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증권거래소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Real Option Valuation을 이용한 금융혁신의 성과 분석 : 방카슈랑스 금융겸업을 중심으로

  • 김세린;박용태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214-236
    • /
    • 2004
  • 최근 국제 금융시장은 컴퓨터 및 통신분야의 기술진보로 비 은행금융기관에서도 상업은행에 의해서만 독점적으로 제공되었던 거래서비스를 결합한 새로운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곧 은행과 비 은행금융기관의 벽을 무너뜨리는 양자 간 동질화 현상을 유도하였으며 활발한 금융 겸업화 현상으로 금융혁신이라고 부를 만한 서비스분야의 기술혁신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금융권간 판매채널 통합의 시작이라 평가되는 방카슈랑스를 중심으로 금융기관 간 겸업의 활성화를 통해 산업 간 동질화를 이루는 시점에서 금융혁신이 이루어진다고 설정, 금융서비스의 기술혁신 성과를 예측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우리나라 대표 금융기관 격인 은행과 보험, 증권회사가 금융겸업을 이루는 경우 각 겸업 주체 기관의 혁신적인 성과를 실증 분석하도록 한다. 분석대상은 표본기간 중 국내 주식시장에 연속으로 상장되어 있는 모든 은행, 증권, 손해보험 49개를 대상으로 수행하였으며, 표본자료는 KIS-LINE이 제공하는 재무제표자료와 한국증권거래소에서 제공하는 주가데이터에서 추출하였다. 본 연구의 금융혁신 성과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금융기관 간 가상 합병을 이용,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고 그 결과 각 금융기관의 ROA와 자기자본비율 및 안전성(위험성지표)을 분석한다 다음 단계로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 적정하게 추정된 안전성 내에서 경영 성과를 이루는 최적 기간에 대해 실물옵션평가(Real Option Valuation) 분석을 한다. 그 결과 금융겸업을 통한 혁신 성과는 은행 주체로 비 은행금융기관과 겸영하는 경우 이상적으로 잘 보여지며, 증권 주체로 보험업을 겸업하는 경우는 ROA 와 자기자본비율 면에서는 혁신적이나 안전성 면에서는 저해된다는 결과를 알아내었다. 그리고 이 같은 안전성의 위험은 증권업을 실행하는데 요구되는 수준의 안전성을 유지하는 경우 3 년간의 투자기간 후에는 혁신사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된다고 추정하였다.

  • PDF

H. P. Berlage's Modern in The Amsterdam Exchange - The Amsterdam Exchange and H. P. Berlage's Villa Project between 1892 and 1896 - (암스테르담 거래소에서 보이는 근대성에 관한 연구 - 베를라헤의 빌라 프로젝트가 암스테르담의 거래소의 디자인에 미친 영향에 관하여 -)

  • Kang Tae-Woong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5 no.3 s.56
    • /
    • pp.14-23
    • /
    • 2006
  • As a proto-modernist work the Amsterdam Exchange has been regarded as a specimen of Structural Rationalist's architecture. Because of its ma]or steel structure, use of geometry, and reminiscence of Gothic the designer of the building was labeled by Kenneth Frampton as one of the apostles of Viollet le Duc. The architect was Hendrick Petrus Berlage. Contrary to above Nicolaus Pevsner claimed that Berlage's architectural discourse was 'Anti-Rational' because of its anachronistic formal language, Expressionism. In terms of structure Berlage's idea is rational, whilst formally 'Anti-Rational'. These polarised view points were due to the legacies of Modern Architecture that was controled by hegemonic figures in terms not only of practical field but of historiography. The hegemonic figures wanted to see Berlage as what they wanted to see. With this idea, this paper is one of endeavours to collect fragmented history in the early modern architecture. The Amsterdam Exchange has a long term story until the opening. Without understanding the story we have to withhold an evaluation of Berlage's architecture.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Usage of the Digital Copyright Exchange in Knowledge Service Convergence Era (지식서비스 융합시대 디지털저작권거래소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Lee, Jung-Jae;Han, Kyeong-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6
    • /
    • pp.153-158
    • /
    • 2012
  • Digital contents market has been drastically increasing under Clouding Computing and Smart Phone environment. The Contents industry is going to be more essential portion than manufacture or service industry in the near future. One good example of high value-added contents is the Harry Potter series which exceeds 10 years' net profit of Hundai automobile company. This one example shows us very well that digital contents market as a core-engine for culture industry development is economically influential and attractive as well. This study focuses on activation of Digital Copyright Exchange in knowledge service convergence era. First, it examines other services like stock exchange, electronic documents and authentication certificate etc. which are similar to DCE service. Then it analyzes what factors make copyright industry have interested in the DCE the through technology acceptance mode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nally, this study evaluates how the DCE contributes to copyright industry overall including fair utilization of works.

