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대규모 인체치수조사 사업에서 3차원 측정치와 직접측정치의 차이 분석 -제8차 사이즈코리아 사업을 중심으로- (A Comprehensive Analysis of 3D Body Scanning vs. Manual Measurements in a Large-Scale Anthropometric Survey -Insights from the 8th Size Korea Project-)

  • 박선미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233-253
    • /
    • 2024
  •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three-dimensional (3D) body scanning and manual measurements, aiming to assess whether 3D scanning can replace traditional anthropometric tools, such as tape measures and calipers. Data from 4,478 participants in the 8th Size Korea Project were analyzed, covering 43 measurement items. Since Given that the 3D and manua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on the same subjects in the 8th Size Korea Project,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more accurately between the two measurement methods more accurately. Using Applying ISO 20685-1(2018) standards, 15 out of the 43 items fell within allowable error limits. When classified into six types, "small circumferences" and "segment lengths" showed averages of 3.35 mm and 3.10 mm, respectively, within acceptable range. "Body heights" and "body depths" slightly exceeded the limit, with averages of 5.28 mm and 6.58 mm. "Body widths" and "large circumferences" surpassed the limit, with means of 16.77 mm and 16.18 mm. The study offers an objective basis to for validate validating 3D measurements' measurements' reliability and accuracy, addressing various industries' needs for information on the human body's dimensions information.

한국 청소년의 대표 인체치수 및 3D 인체형상자료에 관한 연구 (Studies on Representative Body Sizes and 3D Body Scan Data of Korean Adolescents)

  • 최승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27-232
    • /
    • 2016
  • 3D 인체형상자료는 인체 적합성이 우수한 제품과 생활공간을 만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보급사업에서 2013년에 수집한 청소년층 3차원 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 청소년의 대표 인체치수를 산출하고 대표 인체치수와 가까운 3D 인체형상자료를 선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여러 측정항목으로 이루어진 다차원 벡터공간을 요인분석을 통해 둘레성분과 길이성분의 2차원 벡터공간으로 투영하였다. 다음으로 2차원 성분공간에서 마할라노비스 거리를 이용하여 대표 인체치수와 이에 가까운 3D 인체형상자료를 선별하였다. 2차원 성분공간에 나타난 청소년기의 성장패턴을 고려하여 남자는 4개의 연령그룹으로 여자는 3개의 연령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성분점수 계수행렬의 열벡터에 대응하는 고유형상을 이용하여 남자는 13개 측정항목, 여자는 14개 측정항목에 대한 대표 인체치수를 연령그룹별로 계산하였다. 여기서 구한 대표 인체치수와 3D 인체형상자료는 3차원 대표 형상을 만드는 데에 매우 유용하다.

비만여성의 의복치수체계 연구 (A Study of Apparel Sizing System for Korean Obese Women)

  • 이경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79-1990
    • /
    • 2009
  • 본 연구는 20세 이상 비만여성을 위한 의류치수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것으로, 2003~2004년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의 원시자료 중 선행연구에 의해 의류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만판정지수 및 비만판정용 측정치 7개 항목(Rohrer지수, Vervaeck지수, BMI, 상대체중, 허리둘레, WHR, 젖가슴둘레) 중 5개 이상의 비만판정도구에서 비만으로 판정된 4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치수체계 제안에 앞서 2,212명의 성인여성 전체의 인체치수와 499명의 비만여성의 기초통계치수를 제시한 결과, 키 등의 높이항목 전체와 키와 상관관계가 높은 몇몇 길이항목을 제외한 대부분의 치수항목 즉, 둘레항 목, 두께 및 너비항목 등에서의 인체측정치가 크고, 비만판정지수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의류의 치수체계 제안을 위해 젖가슴둘레, 엉덩이둘레, 키가 기본신체부위로 선정되었으며, 하의류의 치수체계 제안을 위해 허리둘레와 엉덩이둘레가 기본신체부위로 선정되었다. 치수체계 제안을 위한 교차분석표에서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등 둘레항목은 3cm 간격과 5cm 간격을 비교하여 제시하였으나 키는 5cm 간격으로만 한정하였다. 두 치수간격 중 보다 높은 커버율과 커버효율을 보이는 치수간격을 선택하고, 사용자의 분포율도 전체 비만여성의 1% 이상, 2% 이상 및 3% 이상으로 나누어 각각의 분포율별로 커버율과 커버효율이 높은 치수구간을 선정하였다. 상의류와 하의류 치수체계 모두에서 3% 이상의 사용자 분포율을 보이는 5cm 치수간격이 가장 높은 커버효율을 나타냈으므로, 이 결과를 바탕으로 상의류를 위한 치수호칭으로 10개, 하의류를 위한 치수호칭으로 9개를 제안하였으며, 각 호칭별로 기본신체부위의 평균 인체측정치와 참고신체부위의 평균 인체측정치를 제공하여 호칭별 의류제품의 설계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이즈 코리아 인체 측정 자료에 근거한 30~40대 플러스 사이즈 남성의 체형 특성 및 체형 (Body-shape characteristics and body types of plus-size men in their 30s and 40s based on Korean anthropometric data)

