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청소년

Search Result 4,98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청소년 흡연예방과 금연방법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26 no.5 s.282
    • /
    • pp.8-15
    • /
    • 2002
  • 2002년, 성인들 사이에서 건강을 우려한 금연열풍이 거세다. 여러 가지 효과적인 금연법과 캠페인이 자주 소개되고 있으며 금연구역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흡연에 있어서 안전하지 않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흡연율은 남자 고등학생 기준 27.6%로 세계 최고 수준임은 이미 밝혀진바 있다(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1) 또한 흡연 시작 연령이 점점 낮아지고 있으며 여학생의 흡연율이 급격히 늘고 있는 실정이다.(1991년 여고생 흡연율 2.4%, 2000년 10.7%, 한국금연운동협의회, 2001) 아직 우리나라에서 흡연 청소년을 위한 금연교육은 체계화되어 있지 않으며 학교에서 흡연사실이 발각되더라도 단순한 체벌이나 봉사활동 등으로 일회성에 끝나는 것이 대부분이다. 흔히 청소년 흡연자들은 흡연기간이 길지 않아 의지만 있으면 금연하기가 쉽다고 알고 있지만 상계백병원 청소년 금연클리닉의 조사에 따르면 청소년 흡연자 역시 성인과 비슷한 수준의 니코틴 의존도를 보이고 있다. 청소년 금연 역시 지금의 지도, 체벌 수준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성인과 마찬가지로 과학적, 심리적으로 접근해야 효과가 있다고 한다. 청소년의 달인 5월을 맞이하여 이달의 건강길라잡이에서는 청소년들을 위한 흡연 예방과 청소년의 금연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향상시킬까?: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 Kim, Jong-Seong;Kim, Do-Hyeon;Lee, U-Jin;Kim, S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57-6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지수를 활용하여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이 청소년에게 어떠한 영역에서 효과가 있는지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을 중심으로 검증해 보는 데 있다.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의 3개 영역(인지, 사회, 정의), 9개 하위요소(혁신성, 적극적 문제해결, 대인관계, 리더십, 공감, 위험감수성, 진취성, 자기효능감, 모호함에 대한 인내)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고등학생의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사전-사후 대응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구성하는 인지, 사회, 정의영역 중인지영역과 정의영역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9개 하위요소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인관계 및 위험감수성 요소를 제외하고 7개 하위요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업가정신지수를 활용하여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Young Adults' Programs Analysis & Revitalization in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 청소년프로그램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 Lee, Kyeong-Ran;Hahn, Bock-Hee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0 no.4
    • /
    • pp.115-130
    • /
    • 2009
  • This study aim was to revitalize young adults' programs in public library. For this aim, the study conducts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young adults & the young adults' program librarians on the current state of the young adults' program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suggested preparation of young adults' reading room, young adults' programs development, young adults' web site, young adults' librarian for young adults' programs revitalization in public library.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봉사의 지침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4 no.4 s.341
    • /
    • pp.96-102
    • /
    • 2003
  • IFLA의 어린이/청소년 도서관분과는 전세계의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 발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뿐만 아니라 평생학습의 중요성, 어린이의 독서, 그들의 정보를 제공받을 권리에 대한 인식을 고양시키고 있다. IFLA의 어린이/청소년분과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도서관봉사의 지침'과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봉사의 지침(Guidelines for library services for Young Adults, 원문은 http://www.ifla.org/VII/x10/pub/guidelinese.pdf 참조)'을 마련하여 각 국의 언어로 번역되기를 원하고 있다. 이에 우리 협회는 도서관의 청소년 봉사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송영숙 어린이 청소년 봉사위원회 위원장(서울독서교육연구회 회장)이 번역하여 '독서교육정보'(서울독서교육연구회지)2003년 제30호에 게제한 '청소년을 위한 도서관봉사의 지침'을 재수록한다. -편집자주

  • PDF

청소년의 건강은 내일의 국가자원

  • KOREA ASSOCIATION OF HEALTH PROMOTION
    • 건강소식
    • /
    • v.9 no.4 s.77
    • /
    • pp.42-49
    • /
    • 1985
  • 1985년도는 밝은 미소가 숨쉬는 청소년들의 해! 청소년. 그들의 생각과 사고는 과연 기성세대들에게 간섭을 받아야 하는가. 새로움을 찾고자, 자신의 앞날을 생각하는 견해가 조금씩은 틀린 오늘날 우리 주위에 있는 청소년들 기성세대가 하는 모든 행동등이 청소년들에게는 어떠한 영향을 주는 것일까? 무조건 '청소년들은 각성해야'한다는 과거의 편견들을 이제는 미련없이 던져버리고 따뜻한 마음으로 그들을 맞이하여야 할 때가 이제 우리들 기성세대의 눈앞에 닥쳐와 있다.

