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특산종

Search Result 5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299-308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명선봉(1.586m)에서 덕평봉(1.521m)에 이르는 아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가 분포하는 천연림의 군집구조를 정확히 파악하여 앞으로 구상나무 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상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26개의 방형구(20m$\times$2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지는 신갈나무-구상나무 군집이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뽕잎피 나무와 철쭉 마가목과 산벚나무, 층층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종들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고 신갈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잣나무와 노린재나무 등의 수종들간에 높은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본 조사지의종다양도는 1.0572-1.0931로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구상나무의 활력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8.32%가 고사목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평균은 9.03이었다 구상나무의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는 해발고와 낙엽퇴의 두께와 정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 PDF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Polygonatum (Ruscaceae)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Rusc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 Jang, Chang-G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2 no.4
    • /
    • pp.417-447
    • /
    • 2002
  • Polygonatum taxa of Korea were classified as two sections, three series and 14 species and 2 varieties and reviewed taxonomically. Among the examined taxa, endemics in Korea were recorded as two species; P. grandicaule Y. S. Kim, B. U. Oh & C. G. Jang and P. infundiflorum Y. S. Kim, B. U. Oh & C. G. Jang. The habitat of Korean unrecorded species, P. acuminatifolium Kom. and P. odoratum var. odoratum were confirmed in this study. Keys to the sections, series and species including description of each taxon were provided here.

Comparison of Growth Condition of Abies koreana Wilson by Districts (지역별 구상나무 생육현황 비교)

  • 추갑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80-87
    • /
    • 2000
  • 구상나무림 보전관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의 아고산지대에 95개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한국특산종 구상나무의 생육현황과 구상나무 서식지의 입지인지를 조사하였다 구상나무는 흉고직경 10-30cm의 범위에 드는 나무들이 주로 고사목으로 나타났으며 고사목의 비율은 전체적으로 총개체수의 11.51%였다 고사목의 비율또한 덕유산에서 18.18%로 가장높게나타났고 한라산 지역이 8.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 치수의 개체수 구상나무의 수고와 흉고직경 생육현황표에 의한 점수 구상나무의 상대밀도 등은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생육중인 구상나무의 활력은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으로 순으로 좋았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치수의 개체수는 한라산에서 6.00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덕유산에서는 치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상나무의 상대밀도도 한라산, 지리산, 덕유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사구당 구상나무 개체수는 해발고와 정의 상관, 방위, 낙엽퇴의 두께, 조사구당 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구상나무 상대밀도는 해발고와는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 방위 조사 구당교목의 개체수 및 종수 수관울폐도, 활엽수 상대밀도와는 부의 상관관계가 인정되었다 지리산, 한라산 및 덕유산에 자생하는 구상나무는 해발고가 높으며 볕이 잘들고 낙엽퇴가 얕으며 종구성이 단순하고 활엽수가 적은 지역에 보다 많이 분포한다.

  • PDF

The Karyotypic Analysis of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 An Endemic Species in Korea (한국(韓國) 특산종(特産種) 수수미꾸리, Niwaella multifasciata Wakiya et Mori(Cobitidae)의 핵형분석(核型分析))

  • Nam, Myung-Mo;Yang, Hong-Jun;Chae, Byung-Soo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3 no.1
    • /
    • pp.36-41
    • /
    • 1991
  • The karyotype of the Niwaella multifasciata, endemic species to the Nakdong River in Kore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e sample species, Niwaella multifasciata collected from the Milyang River and the Nam River which are tributaries of the Nakdong River, has a diploid complement of 50 chromosomes composed of 10 metacentric, 28 submetacentric, 12 subtelocentric chromosomes, and 88 arm numbers. The arm number of Niwaella multifasciata was larger than any other species of Cobitidae. Sexual dimophism and intraspecific polymophism of the chromosomes were not observed in this study.

  • PDF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llium (Alliaceae) (한국산 부추속(Allium, Alliaceae)의 분류학적 재검토)

  • Choi, Hyeok-Jae;Jang, Chang-Gee;Ko, Sung-Chul;Oh, Byoung-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4 no.2
    • /
    • pp.119-152
    • /
    • 2004
  • Allium taxa of Korea were taxonomically reviewed, and classified as three subgenera, ten sections, seventeen species, and three varieties. Among these, Korean endemics were recorded as six taxa; A. koreanum, A. taquetii, A. deltoide-fistulosum, A. linearifolium, A. thunbergii var. deltoides, A. thunbergii var. teretafolium. In addition, A. condensatum, A. splendens and A. maximowiczii proved to distribute only in North Korea. Keys to the subgenera, sections, species and infraspecies with descriptions of each taxon were provided.

