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현대단독주택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주택의 공간구조 변천에 대하여 -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평면분석

  • 노형래
    • 건축사
    • /
    • 2호통권382호
    • /
    • pp.60-66
    • /
    • 2001
  • 우리나라 주거양식의 근대화는 단순히 전통한옥에서 현대의 주택, 아파트로의 교체가 아니라 일련의 연속적인 변화과정 속에서 시대를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주택이란 삶을 담는 그릇'이라는 표현에서 볼 수 있듯이 주택이란 거주자의 가치관을 포함한 주생활양식과의 대응 속에서 주거환경의 질적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주거양식의 변화에 관한 연구 또한 이러한 삶과 문화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의 배경 하에 과거 전통주택에서부터 근대화 이후의 여러 주택유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형을 포함한 우리 나라 주택이 가지는 공간구조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조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통사회의 양반주택, 도시형한옥, 표준주택, 일반단독주택, 작가주택, 아파트에 이르는 다양한 주택유형을 포함하여 총 104개의 주택평면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의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주택유형들이 보여주는 공간구조와 그 통시적 변화를 객관적이고 계량적인 방법론을 이용하여 관찰하고자 공간구문론의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주택형식에 따른 기능적 형상학을 뛰어넘는 사회학적 형태학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주거의 변천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개의 주택형식에 대한 고려보다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설명해주는데 용이한 대상을 중심으로 전반적인 변화의 양상과 그러한 변화에 내재한 사회적 동인과 배경을 파악하고 이해하고자 하였다.

  • PDF

한국 현대단독주택 전이공간의 경제적 특성에 관한 연구 (Boundary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Space in Modern Korean Houses)

  • 김해영;곽경숙;김형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28-133
    • /
    • 2008
  • As societal development improves the quality of life and changes the structure of society, the needs of the residents have been varied. As a result, the spaces in Korean houses have also been varied. This phenomenon can be found in both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a transitional space, which connects the outside space and the inside space, is formed as transition occurs at each phase of movement. As the importance of external and internal spaces is emphasized, and as internal spaces are extended to the exterior, various forms of transitional space are needed. In this study, the boundary types of internal/external spaces are analyzed through transitional spaces that are formed in relation with internal and external spaces. Based on the analysis, transitional spaces in modem Korean houses are classified into the addition type, the cutting type, and the connection typ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ransitional spaces in detached houses tend to be placed closely to rooms and a public space, and in terms of material use, the externalization of internal spaces is occurring.

  • PDF

현대 도시 단독주택의 중정식 평면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lans of Court type in Modern Urban Detached Houses)

  • 이선옥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1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urt type in Urban Detached Houses. This study deals with single-unit Korean houses designed by architects, which are included in architectural periodicals and books published since 1980.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ypes of houses court plan are obtained from the mass of site and plans shape. There are five types which are Backyard type, Corridor type, Atrium type, Inner garden type, and Dae-chyung-ma-roo type. And 9 plans of Dae-chyung-ma-roo type house are shown in this paper. Especially, Dae-chyung-ma-roo type is outdoor space with over 2 door of the room and that is extended indoor space.

  • PDF

주거공간 실내구성요소에 나타난 서양 고전양식의 적용경향 (The Application Tendency of Western Classic Style Appeared to Residencial Space Interior Composition Elements)

