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품종

검색결과 8,697건 처리시간 0.036초

벼도열병에 대한 품종의 지속저항성 발현요인에 관한 연구 1. 벼도열병에 대한 지속저항성 품종 개발 (Factors Affecting the Expression of Durable Resistance of Rice Cultivars to Blast Caused by Pyricularia grisea Sacc. 1. Selection of Durably Resistant Cultivars for Rice Blast)

  • 라동수;오정행;류재당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31-236
    • /
    • 1996
  • 한국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품종의 도열별에 대한 지속저항성 품종을 조기에 선발, 보급할 수 있는 방법을 보색하기 위하여 1985년부터 1994년까지 온실 유묘검정, 밭못자리 및 포장검정을 통하여 저항성 정도를 평가하고 재배면적과 재배기간을 참고로 하여 지속저항성 품종을 선발하였다. 도열병에 대한 저항성 품종으로는 다양한 레이스에 침해되면서 개체당 병반수 20개 이내, 밭못자리검정에서는 평균 발병정도 5이하, 본답에서의 잎도열병은 병반면적율 0.5%이하, 이삭도열병 발생은 이병수율 5% 이내로 병발생이 비교적 적은 섬진벼, 팔공벼 및 동진벼를 선발하였고, 지속저항성 품종으로는 재배기간이 10년 이상 유지되면서 재배면적은 전체재배 면적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품종 중 장기간 동안 저항성을 발현하는 동진벼를 선발하였다.

  • PDF

벼 수잉기의 저온처리에 의한 품종간 반응 (Varietal Differences of Low Temperature Response at Booting Stage in Rice)

  • 김기식;김재록;윤경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06-112
    • /
    • 1989
  • 중북부 지방의 장려품종중 통일형은 태백벼 외 4품종, 일반형은 대성벼 외 14품종 등 함계 20품종에 대하여 유수분화기부터 출수시까지 장기령수(19$^{\circ}C$)를 처리하여 직물체 부위에 나타나는 장해 정도, 약과 화분의 변화, 형질, 화분염성 등을 조사하여 품종간 저온반응을 조사하였다. 1. 출수지연은 통일형과 일반형과의 차이보다 품종간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태백벼, 풍산벼, 설악벼, 백양벼, 백암벼 증이 10~15일로 가장 컸다. 2. 간장단축률은 1.6~21.3%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단축이 가장 심했던 품종은 태백벼였고, 가정 적었던 품종은 가야벼, 진흥이었다. 3. 수장의 단축률은 2.9~26.6%RK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가장 심했던 품종은 태백벼, 가장 적었던 품종은 천마벼였다. 4. 약장의 단축률은 1.71~2.51mm까지. 저온처리구는 1.01~1.61m까지 분포되어 있었으며, 저온처리시 약의 형태를 보면 구부러진 것, 길이와 너비가 줄어든 것, 길이만 단축된 것 등 여러 가지 관찰되었다. 5. 약당 화분수는 자연구에서 420~620 개까지 있었으나 저온처리구는 화분수가 현저히 감소되어 41~294개까지 분포되어 있었고, 화분염성은 7.3~80.6%까지 있었다. 6. 화분의 형태는 정당적인 것은 원형이고 염색도 잘 되었으나, 저온장해를 받은 화분은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쭈그러졌거나 내용물이 불충실한 것, 형태는 정상이나 크기가 작아진 것 등을 관찰할 수 있었다. 7. 저온처리구의 수량은 자연구에 비해 백암벼 외 8품종이 20% 이하였고, 오합며 외 5품종은 21~40% 수준이었고, 상풍벼 외 4품종은 41% 이하으로서 높은 수량성을 보였다.

  • PDF

쌀 gel consistency의 품종 및 환경변이 (Varietal and Environmental Variation of Gel Consistency of Rice Flour)

  • 김광호;구자윤;황도엽;공원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8-45
    • /
    • 1993
  • Gel consistancy의 재배환경에 따른 변이정도를 밝히기 위하여 국내 재배품종과 육성 중인 계통을 1988년부터 1992년 걸쳐 재배시기를 달리하거나 질소비료수준을 달리하여 재배, 수확한 뒤 gel consistency를 조사하였다. 1. 품종간 gel consistency의 변이정도는 상당히 켰고 공시 품종수의 85%정도가 60-100mm의 gel길이 를 보여 soft에 속하였다. 2. 자포니카 품종의 gel길이 평균치가 통일형 품종의 평균치보다 켰으며 공시한 찰벼 품종의 gel 길이는 모두 최대 값인 100mm에 가까왔다. 3. 연차변이가 작게 나타나는 품종과 크게 나타나는 품종들이 있으나 이것이 품종간 차이를 크게 뒤 바꾸지는 않았다. 4. Gel길이가 아주 길거나 아주 짧은 품종은 파종기에 따른 변이가 거의 없었으나 일부 인디카형품종은 파종기가 늦어 질수록 gel길이가 다소 짧아졌다. 5. 재배품종과 육성중인 계통의 gel consistency 는 질소시비량 따른 큰 변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품종은 질소시비량이 많아질수록 gel 길이가 다소 짧아졌다.

