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남동부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Marine terrace and its implications to paleoenvironment during the Quaternary at Suje-ri - Suryum-ri of the East coast of Gyeongju, SE Korea (한반도 남동부 경주시 수제리-수렴리의 해안단구와 제4기 환경변화)

  • HWANG, Sangill;SHIN, Jaeryul;YOON, Soon-Ock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9 no.3
    • /
    • pp.97-108
    • /
    • 2012
  • During the last few decades, the ever-increasing knowledge of coastal morphogenic processes has made marine terraces the most recognizable, widespread and scientifically reliable records to determine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vertical movements that have affected the tectonically active coastal regions during the Quaternary. This study first aims to address the marine terrace records from Suje-ri to Suryum-ri along the coast of Gyeongju, SE Korea. Eight distinct flights of terraces, including HH YC, elevated up to 160 m above present sea level have been mapped along the coast of the study areas, and are designated $L_{II}$ to HH YC from the youngest to oldest. Based on the elevation of paleo-shoreline and inferred formation age for HH YC uplift rate since the middle Pleistocene has been estimated at 0.23 mm/year. Establishing the nature and timing of the uplift history derived from marine terraces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neotectonic framework for explain enigmatic, complex landscape evolution in the Korean peninsula.

A comparative study on the crustal structure models using microearthquakes in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1995 to 1996 (1995-96년 한반도 남동부 지역의 미소지진 자료를 이용한 지각구조 모델의 비교 연구)

  • Lee, Gi Hwa;Jeong, Tae 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physical Society
    • /
    • v.2 no.1
    • /
    • pp.1-8
    • /
    • 1999
  • Using the microearthquake data acquired from 1995 to 1996 through the seismic network opera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Geology, Mining & Materials (KIGAM), the three P-wave velocity models proposed by Lee (1979), Kim·Kim (1983) and Kim·Jung (1985) concerning the structure of the southea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least square errors of the P-wave arrival times. The three models do not differ significantly in arrival time residuals except that the Lee's model gives slightly deeper focuses than the others. The layering of the crust of the peninsula is not clear as yet and to be studied by more earthquake and explosion data in the future.

  • PDF

Modern diatom seasonal variation records from the bottom sediments of reservoirs, southern area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 남부지역의 저수지에서 계절 변화에 따른 규조류 변화 기록)

  • Young-Suk Bak;Sangheon Yi;Dong Wook Kim;Eunmi Lee;Yongmi Kim;Chang Pyo Jun;Jin Cheul Kim;Han Woo Choi;Moon Sang Shin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32 no.1_2
    • /
    • pp.1-29
    • /
    • 2018
  • We investigated the seasonal variation of diatoms from the modern bottom floor sediments of the reservoir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studied reservoirs include each three reservoirs from Southeastern part, Central Southern part and Southwestern part, respectively, to compare the dominant diatom assemblages that are ecologically controlled by local environments. In the Southeastern region,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Fragilaria tenera, Gomphonema gracile, G. parvulum and Gyrosigma attenuatum were dominant species. Aulacoseira spp., Cymbella tumida, Cymbella turgidula, Diploneis finnica and Fragilaria crotonensis were dominant taxa in the Central Southern regions. In the southwestern region, Aulacoseira spp., Fragilaria crotonensis, Gomphonema parvulum and Stenopterobia curvular were predominated. Of which Aulacoseira spp. were predominant species at all reservoirs. In addition most of dominants are saproxenous taxa living in the clean water area, and the water quality of these reservoirs is considered to be less polluted water. As a result of seasonal comparison of diatom productivity, the first productivity is higher in summer than in winter. However, diatom valve abundance in the southeastern reservoirs was fewer from the samples collected at May than February.