  • PDF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 Focusing on Using Youths for Drop in Center (가출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진로태도성숙이 자립준비에 미치는 영향: 일시청소년쉼터 이용청소년을 중심으로)

  • Kim, Eun-yeong;Suh, Borah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197-207
    • /
    • 2018
  • This study analysis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career maturity on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of run away youths using drop in center. This result peer support had more influence on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than in supporting the working class and career maturity had a huge impact on all the low-variables of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Career maturity level for run away youths paly an important role in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just like general youths. On the base this study propose supporting system preparing for independent living, worker empowerment, drop in center's role establish for independent living.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 Health Promotion (청소년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교육)

  • Kim, Seong-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 /
    • v.13 no.1
    • /
    • pp.161-169
    • /
    • 2000
  • 이 연구에서 우리는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서 청소년 건강 복지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추구해본다. 흡연, 음주, 약물 남용의 패턴은 전형적으로 틴에이지 시기에 형성되어진다. 청소년들은 다양한 심리 사회적 이유 때문에 substance 사용을 시작한다. 정책 수립자들의 우선 과제는 청소년들을 교육시키는 것이어야한다.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substance 사용 행위가 종단적 관점에서 연구되어진다. 청소년 substance 사용 행위 예방 교육 프로그램으로부터 얻어진 종단 데이터가 이 연구에서 사용되어진다.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했던 학교들에서 청소년 substance 사용 행위가 더 작은 율로 중가되는 것이 보여지고, 그 효과성이 검증되어진다.

  • PDF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투지의 매개효과: 한국과 중국 청소년 비교 연구)

  • Jeong, Goo-Churl;Jin, Ying-Hu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397-407
    • /
    • 2020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The study subjects were a total of 300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Korean adolescents showed a high level of autonomy in basic psychological needs, while Chinese adolescents showed a high level of competenc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rit as well as subjective well-being. Third, we established that the direct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subjective well-being was more potent in Korean adolescents than Chinese adolescents.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on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gr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was found to be stronger among Chinese youth than Korean youth. Based on thes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grit to improv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and the approaches to improve Korean youth's competence and Chinese youth's autonomy.

Hope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자 희망에 미치는 영향)

  • Jang, Hyo-Jin;Lim, Jung-Ha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 /
    • v.22 no.1
    • /
    • pp.67-7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pe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Four hundred adolescents at two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particip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Hope and social support were assess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inding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level of hope in adolescents. Adolescents' hope was influenced by gender, religious experience and social support. Specifically, informational support of parents and appraisal support of friends were the two most important factors in explaining hope of adolescents.

  • PDF

청소년 흡연 억제를 위한 담배자판기 활용방안에 대한 제고

  • 한국자동판매기공업협회
    • Vending industry
    • /
    • v.1 no.4 s.4
    • /
    • pp.90-91
    • /
    • 2002
  • 청소년 흡연률 세계2위, 아시아 1위, 활발히 확산되는 범사회적 금연운동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흡연률은 오히려 늘면 늘뿐 줄어들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이를 바라보는 국민의 심정이 안타깝기 그지없다. 사태가 이렇게 심각하게 된데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우리 사회가 너무 청소년 흡연을 방치하지 않았나 한번쯤 심각히 반성해야 할 부분이다. 청소년 흡연방지를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실효성 있는 정책과 성인들의 관심과 질타 등이 있었다면 상황은 분명 지금보다는 나아졌을 것이다. 지금보다 실효성 있는 청소년흡연 억제 정책이 시급한 상황에서 그 위기를 구원할 릴리프로 담배자판기를 등판시킨다면 과연 어떨까? 과거만 해도 담배자판기 청소년 흡연조장이라는 이유로 길거리에서 철수되어야 하는 아픔을 겪었고 아직도 그러한 오명으로부터 자유스러울 수 없는 상황이지만 산업계의 기술발달은 이제 과감하고 자신있게 등판을 자청할 상황이 되었다. 위기에 등판한 릴리프는 성인인식장치라는 강력한 강속구로 자신 있게 청소년 흡연증가라는 강타자를 삼진 아웃 시킬 수도 있는게 현상황인 것이다. 문제는 정부관련부처의 담배자판기를 보는 시각변화와 신뢰이다. 100%청소년이용을 차단할 담배자판기를 이용, 기존 유인 담배 판매 유통수단을 대체한다면 청소년 담배구입 루트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비법이 있는 마당에 담배자판기를 언제까지나 색안경을 끼고 봐서는 안될 것이다. 이러한 취지 하에 협회에서는 대정부 관련부처 설득을 진행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청소년보호위원회 홈페이지를 통해 '청소년 흡연 감소를 위한 실질적 대책에 대한 질의 및 제언' 이라는 제목으로 성인인식담배자판기의 적극 활용을 촉구하는 민원을 제출했다. 이제는 정부관련부처의 마인드 변화, 산업계 및 여론의 지지 등이 삼위일체가 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온라인 상에 게재된 하기의 내용이 적극 호응과 지지를 받았으면 하는 바램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