  • PDF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에 대한 저항성고추 선발 및 저항성기작 연구 (Screening Resistant Red Pepper Varieties to Meloidogyne hapla and their Resistance Mechanisms)

  • 한상찬;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5-191
    • /
    • 1997
  •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에 대한 저항성품종을 선발하고자 175개 고추품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재래종 15품종(IT 102794, 104806, 105516 등)과 도입종 2품종이 저항성이었고 재배품종 중에서는 홍탑고추, 강산고추, 홍실고추와 부강고추가 중도저항성이었다. 저항성반응을 보인 품종에서는 감수성인것에 비하여 선충의 침입수도 적었고 발육도 부진하였다. 또 에스테라제와 퍼옥시다제의 활력에서 저항성 고추품종의 뿌리는 감수성인 것에 비하여 현저히 높았다.

  • PDF

잡초경합에 대한 대두의 품종간 반응 (Responses of Soybean Cultivars to Weed Competition)

  • 변종영;이종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91
    • /
    • 1980
  • 대두의 신육형이 다른 유한형품종 동북태, 수원8003, 광교와 무한형품종 Harosoy, Columbusp Clark 63, Hill을 공시하여 3회 제초. 6적후 1회 제초와 잡초방임 조건에서 잡초와의 경합력에 대한 대두 품종간 차이를 조사하였다. 1. 잡초의 수량은 잡초와의 경합력이 약하였던 대두품종 Columbus, Harosoy와 Hill에서 현저히 높았다. 2. 잡초와의 경합에 의하여 분지수와 협수가 감소되었으며 무한형품종 Columbus ,Harosoy와 Hill에서 그 경향이 현저하였다. 3. 대두의 수량은 잡초방임구에서 잡초에 대한경합력이 약하였던 무한형품종 Columbus는 42%, Harosoy는 39%,Hill은 35% 감수되있으나 유한형품종 수원 8003와 동북태는 수량감소가 적었다.

  • PDF

수출용 절임가지의 저장중에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Salted Eggplants during Storage)

  • 신승렬;김남우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8권3호
    • /
    • pp.34-39
    • /
    • 2003
  • 본 연구는 수출용 가지를 최적 염절임 조건으로 절임한 후 저장 중 품질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조건에서 명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지만, 진공포장한 절임가지의 명도와 황색도는 침지저장한 것에 비해 변화가 적었다. 절임가지의 염도는 절임초기에는 축양 품종과 시키부 품종에서 각각 24.67, 20.27%이었으며 진공포장 한 것은 저장 5일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침지저장 한 것에는 저장중에 계속 감소하였다. pH의 변화는 품종과 저장방법에 관계없이 저장중에 감소하였으며, 수분함량은 절임중에 급격하게 감소하여 축양 품종과 시키부 품종에서 각각 79.93, 82.56%이었으며, 진공포장하여 저장한 절임가지에서는 5일째에 증가하였고 이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침지저장 방법에서는 두 품종 모두 15일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수용성 단백질 함량의 변화도 수분 함량의 변화와 비슷하였다 비타민 C의 함량은 생가지 보다 두 품종 모두 최적조건으로 염절임 한 가지에서 높아 축양 품종과 시키부 품종에서 각각 21.41, 24.53 mg/100g이었으며, 저장중에 그 함량이 감소하였고, 진공포장 저장한 방법이 침지저장한 방법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 적었다 저장기간에 길어질수록 나트륨과 마그네슘의 함량은 감소하였으나 반대로 칼륨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특히 침지저장한 방법에서 이와 같은 변화가 두드러졌다.

  • PDF

차광재배에 적합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품종 선발 (Selection of White Asparagus Varieties Suitable for Shading Culture)

  • 성기철;김동환;김천환;문두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81-86
    • /
    • 2013
  • 본 시험은 차광재배 방법에 의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생산시 적 품종선발을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품종은 화이트 품종 'Backlim' 등 8품종과 그린품종 'Super welcome', 총 9품종 이용하였다. 2008년 12월 24일 72공 플러그트레이에 파종하여 유리온실에서 관리하였으며, 2009년 5월 24일 P.E하우스에 $140{\times}30cm$의 재식거리로 정식하였다. 화이트 아스파라거스 생산을 위하여 2010년 3월 5일 P.E하우스 내에 폭 210cm, 높이 160cm의 소형 터널을 만들고 흑백필름을 이용하여 차광을 하였다. 맹아소요일은 'Ravel' 품종에서 5일로 가장 빨랐고 'Backlim', 'Horlim', 'Herkolim' 품종에서 16~18일로 늦었다. 평균 수확 경수는 'Ravel' 품종에서 6.0개로 가장 많았으며 'Backlim' 품종에서 3.7개로 가장 적었다. 평균 순중은 'Herkolim' 품종에서 25.6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Ravel' 품종에서 15.6g으로 가장 가벼웠다. 10a당 총 수량은 'Herkolim' 품종에서 296kg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Super welcome' 품종으로 275kg이었고 'Rapsody' 품종에서 176kg으로 가장 적었다. 상품수량은 'Super welcome' 품종과 'Herkolim' 품종에서 각각 241kg, 239kg으로 많았고, 'Rapsody' 품종에서 139kg으로 가장 적었다. 또한 L급 이상의 비율도 'Herkolim' 품종에서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 상품수량이 많았던 'Herkolim' 품종이 차광 재배에 의한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를 생산할 경우 가장 유망한 품종으로 생각되었다.