한국의 특수 자연동굴

  • 한국동굴학회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19
    • /
    • pp.4-50
    • /
    • 1989
  • 정선군은 본 동굴 이외에도 비룡굴과 화암굴을 갖고 있는 강원도의 남동부에 속하는 해발 800m 이상의 많은 산들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산간군이다. 본 여량산호동굴은 강원도 정선군 북면 여량사리의 산(1060m)의 북동 면 해발 97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석회동굴이다.(중략)

  • PDF

남동부해역의 통항량 및 사고사례 분석을 통한 관제 방안

  • Jo, Gi-Jeong;No, Jeong-Su;Park, Ji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88-190
    • /
    • 2013
  • 국제 해상물동량(해상화물 수송량은 10년 사이에 매년 평균 4.3%씩)의 증가에 따라 해양사고의 발생 빈도도 높아지고 있으며, 사고의 규모도 대형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해상에서의 선박 위험도 저감을 위한 많은 시스템들이 개발/운영되고 있지만, 대부분 실시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충돌위험 등을 분석하고 있고, 선박간의 충돌 외의 선박의 주변 환경에 대한 고려는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해상에서의 통항량 및 10년간 사고를 분석하여, 충돌등 사고가 많은 남동부 해역(여수/통영/진해)의 통항패턴, 교차구역 및 해양사고 특성을 분석해보고, 이에 따라 Sector별 특징적 집중 관제 방안을 마련하여, 선제적 안전 서비스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Palynological Study of Moojechi Bog (무제치늪의 화분분석 연구)

  • 최기룡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5 no.1
    • /
    • pp.13-20
    • /
    • 2001
  • The Pollen analyses and the $^{14}C$-dating of the sediments of Moojechi bog were performed in order to study the vegetation history and the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southeasterm montane zone of Korea. These results show that the local pollen assemblage of the montane zone changed from lower upward cool-temperate northern/altimontane forest(MI) into cool-temperate central/montane forest(M II a) and cool-temperate souther $n_montane forest(M II b). Furthermore, In the case of the present cool temperatur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s, its distribution would begin to be expanded from 8,000yr B.P., and its regional differentiation would be developed from 6,700yr B.P..P.

  • PDF

목장 탐방-충남 논산의 한솔목장을 찾아서

  • Lee, Se-Yeon
    • 월간낙농육우
    • /
    • v.26 no.12 s.296
    • /
    • pp.161-163
    • /
    • 2006
  • 충청남도 남동부에 위치한 인구 17만의 도시 논산은 동북부에서 동남부에 걸쳐 계룡산맥과 대둔산 줄기가 지나 험준한 산악지대를 형성하고 있고, 북서부와 남서부는 평평하고 낮은 구릉지가 전개되는 전형적인 동고서저의 지형적 특색을 지니고 있으며, 낮은 지역이 많아 대부분 농경지로 쓰여 주곡 중심의 농업이 발달했다. 또한 이곳 논산은 강경 젓갈 축제, 딸기축제 등으로 유명하기도 하다. 이번 12월호에는 이 곳 논산에 위치한 논산낙우회 소속인 한솔목장을 찾았다. 한솔목장은 역사가 그리 길진 않지만 한동환 목장주의 피땀여린 노력과 적절한 투자로 현재는 110여두의 소들과 체세포, 세균수 모두 지속적으로 1등급을 유지해 나갈 정도의 중견목장으로 성장했다. 또한 한솔목장 한동환 목장주는 논산낙우회 재무를 7년간이나 맡아오면서 지역 낙농업 발전에 한축을 담당해 오고 있다.

  • PDF

Environment Improvement in Namdomg Pond Linked with Seunggi Stream (승기천과 연계한 남동유수지의 환경개선방안)

