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지리

Search Result 6,45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study on establishing a standard metadata for facilitating the usage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지리정보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안 정립에 관한 연구)

  • Kim, Kye-Hyun;Park, Hong-Gi;Kim, Gun-Soo;Song, Yong-Cheol;Kim, Han-Guck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95-100
    • /
    • 2003
  • 중앙정부나 지자체를 중심으로 지리정보체계(GIS)구축사업이 광범위하게 추진되고 있는 지금, 지리정보구축에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 각 기관들에 산재된 지리정보의 공동 활용이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리정보 생산 및 관리의 효율성과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지리정보목록의작성및관리에관한지침'이 2002년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다 현재 국가지리정보유통망에서의 활용을 위해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만, 지리정보관리기관의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해서는 부족한 부분이 많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 지침에 의거하여 ISO 19115에 부합되는 새로운 통합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 개발을 목적으로 메타데이터 표준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은 유통용 메타데이터 표준을 모두 수용하고, 기존 메타데이터와의 비교분석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지리정보 관리를 위한 관리용 메타데이터 항목을 추가하여 총 13개 섹션으로 설계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국가메타데이터 표준(안)을 통해서 우선 사용목적에 맞는 다양한 지리정보를 검색하고 활용하기 위한 표준화된 기반이 구축되어 공공부문 및 민간부문의 GIS 활성화를 위한 커다란 초석이 마련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Flat bitterling, Paracheilognathus rhombea and Korean striped bitterling, Acheilognathus yamatsutae Mori, in the Subfamily Cyprinidae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 권문정;하봉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1
    • /
    • pp.80-86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잉어아과에 속하는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와 난의 carotenoid 조성을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수컷 2.3mg%, 납지리 암컷 1.1mg%, 줄납자루 수컷 1.9mg%, 줄납자루 암컷 0.8mg%로 나타나 수컷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이 암컷 표피보다 다소 높았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lutein, lutein epoxide, tunaxanthin, zeaxanthin, triol 이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beta-carotene,$ $\alpha-cryptoxantinm$ cyn-thiaxantin 이 함유되어 있었다. 납지리 수컷의 표피에는 줄납자루 수컷에 비해 lutein의 함량치가 높았고 줄납자루 수컷의 경우는 납지리 수컷이 비해 lutein epoxide와 tunaxanthin의 함량치가 높았다. 그리고 납지리 암컷을 표피에는 줄납자루 dkat에 비해 lutein epoxide 함량치가 높았도 줄납자루 암컷의 표피에는 납자리 와 줄납자루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납지리 1.8mg%, 와 줄납자루 2.5mg%로 표피와는 달리 줄납자루 난의 함량치가 높았다. 납지리와 줄납자루 난의 carotenoid 조성은 다 같이 lutein, lutein epoxid 가 주성분을 이루었고 그외 triol은 표피에 비해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잉어아과의 납지리와 줄납자루의 표피 및 나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High School Students' Geographic Misconceptions Recognized by Teachers (교사들이 인지하는 고등학생들의 한국지리 오개념)

  • Kim, Mins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8 no.3
    • /
    • pp.482-496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misconceptions in the subject of Korean geography, and further to create categories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misconceptions. The researcher asked experienced geography teachers to produce a list of students' geographic misconceptions, and then classified the misconceptions.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were created: 1) self-centered understanding based on everyday life and experience, 2) confusion by words, 3) inappropriate applications of operational definition or geographic concepts, 4) naive inference, and 5) inflexible generalization. The validity of this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through a panel discussion with experts in geography education. The misconceptions that belonged to the categories of naive inference and inflexible generalization occupied a great portion. The misconception list in this study provides a useful data-set for researchers whose interest lies in misconception, and geography teachers can devise a lesson plan that explicitly emphasizes correct geographic concepts to prevent students from establishing misconceptions.

  • PDF

Efficient Publishing Spatial Information as GML for Interoperability of Heterogeneous Spatial Database Systems (이질적인 공간정보시스템의 상호 운용성을 위한 효과적인 지리데이터의 GML 사상)

  • 정원일;배해영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7 no.1
    • /
    • pp.12-26
    • /
    • 2004
  • In the past, geographic data is constructed and serviced through independent formats of its own according to each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ecently the provision of interoperability in GIS is important to efficiently apply the various geographic data between conventional GIS's. Whereupon OGC(Open GIS Consortium) proposed GML(Geography Markup Language) to offer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heterogeneous GISs in distributed environments. The GML is an XML encoding for the transport and storage of ge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both the spatial and non-spatial properties of geographic features. Also, the GML includes Web Map Server Implementation Specification to service the GML documents. Accordingly the prototype to provide the reciprocal interchange of geographic information between conventional GIS's and GML documents is widely studi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apping method of geographic in formation between spatial database and GML for the prototype to support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heterogeneous geographic information. For this method, firstly the scheme of converting geographic in Formation of the conventional spatial database into the GML document according to the GML specification is explained, and secondly the scheme to transform geographic information of GML documents to geographic data of spatial database is showed. Consequently, the proposed method is applicable to the framework for integrated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Web by making an offer the interoperability between already built geographic information of conventional GIS's using a mapping method of geographic information between spatial database and GML.