KOSPI 200 선물거래가 현물시장의 정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충격-반응분석을 중심으로

  • Park, Jong-W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5 no.2
    • /
    • pp.107-134
    • /
    • 1998
  • 한국증권거래소는 1996년 5월 3일부터 KOSPI 200을 대상으로 하는 주가지수선물을 거래하고 있다. 주가지수선물거래가 한국주식시장의 정보효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을까? Cox(1976)의 주장대로 주식시장의 효율성이 제고되었을까? 이에 대한 대답을 구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오차수정모형의 구성을 통한 불균형충격반응분석과 예측오차의 분산분해를 이용하여 선물거래가 현물시장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한국주식시장에서 선물거래의 도입 이후에 해외요인과 국내요인으로 대표되는 영구적 효과를 가지는 교란과 일시적 효과를 가지는 고유요인의 교란에 시장가격이 보다 신속히 반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KOSPI 200은 Non-KOSPI 200에 비해 해외요인의 교란에 보다 민감함을 보여주며, Non-KOSPI 200은 KOSPI 200에 비해 국내요인의 변동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함을 보여준다. 고유교란에 대한 KOSPI 200과 Non-KOSPI 200의 반응은 선물거래의 도입 이후에 교란에 대한 반응속도가 현저히 빨라졌음을 보인다. 그러나 KOSPI 200과 Non-KOSPI 200간의 차이는 선물거래 도입 이후에 차별적인 변화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예측오차의 분산분해결과는 전체적으로 선물거래의 도입 이후에 해외요인의 설명력이 커지고, 선물거래가 시장의 정보확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주식시장에서 KOSPI 200 선물거래가 도입된 이후에 현물시장의 정보효율성이 약하나마 향상되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말해준다.

  • PDF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배당락일의 주가행태

  • Kim, Seong-Mi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9 no.1
    • /
    • pp.189-219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증권거래소의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전과 1998년 7월 현금배당락 조치 폐지 이후의 표본을 이용하여 인위적인 거래소의 배당락조치 변경이 배당락일의 주가행태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거래소 배당락기준가격의 오차는 예상대로 더욱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두 기간 모두 배당락일의 주가가 금기예상실효배당금과 거래소가 배당락조치를 위해 인위적으로 산정한 배당금과의 차이인 거래소 배당락기준가격의 오차를 반영할 수 없었다. 또한, 김성민(1997)과 일관되게 단기차익 거래의 유용성은 표본그룹에 관계없이 금기예상실효배당금에 대한 정보소유자가 연말 폐장일에 배당부종가로 구입하여 배당락일인 연초 개장일에 배당락 종가로 매도하는 것이 배당락 시가로 매도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차익거래를 통한 보유기간 세후 수익률은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전인 1997년(4.7%)에 비해 현금배당락조치 폐지 이후 현금배당락을 시키지 않은 $1998{\sim}1999$년(8.9%) 기간에 더 증가하였다. 단기차익을 위한 차익거래가 실질적으로 이루어 졌는지 연초 배당락일 주변의 초과거래량을 분석한 결과 $1997{\sim}1998$ 회계년도의 배당락일에는 유의적인 양(+)의 초과거래량이 발생하였지만 1999 회계년도의 배당락일에는 유의적인 음(-)의 초과거래량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결론을 내릴 수 없었다. 본 연구는 금기예상현금배당에 대한 완전예측을 가정함으로써 배당락일의 주가하락과 주주총회에서 실현될 주당배당금의 괴리는 차익을 제공할 수 있으나 무위험 차익거래 기회가 아님을 밝혀 둔다.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한 모든 일중 및 1일(overnight) 투자수익률에서 옵션 거래량의 상대적 비율에 의거한 투자전략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투자수익률의 차이를 가져왔다.e 측정치에 의해 평가했을 때, 회사채가 주식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Treynor 측정치에 의한 평가를 했을 때는 정기예금이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Jensen 측정치에 따라 투자대상을 평가했을 때는 회사채와 국채가 주식보다 앞섰다. 마지막으로, 종합적인 평가를 했을 때는 회사채가 주식보다 우수했고 정기예금은 주식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유의성은 없었다.의 선도효과가 지배적임을 발견하였다.적 일정하게 하는 소비행동을 목표로 삼고 소비와 투자에 대한 의사결정을 내리고 있음이 실증분석을 통하여 밝혀졌다. 투자자들은 무위험 자산과 위험성 자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투자활동을 행동에 옮기고 있다.서, Los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반전거래전략이 Winner포트폴리오를 매수보유하는 계속거래전략보다 적합한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를 각각 투자대상종목으로써 매수보유한 반전거래전략과 계속거래 전략에 대한 유용성을 비교검증한 Loser포트폴리오와 Winner포트폴리오 각각의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에 의하면, 반전거래전략의 Loser포트폴리오가 계속거래전략의 Winner포트폴리오보다 약 5배정도의 높은 1개월 평균초과수익률을 실현하였고, 반전거래전략의 유용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장단기의 투자기간을 설정할 경우에 6개월에서 36개월로 이동함에 따라 6개월부터 24개월까지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 PDF