  • Kim, Gee-Hyoung;Hahm, Chang-Hah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981-986
    • /
    • 2007
  • 현재 인천연안에는 홍수방지와 원활한 하천수 방류를 목적으로 많은 유수지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유수지는 유역으로부터 유입된 오염물질의 축척으로 수질이 심각한 상태에 있으며 대부분의 유수지 수질이 5등급을 초과하는 등 악취에 의한 민원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이러한 유수지를 통해 저류되었던 유량이 해안으로 방류되면서 인천연안의 해양수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해양수질 개선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인천의 승기천, 장수천, 굴포천을 포함한 5대 하천복원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특히 승기천의 경우 승기천 본류에 대한 하천복원사업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기 위해서는 승기천 최하류에 위치하고 있는 남동유수지와 연계된 하천복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승기천 복원사업은 남동유수지와는 별도로 진행되고 있어 승기천의 성공적인 복원을 위해서는 남동유수지가 당면하고 있는 수질개선 문제, 퇴적된 저니의 준설 문제, 향후 남동유수지의 운영 개선방안 등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필수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과거 남동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1996년과 1997년에 열대성 식물인 부레옥잠을 유수지에 식재하여 남동유수지의 자연정화를 유도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예산의 과다소요와 동절기 정화능력 상실 및 부레옥잠 사멸시 2차 오염 초래의 문제 등으로 인하여 사업을 중단하였고 같은 해 유수지 퇴적물의 준설을 통한 수질개선도 시도하였으나, 퇴적물 성분 중에 함유된 중금속으로 인해 준설토의 처리문제가 해결되지 못해 사업이 유보되어 남동유수지는 현재까지 특별한 환경개선 방안이나 운영방안 없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으로 남동유수지가 현재와 같은 상황으로 유지된다면 승기천 복원사업 종료 이후에도 남동유수지는 생활환경을 저해하는 지배적인 요인으로 남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중인 승기천 오염하천 정화사업이 종료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남동유수지에 대해 승기천과 연계한 유수지의 환경개선 방법을 제안하였다. 준설을 통해 유수지의 근본적인 오염원을 제거하고 남동유수지 유입부에 인공습지와 수처리설비를 설치하여 유수지의 수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수질이 3급수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설치된 인공습지에는 철새도래지를 조성하여 유수지 유입수인 철새가 날아드는 하천인 승기천의 테마와 연계하도록 하였다. 인공습지 주변으로 식생호안을 설치하고 유수지 주변에는 산책로를 설치하여 지역주민들의 친환경 수변공간으로 활용하도록 하였다. 1유수지와 연결된 2유수지는 BTL사업을 통해 주변공단으로부터의 오폐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도록 하였으며 2유수지를 매립하여 지하는 강우시 유출수 저류가 가능한 화물차주차장으로 활용하고 지상은 녹지공간으로 조성하여 공단근로자 및 지역주민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남동유수지 환경 개선 사업 실행을 위한 정책 연구로 연구결과를 인천시가 적극 수용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인천시의 환경 현안 문제인 남동유수지의 수질개선을 통해 시민의 휴식 및 여가선용 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한 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미 설계검토가 시작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유수지 및 저수지의 환경개선 사업의 선두적인 성공사례로 국내 타 지역의 유사한 사업에 있어 벤치마킹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사례가 될 것이다.

  • PDF

Geochemical Implication of Rare Earth Element from Yellow sand (Asian Dust) at Daejeon Area, Korea: A Preliminary Study for Clarifying Source Area of Yellow Sand (대전지역 황사(아시아 먼지)내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지구화학적 특성-근원지 규명을 위한 초기연구)

  • Lee, Seung-Gu;Youm, Seung-Ju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1
    • /
    • pp.44-50
    • /
    • 2008
  • A geochemical technique based on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was used to clarity the source of the Asian dust (Yellow sand) in the Daejeon area. The Asian dusts were collected 4 times during 31th March- 2nd April and 25th May-27th May 2007. The Yellow sand shows PAAS (Post Archean Australian Shale)-normalized REE pattern of the flattened LREE and slightly depleted LREE without Eu anomaly, whereas the Daejeon soil has slightly enriched LREE and depleted HREE with negative Eu anomaly. Our results show that REE patterns of the Asian dust are LREE-flattened similar to those of the sediment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Ordos desert. This suggests that Asian dust in the Daejeon area might be derived from the south-eastern part of Ordos dese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