  • PDF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 (중국의 지리교육과정 변천과 지리과정표준의 구성체계)

  • Kang, Chang-S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8 no.2
    • /
    • pp.217-231
    • /
    • 2012
  • Geography is a core subject for mutual understanding a relationship between Korea, China, and Japan. But the research and report on the Chinese geography education are poor progressed in Korea.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changes and the organization of Geography Curriculum Standards(GC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hinese geography curriculum development, political ideology and changes of society could lead to serious influences on the geography education. It is change through the process stage of prosperity${\rightarrow}$withdrawal${\rightarrow}$promotion${\rightarrow}$development. Second, most recently, Chinese GCS carried out a drastic reform of their geography curriculum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needs and activity, the organic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and synthesis, practical value of the geography. Third, the organization of GCS consist of an introduction, curriculum objective, contents standard, performance rules. Fourth, the middle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basis of the geographical knowledge and skills in the 4 subjects(the earth and the maps, world geography, Chinese geography, regional geography). Finally, The high school GC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 student' occupational course and consideration of regional circumstances.

  • PDF

GeoVideo : Vide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오 비디오 :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

  • 김경호;김성수;이성호;이종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23-625
    • /
    • 2003
  • 공간정보와 멀티미디어가 긴밀히 결합된 새로운 형태의 지리정보 환경이 미디어 지리정보시스템(MediaGIS)이다.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VideoGIS)은 미디어 지리정보시스템의 한 예로서 공간정보와 비디오와의 결합과 상호작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지오 비디오(GeoVideo)는 비디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조회, 검색, 분석 등이 가능한 최초의 비디오 지리정보시스템이다. 지오 비디오는 기존의 인위적이고 함축적이고 그래픽적인 패러다임에서 자연적이고 사실적이고 이미지적인 패러다임으로의 변화의 의미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와 공간정보의 결합에 대해 자세히 논의하고 시스템 구성 방법에 있어서의 고려사항 등에 관해서 논의하기로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eographic Information Encoding Service System based on GML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Son, Hoon-Soo;Kim, Dong-O;Lee, Yong-Soo;Han, Ki-Joo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1a
    • /
    • pp.91-97
    • /
    • 2003
  • 지리공간 정보가 사용되는 분야나 환경에 따라 사용되는 표준 데이타 포맷이 다르므로 다른 환경의 지리공간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환경에 맞는 데이타 포맷으로 변환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다양한 분야의 지리공간 정보를 상호 운용이 가능하도록 지리공간 정보를 엔코딩해 주는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이 요구되게 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리공간 정보를 OGC의 GML 3.0으로 엔코딩해 주는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특히, 지리공간 정보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엔코딩하기 위해 엔코딩 방법을 정의하는 매핑 규칙을 활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GML 기반 지리공간 정보 엔코딩 서비스 시스템을 활용해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인 ZEUS에 구축된 지리공간 정보를 GML 3.0으로 엔코딩 하거나, 역으로 GML 3.0을 ZEUS의 지리공간 정보로 엔코딩하여 상호 운용할 수 있다.

  • PDF

A Design of Sightseeing GIS Using Web-GIS Design Method (Web-GTS 설계 기법을 이용한 관광지리정보시스템 설계)

  • 오정진;홍성태;오병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05d
    • /
    • pp.1056-1061
    • /
    • 2002
  • 지리정보시스템은 이미 우리 생황의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활용 범위가 확대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지리정보시스템을 WWW 환경에서 구축함으로써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지리정보시스템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과 같이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에는 속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Client/Server 설계, GIS-Engine 설계, 위치 검색 시스템 설계, 수직 분할 구조의 설계 등 Web 기반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설계 기법을 고찰해 보고, 이들 설계 기법을 이용한 관광지리정보시스템을 설계해 보았다. 앞으로 계속된 연구를 통하여 이를 구현하여 Web-GIS를 관광분야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며, Web-GIS가 단지 지리정보의 검색시스템으로 한정하지 않고 응용 범위를 확대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 PDF

A Development of Integrated Map Preprocessor for Mobile GIS Visualization (Mobile GIS 가시화를 위한 Integrated Map Preprocessor 개발)

  • Jeon, Chang-Young;Park, Jun;Song, Eun-Ha;Jeong, Young-Sik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5.05a
    • /
    • pp.707-710
    • /
    • 2005
  • 과거 지리정보시스템 서비스들은 단일 어플리케이션에서 동작되어 왔다. 데이터 처리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컴퓨터 및 Mobile 사양이 높아지면서 사용자들은 각각의 지리정보시스템 자체 데이터는 물론, 이질적인 다른 여러 지리정보시스템의 통합 가시화와 효율적인 공유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지리정보시스템 어플리케이션들은 자체 데이터 포맷과 상이한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대표적인 형식이고 국립지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DXF(Drawing eXchange Format)파일 포맷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리 정보인 DWG(DraWinG), SHP(SHaPefile)등의 포맷을 통합된 하나의 뷰어를 통해 가시화하기 위한 IMP(Integrated Map Preprocessor)를 설계한다. 또한 Mobile 지리정보시스템 환경에서의 데이터 활용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추출된 정보를 공통된 기준의 의미부여로 인덱싱화하여 DB에 저장한다.

  • PDF

A Extension of XQuery for Integrated Geographic Information Retrieval of GML (GML 문서의 통합 지리 정보 검색을 위한 XQuery의 확장)

  • 안영수;박순영;정원일;배해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17-619
    • /
    • 2003
  • GML(Geography Markup Language)은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장점을 이용하여 지리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을 위해 OGC(Open GIS Consortium)에서 제안되었다 이러한 GML은 웹 환경의 발전에 따라 지리 정보 통합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GML 문서에 대한 지리 데이터 검색 기술은 미흡하다. 최근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는 XML 문서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표준 질의어로 XQuery를 추천하기 위한 작업 초안(working draft) 상태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XML 질의어는 지리 정보의 추출에 대한 고려는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ML 문서를 기반으로 지리 정보를 검색. 추출할 수 있는 GML Query language인 GQuery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GQuery는 서로 이질적인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통할하여. 통합된 문서내의 지리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