  • 오혜경;이지현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4호
    • /
    • pp.115-12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양에서 오랜 역사를 통해 발달해 온 시대별 고전 양식이 현재 한국의 주거공간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의 경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는 것으로 최근 5년 간 발행되었던 6개 종류의 관련 전문잡지를 조사하여 사양 고전양식으로 시공되거나 코디네이션된 주거공간 99사례의 사진을 조사하고 공간유형별, 실내구성요소별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의 현대 주거공간에 나타난 서양고전양식의 공간별 적용경향을 보면 아파트와 단독주택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었고, 실별로는 거실, 부부침실, 식당 순이었으며 거실에서는 차분하고 안정감을 주는 직선의 신고전 양식이, 침실에서는 부드러운 곡선의 로코코 양식이, 식당에서는 식탁과 의자등 가구에 로코코 양식이 쓰이고 있었다. 한편, 단일적용으로는 로코코 양식과 신고전 양식이 비슷하게 많이 나타났고 혼합적용 또한 로코코 양식과 신고전 양식이 혼합된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2. 한국 현대 주거공간에 나타난 서양고전양식의 실내구성요소별 적용경향은 신고전 양식의 벽, 르네상스 양식의 천장, 신고전 양식의 천장, 신고전 양식의 창과 문, 로코코 양식의 가구, 로코코 양식과 신고전 양식의 장식이 많이 적용됨으로써 로코코양식과 신고전 양식이 우세하였다. 이들은 원형보다는 변형으로 적용된 경우가 압도적으로 우세하였다.

  • PDF

도심주거지에 나타나는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에 대한 고찰 - 용산구 용산동2가 해방촌을 중심으로 - (Examination of Urban Gardening as an Everydayness in Urban Residential Area, Haebangchon)

  • 심주영;조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2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화 과정에서 간과되었던 우리의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Urban Gardening)를 재발견하는 과정으로, 자생적 도심주거지 해방촌에서 나타나는 도시정원가꾸기의 이해와 장소적 특성 고찰을 통해 현대적 의미의 도시정원이 단독주택지 주민들의 삶과 연계하여 물리적 환경 개선과 지역 주민들간 관계 형성을 견고하게 하는 매개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지인 해방촌(解放村)은 자생적으로 형성된 단독주택지지역으로, 1940년대 후반 도시빈민의 임시 정착지로 형성되었으나 '60년대 주거지 양성화와 '70년대~'90년대 자력 재개발사업에 의한 현지 개량을 거치면서 서울 도심의 대표적인 서민 주거지로 자리 잡았다. 특히 이 지역은 용산 미군부대와 남산으로 둘러싸여 섬처럼 존재하는 지리적 여건을 지니며 주거지 개발의 붐에서 비켜 있었으므로 다른 도심주거지에 비해 물리적 환경변화가 적고 주민들 역시 오랜 시간동안 지역에서 거주해온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을 바탕으로 해방촌을 크게 3개의 권역으로 나누고, 도시 조직과 주거형태 변화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도시정원가꾸기의 특징과 일상문화를 면밀히 관찰하였다. 서울민의 대중적 삶이 적층되어 있는 해방촌의 도시정원가꾸기는 근 현대 주거사의 변천과 생활상 변화에 따라 다양한 공간과 속성으로 변용, 진화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들 장소는 고밀화 된 주거지에서 발현된 자연-정원에 대한 주민들에 욕망의 표현이며, 가꾸기를 통해 드러나는 참여의 장, 실천적 행위의 장소이다. 지역 주민들의 삶의 양식이 누적된 독특한 일상생활문화로서 지역 고유의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주거와 마당-정원의 원형적 관계가 남아있는 단독주택지에서 도시정원은 반사적 공간의 공공적 공유가 발생하는 특성이 나타나며, 중층적 공간 구조 사이에서 창조적인 공간 사용을 발견한다. 협소한 대지의 효율적 공간 활용으로 나타나는 도시정원은 지역 주민들의 교류를 촉발하는 역할로서 마이크로 규모의 녹지 공간일 뿐만 아니라 복잡한 구조로 만들어진 정원의 도시 이미지를 형성한다. 도시정원에 대한 관심은 도시에서의 먹거리 생산이라는 역할을 넘어 건강과 취미, 교육, 공동체 회복 등 도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과 닿아 있다. 일상문화로서의 도시정원가꾸기는 사소한 다수가 발휘하는 고유한 역량과 독특한 특성에 대한 재발견으로 일상생활문화로서의 공간 활용과 장소에 내재된 가능성, 가치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