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nsition of native korean terminology in elementary mathematics

우리나라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의 변천에 대한 연구

  • Received : 2017.04.15
  • Accepted : 2017.05.19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In 1946, many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re coined newly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of USAMGIK(the United State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through referring to the opinions of various circles. 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created at the time, many of them are coined, either by using native korean words corresponding to the meaning of chines characters, or by abbreviating newly coin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However, in less than 20 years, about half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made in 1946~1947 has been went back to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and most of those chines character mathematical terms has been used up to now from then. Although,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the discomfort of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s pointed out and it is claimed that the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s helpful, it is not everything to hurry to use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Attempts to convert chinese characters mathematical terms into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prudent. When a certa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is used, if it must be used only because it is a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 then the term has no choice but to fail.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following three implications as conclusions for the successful use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in this viewpoint. First, attempts to coin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should be continu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urvival power of well-preserved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Thir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ilure factors of native korean mathematical terms which does not survive today.

초등학교 고유어 수학 용어는 1946년에 군정청 문교부에서 각계의 의견을 들어 처음으로 만들어졌다. 당시에 만들어진 고유어 수학 용어의 대부분은 대개 한자의 뜻에 해당하는 고유어를 사용하거나, 그렇게 만든 것을 축약하여 만든 것이다. 그러나 20년도 지나지 않아 고유어 수학 용어의 반 정도가 다시 한자어 수학 용어로 환원되었고, 대부분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되고 있다. 수학 교수 학습에서 한자어 수학 용어의 불편함이 지적되고 있고,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이 도움이 될 것으로 주장되고 있지만,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을 서두르는 것은 능사가 아니다. 한자어 수학 용어를 고유어 수학 용어로 바꾸는 시도는 신중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성공적인 고유어 수학 용어의 사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제언을 결론으로 제시한다. 첫째, 고유어 수학 용어를 만들려는 시도와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현재 잘 존속하고 있는 고유어 수학 용어가 가진 생존력의 정체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존속되지 않는 고유어 수학 용어의 실패 요인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향신문 (1970. 3. 24). 외솔의 造語.
  2. 교육부 (1994). 산수 6-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 교육부 (1997). 수학 6-2.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4. 교육부 (1999). 수학 6-1. 서울: 국정교과서주식회사.
  5.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개발을 위한 편수자료: 기초과학, 정보 편.
  6. 교육부 (2015b).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7. 교육인적자원부 (2004). 편수자료 III 기초과학 편.
  8. 교육인적자원부 (2007). 편수자료 III 기초과학 편 (제2판).
  9. 군정청 문교부 (1946a). 초등셈본 4-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0. 군정청 문교부 (1946b). 초등셈본 6-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1. 군정청 문교부 (1947). 초등셈본 5-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2. 김연식, 박교식 (1994). 우리나라의 학교 수학 용어의 재검토.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4(2), 1-10.
  13. 김철수 (1947). 초등셈본 지도해설서 (문교부 발행 국정교과서 의거) (6年 前期). 서울: 금용도서문구주식회사.
  14. 도종훈, 박지현 (2013a). 교수요목기부터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까지 학교 수학 용어의 표현 변화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3(4), 491-503.
  15. 도종훈, 박지현 (2013b).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수학 용어 변화표. 초등교육연구, 28. 부산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49-80.
  16. 문교부 (1948). 초등셈본(산수공부) 4-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7. 문교부 (1949a). 초등셈본 2-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8. 문교부 (1949b). 초등셈본(산수공부) 5-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9. 문교부 (1949c). 초등셈본 6-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20. 문교부 (1949d). 초등셈본(산수공부) 4-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21. 문교부 (1950). 셈본 5-2.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22. 문교부 (1952a). 셈본 1-2. 자유인쇄공사.
  23. 문교부 (1952b). 셈본 3-2. 연학사.
  24. 문교부 (1953a). 셈본 3-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5. 문교부 (1953b). 셈본 5-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6. 문교부 (1953c). 셈본 6-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7. 문교부 (1954a). 셈본 4-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8. 문교부 (1954b). 셈본 4-2.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29. 문교부 (1954c). 셈본 6-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30. 문교부 (1964). 편수자료 제5집.
  31. 문교부 (1967).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2. 문교부 (1973).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3. 문교부 (1982).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4. 문교부 (1983).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5. 문교부 (1988). 문교40년사.
  36. 문교부 (1990). 산수 6-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37. 박교식 (2005). 북한의 학교수학 용어의 현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7(1). 1-15.
  38. 박지현, 도종훈 (2011). 해방 이후 현재까지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제시된 수학용어의 비교 분석. 제16회 國際數學英才敎育세미나(2011. 8. 43-55 August 2011) 프로시딩. 43-55.
  39. 박한식 (2007). 수학용어에 대하여.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23(6). 통권112호.
  40. 서울신문 (1946. 3. 25). 군정청 학무국, 학술용어제정위원회 설치.
  41. 이종국 (2000). 미군정기 및 교수 요목기의 교육과정과 교과용 도서 편찬: 광복.교수 요목기의 교과용 도서 편찬.발행을 중심으로(55-151).
  42. 허강, 곽상만, 김용만, 정태범, 함수곤, 한명희, 이경환, 이종국, 박소희, 유장상. 한국편수사 연구(I).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43. 허강, 곽상만, 김용만, 정태범, 함수곤, 윤종영, 김영일, 이종국, 박소희, 유장상 (2001). 한국편수사 연구(II). 서울: 한국교과서연구재단.
  44. 정재환 (2012). 해방 후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내용과 성과. 한글, 296, 151-196.
  45. 조선일보 (1946. 11. 20). 문교부, 학술용어제정위원회 조직.
  46. 조선일보 (1947. 3. 23). 알기 어려운 신제 국문 용어. 문교부 편찬 교과서에 관한 비판.
  47. 조선일보 (1947. 3. 23). 통일용어제정은 각계 권위를 망O해서 된 것.
  48.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교과서 편수 자료: 기초 과학 편.
  49. 허민 (2013). 수학 용어의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27(4). 391-46.
  50. 허민 (2016a). 수학에 쓰이는 한자말에 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30(2). 121-138.
  51. 허민 (2016b). 한자말 수학 용어의 문제점과 극복 방안. 570돌 한글날 맞이 한글문화토론회(한자어의 이해 과정과 어원 지식의 역할, 2016. 9. 23) 자료집. 4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