A Review of the Legal Nature that Users of the Virtual Currency Exchange Obtain and the Compensation Responsibility for the Damages Caused By Internet Problems or Network Errors (가상통화거래소 이용자가 가지는 법적 성격과 전산장애로 인한 손해배상 책임 연구)

  • Choi, JangW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287-294
    • /
    • 2018
  • This thesis covers legal aspects of the crypto-currency exchange and the legal rights of crypto-currencies holders. Unlike financial markets in which central authorities or intermediaries determine the validity of transactions and manage records, crypto-currency markets utilize a decentralization system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Such distinct characteristics distinguish crypto-currency from currency, notes, or financial instruments. Therefore, we need to check closely the legal principles that are applicable to crypto-currency. Crypto-currency users possess rights indirectly through the crypto-currency exchange. However, we should look at whether crypto-currency can be an object of ownership. This research found that legal protection for crypto-currency exchanges are limited. Domestic laws have many shortcomings to protect users' rights. This study found that users who incurred damages due to internet computation errors at exchanges require a protective system like stock markets. Therefore, studies on the legal controls and system regulations are required to protect users' rights. Also, crypto-currency information exchanges keep inside and protections for users' private information need to be further examined.

한국 및 미국기업의 재무비율과 PER와의 관계에 관한 비교연구

  • Kim, Sang-Gi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3 no.2
    • /
    • pp.97-123
    • /
    • 1996
  • 본 논문은 한국기업 및 미국기업에 있어 재무비율과 주가수익비율의 관계가 어떠한가를 살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한국기업들과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미국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화학업, 금속업, 건설업, 음식료업, 섬유의복업의 5개 업종으로 구분하여 스피어만의 순위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을 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기업의 경우 성장성 관련비율중 일부 및 수익성관련비율의 경우 순위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미국기업의 경우 모든 채무비율의 순위상관계수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주가수익비율(PER)이 주식투자 결정시 유용한 기준이라는 가정하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한국기업의 경우 성장성관련비율중 일부와 수익성관련비율은 주식투자 결정시 유용한 기분이나 미국기업의 경우는 주식투자시 재무비율을 이용하는 방법은 적절치 못하다"

  • PDF

An emmpirical test of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s (Evidence from KOSPI and KOSDAQ) (KOSPI와 KOSDAQ의 포트폴리오 분산효과 실증분석)

  • Lee, Young-Hywan;Yoon, Hong-Geun;Shin, Ju-Bum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5 no.1
    • /
    • pp.45-59
    • /
    • 2007
  • This paper empirically examines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 using data from both KOSPI and KOSDAQ. In KOSPI market,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 disappears when more than 18 stocks are added in the portfolio. About 63% of portfolio risk is eliminated. In KOSDAQ market, the maximum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 is achieved when 17 stocks are at least included in a portfolio. The maximum cumulative risk reduction is 35%.

  • PDF

Determinants of Innovation of ICT firms listed on the Korea Stock Exchange (특허출원자료를 활용한 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 정보통신제조업 유가증권시장 상장사를 대상으로)

  • Kim, Jin-Soo;Choi, Moon-J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210-215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유가증원시장에 상장된 정보통신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술혁신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은 Romer(1990)에서 시작되는 내생적 경제성장 모험의 지식생산함수를 이용하였으며, 기술혁신의 측정은 특허청의 기업별 특허출원수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연구개발집약도, 기술수준, 수출비중, 자본집약도는 기술혁신에 양(+)의, 반면 관계사 매입.매출비중은 기술혁신에 음(-)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관계사 매출비중보다 매일비중이 자사의 기술혁신에 보다 나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는 경영자에게 자사의 기술혁신을 위해 무엇보다 관계사 매입비중을 감소시킬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