Taxonomic review of the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se) (노각나무(Stewartia koreana, 차나무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 Kwon, Hyejin;Song, Hokyung;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8 no.3
    • /
    • pp.233-250
    • /
    • 2008
  •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from the nuclear ribosomal ITS regions were examined to reevaluate the taxonomic position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Stewartia koreana Nakai ex Rehder (Theaceae). Comparing to its morphologically closely related S. pseudocamellia Maxim, S. koreana has diagnostic characters including a larger leaf blade (10 cm length and 5.5 cm wide) and a longer pedicel (2.5 cm length). In addition, S. koreana formed a different clade from S. pseudocamellia in the ITS trees. The morphological and ITS sequence data supported S. koreana as a Korean endemic species distinct from the closely related species, S. pseudocamellia.

Development of Web-based Natural History Museum Multimedia Contents (웹 기반 자연사 박물관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축)

  • 임성은;용환승;송준임;노분조;서수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382-385
    • /
    • 2000
  • 자연사박물관은 과학박물관 중 자연계를 구성하고 있는 자료 및 현상, 자연의 역사에 관한 자료를 자연사과학 및 자연교육의 입장에서 다루는 박물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연사박물관의 컨텐츠 자료 중 특히 천연기념물, 멸종위기종, 보호대상종 및 희귀야생종, 특산종, 신종을 중심으로 웹에 기반한 자연사박물관 컨텐츠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컨텐츠 정보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저장하고, 저장된 자료를 웹 상에서 효과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는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 PDF

해가리비, Anusium japonicum japonicum의 성성숙과 성비

  • 손팔원;정의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3.05a
    • /
    • pp.367-368
    • /
    • 2003
  • 해가리비는 주로 제주도 남부의 서귀포 법환과 강정연안을 중심으로 수심 20∼40m의 모래바닥에 서식하는 제주 지역 특산종이다. 본 종은 각장 13cm까지 성장하는 대형종으로 패각이 아름답고 수율이 높으며 육질의 맛이 단백하여 양식기술이 개발될 경우 산업적으로 매우 가치있는 가리비이다. 그러나 무분별한 남획으로 본 종의 자원량이 날로 감소되어 자원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증ㆍ양식 기술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중략)

  • PDF

Taxonomy of the genus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한국산 현삼속(현삼과)의 분류학적 연구)

  • Han, Kyeongsuk;So, Soonku;Lee, Chung-Hee;Kim, Muyeol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39 no.4
    • /
    • pp.237-246
    • /
    • 2009
  • Inter-specific relationships among six species and two varieties, belonging to Scrophularia (Scrophulariaceae), in Korea were re-examined based on both morphological and molecular data. Scrophularia takesimensis, a Korean endemic species, should be separated from S. grayana as an independent species based upon unique morphological characters such as non-winged stems, thickened leaves and glabrous surfaces of leaves, even though they share a lot of other features. It was found that S. grayana is distributed in Sokcho in Korea and along the coast of the East Sea north to far eastern Russia. Although some morphologies of three taxa, S. cephalantha, S. koraiensis var. velutina and S. kakudensis var. microphylla appeared to differ from each other, their ITS DNA sequence data was similar to that of S. kakudensis, suggesting that they might better be designated with the later species. The taxonomic position of S. koraiensis, only found in Korea, has been ambiguous, but ITS DNA sequence data in this study revealed that this species is distinct from S. kakudensis. Consequently, we conclude that the genus Scrophularia in Korea includes five species.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Cheonwangbong-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Abies koreana Forest- (지리산(智異山) 천왕봉-덕평봉 지역(地域)의 삼림군집구조(森林群集構造)에 관(關)한 연구(硏究) -구상나무림(林)-)

  • Kim, Gab-Tae;Choo, Gab-Chul;Um, Tae-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6 no.2
    • /
    • pp.146-157
    • /
    • 1997
  •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the conservation strategy of Korean native species, Abies koreana forest at Cheonwangbong-Deokpyu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48 plots($10{\times}10m$) were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Three groups - Abies koreana community, Abies koreana-Quercus mongolica community, Picea jezoensis-Betula ermanii community -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High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Picea jezoensis and Sorbus commixta : Quercus mongodica and Fraxinus sieboldiana, Symplocos chinensis : Euonymus macroptera and Vaccinium koreanum, and high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Quereus mongolica and Sorbus commixt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area was calculated 0.7208-1.2074. Vigor of Abies koreana was depressed, 12.24 of total number of Abies koreana investigated were dead. DBH of dead individuals ranged mainly 10-30c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