupon that are collected in "new age new Korean dictionar y". Aa a result, we have the total 407 pairs of corresponding group with the following 3 types: 1) Chinese : Korean 3(2) : 3 syllable Chinese characters with completely same form-morpheme and same meaning, use, class (376pairs, 92.38% of 407), 2) Chinese : Korean 3 : 3 syllable Chinese characters with completely same form-morpheme and partly same meaning, use, class (18pairs, 4.42% of 407), 3)Chinese : Korean 3 : 3 syllable Chinese characters with completely same form-morpheme and different meaning, use, class (13pairs, 3.19% of 407).

The exploration of the effects of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on Korean word recognition (한국어 단어재인에 있어서 빈도와 길이 효과 탐색)

  • Lee, Changhwan;Lee, Yoonhyoung;Kim, Tae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
    • /
    • pp.54-61
    • /
    • 2016
  • Because a word is the basic unit of language processing, studies of the word recognition processing and the variables that contribute to word recognition processing are very important. Word frequency and word length are recognized as important factors on word recogn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ose two variables on the Korean word recognition processing. In Experiment 1, two types of Hangul words, pure Hangul words and Hangul words with Hanja counterparts, were used to explore the frequency effects. A frequency effect was not observed for Hangul words with Hanja counterparts. In Experiment 2, the word length was manipulated to determine if the word length effect appears in Hangul word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one syllable words were processed more slowly than two syllable words. Th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s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native korean terminology in elementary mathematics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의 변천에 대한 연구)

  • Park, Kyo Sik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1 no.2
    • /
    • pp.291-308
    • /
    • 2017
  • In 1946, many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re coined new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USAMGIK(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rough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various circles. 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created at the time, many of them are coined, either by using native korean word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chines characters, or by abbreviating newly coin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However, in less than 20 years, about half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made in 1946~1947 has been went back to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and most of those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has been used up to now from then. Althoug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the discomfort of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s pointed out and it is claimed that the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s helpful, it is not everything to hurry to use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ttempts to convert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nto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prudent. When a certa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is used, if it must be used only because it is a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then the term has no choice but to fai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as conclusions for the successful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n this viewpoint. First, attempts to co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continu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urvival power of well-preserv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ilure factors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which does not survive today.

  • PDF

The fantastic nature of and Modern change possibility (<박씨전>의 환상성과 현대적 변용 가능성)

  • Ro, mok-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01-202
    • /
    • 2019
  • '환상'이란 현실에 대한 전복적인 기능을 하는 비현실적인 것이다. 서양에서는 이것을 'Fantasy'라고 하고, 고전소설에서는 '신이(神異), 기이(奇異), 괴이(怪異)'와 같은 한자어가 주로 사용되었다. <박씨전>은 인물, 사건, 배경에서 환상성이 드러난다. 이 논문에서는 <박씨전>의 환상성을 활용하여 문화콘텐츠의 원형적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해보았다.

  • PDF

An Experimental Approach of Keyword Extraction in Korean-Chinese Text (국한문 혼용 텍스트 색인어 추출기법 연구 『시사총보』를 중심으로)

  • Jeong, Yoo Kyung;Ban, Jae-y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6 no.4
    • /
    • pp.7-19
    • /
    • 201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chnique for keyword extraction in Korean-Chinese text in the modern period. We considered a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a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as a possible method for this study. We applied our method to the journal "Sisachongbo," employing proper-noun dictionaries and a list of stop words to extract index terms. The results show that our system achieved better performance than a Chinese morphological analyzer in terms of recall and precision. This study is the first research to develop an automatic indexing system in the traditional Korean-Chinese mixed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