수도 한발저항성 품종 선발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creening Rice Cultivars for Drought Resistance I. Screening at Seedling Stage)

  • 서학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7-12
    • /
    • 1979
  • 748개의 벼 품종을 파종하여 토양수분이 포화된 상태로 30일간 재배한 후 40일간 단수하여 한발을 조장한 다음 각 품종들의 한발에 대한 반응을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발처리기간 중 초장의 신장정도는 일본품종들이 가장 컸고 IRRI 도입품종, 한국재래품종 및 Indica / Japonica 품종 순이었다. 2. 한발처리후의 위조정도는 IRRI도입 품종들이 가장 경미하였고 일본도입품종, Indica / Japonica 품종 및 한국재래품종 순이었다. 3. 유묘기 내한성품종으로 원길조, 한양도, YR 52-$_{x}\textrm{BF}_7-67, Satominori, Mamoriaka, 적야난11004, 죽 홍난, IR 937-55-3, IR2735-F_3B-6-2, IR 2871-53-2, $_{x}\textrm{BFI76}^9/Dwan, Khoo Dook Mali-4-2-105, Os6, Palawan, IRAT10, TOS 2583 및 H-l05 등이 발달되었다. 4. 한발처리후의 조장, 조장신장량 및 초장신장율과 위조정도와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5. 한발처리후의 지상부 생체중, 건물중 및 수분함량과 위조정보와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특히 수분함량과 위조정도와의 상관이 높았다.(r=0.860, n=21). 6. 한발처리후의 도열병발병과 위조정도와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7. 발아속도 및 처리전초장 (30일묘)과 내한성과는 상관이 없었다.

  • PDF

벼 직파재배조건에 따른 입모율의 품종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of Seedling Establishment in Direct-Seeded Rice)

  • 박광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75-178
    • /
    • 2005
  • 국제미작연구소(IRRI)의 IRGC와 INGER유전자원에 대한 직파적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직파조건으로 처리된 20개 시험에서 공통으로 공시된 대비품종군(8개 품종) 직파조건에 대한 입모반응을 검토하여 품종들의 유전적 특성으로 평가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1. 직파조건에 따른 입모율의 품종, 파종시기, 이들의 상호작용 및 모든 처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2. 직파양식, 복토깊이, 파종기 등의 직파조건별 대비품종군의 품종간 입모반응은 거의 같은 경향으로 나타나서 품종의 특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3. 직파조건에 따른 평균 입모율의 품종간 차이는 ASD1 > IR50 > IR72 > Taothabi > Uplri5 > CO25 > Dula > Moroberakan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4. 건답직파(파종깊이 25mm, 50mm)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입모율의 품종 간 차이는 ASD1과 Moroberakan 품종 간에는 모든 직파조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다른 품종들은 직파조건에 따라서 유의성 정도가 다소 상이하여 평균 입모율의 순서와 같은 경향이었다.

사료용 호밀 보급품종의 주요 생육특성과 수량성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age Quality, and Dry Matter Yield of Forage Winter Rye Cultivars)

  • 성병렬;임용우;김맹중;김기용;최기준;임영철;임근발;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1-308
    • /
    • 2004
  • 본 시험의 연구목적은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출수기를 조사하여 숙기군을 분류하고, 지역별 파종기별 적품종을 추천하여 양질 다수성 조사료를 안전하게 생산 이용하기 위함이다. 축산 연구소 조사료자원과 시험포장에서, 2002년에서 2003년까지 2개년 동안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사료용 호밀의 출수기가 가장 빠른 조숙품종은 올호밀, Vita grazer, 팔당호밀 등 3개품종이었으며, 중숙품종에는 Kool grazer, Bi,u grazer, Maton, Winter grazer 및 호밀22호 등 5개 품종이었고, 만숙품종군에는 가장 출수기가 늦은 5월 5일의 Danko와 5월 1일의 Humbolt 등 2개 품종이었다. 사료용 호밀 품종들의 m^{2}당 경수는 대부분의 품종들이 1,000개 이상이었으며, 경수가 가장 적은 품종은 건물수량이 가장 높은 Humbolt 품종의 789개이며, 도복이 비교적 적은 품종은 만생품종 Danko이었다. 그리고 한해, 병해 및 충해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으며, 품종 간 사료 품질 특성의 차이도 다소 있음을 알 수 있다. ha당 건물수량은 표준품종 Kool grazer가 12,409kg일때, 이 보다 증수된 품종은 Humbolt가$23\%$로 가장 높았으며, Vita grazer $21\%$, Maton $13\%$ 등 크게 증수되었으며, 이 밖의 다른 품종들도 5~$10\%$가지 증수되었으며, Homil22는 표준품종과 거의 같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