  • 이하나
    • 복식문화연구
    • /
    • 제28권5호
    • /
    • pp.639-651
    • /
    • 2020
  • This study utilized data to classify and characterize the body types of plus-size adult men aged in their 30s and 40s. Diversity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ra of inclusive design, and discussion about size diversity to include the plus size should be accommodated. Data from 493 adult men classified as obese (with a World Health Organization criterion ≥25 BMI)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Six independent factors were extracted using factor analysis for cluster analysis, which were then classified into five types. Type 1 (29.01%) was identified as body type I with the smallest degree of obesity. Type 2 (15.4%) was identified as body type Y with wide shoulders and a thin waist. Type 3 (14.2%) was the largest body volume (body type O), while the fourth (19.27%) identified as body type H has a large height and upper body. Lastly, type 5 (22.11%) has a long lower body and a slim abdomen, referred to as body type X. This study presents a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clothing sizes utilizing the body shape characteristics of plus-size men in their 30s and 40s. Follow-up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patterns for plus size men and to design various products.

한국인 키 및 몸무게 신 평가표에 관한 연구 (New evaluation chart of stature and weight for Koreans)

  • 이신재;김영재;김태우;안석준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53-160
    • /
    • 2006
  • 성장기 환자를 다루는 경우가 많고 치료기간이 긴 교정치료는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현재 활용되고 있는 일반 체성 성장 관찰 도표는 현 시대의 성장기 환자의 체성 성장 추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바 이는 이용된 자료가 오래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하고 대한인간공학회에서 주관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자료를 토대로 현시성 있고 유용한 성장 곡선 및 성장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고 재배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변이를 사분위수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1, 5, 95, 99 백분위수를 추가하여 남녀별 키 몸무게 성장 곡선을 제작하였고 이와 아울러 기하 평균에 기초한 성장 속도 곡선도 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성된 한국인 키 및 몸무게 신 평가표는 성장 발육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성장 발육과 관련, 교정 환자와의 의사 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국인 소아의 성장 발육 평가 자료 제작에 관한 연구 (EVALUATION MODEL OF GROWTH AND DEVELOPMENT IN PEDIATRIC DENTISTRY)

  • 김영재;이신재;김정욱;장기택;이상훈;한세현;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3-180
    • /
    • 2006
  • 성장기 환자를 다루는 소아치과 분야에서 환아의 성장과 발육에 대한 지식 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고 있는 소아성장 측정 도표는 현 시대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오래된 것이거나 혹은 의과적 용도에 맞추어져 있어서 소아치과 분야에 적용하기에는 연령이 극히 제한적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004년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시행하고 대한인간공학회에서 주관한 2004년 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사업보고서 자료를 토대로 현실성 있고 유용한 성장 곡선 및 성장 속도 곡선을 제작하는 과정을 소개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고 재배열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료의 변이를 사분위수를 기본 골격으로 하고 1, 5, 95, 99 백분위수를 추가하여 남 여별 키 몸무게 성장 곡선을 제작하였고 이와 아울러 기하평균에 기초한 성장 속도 곡선도 제작하여 체성 성장 관찰 도표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생성된 성장 발육 평가 자료는 성장 발육의 지표로 이용될 수 있으며, 성장 발육과 관련 소아치과 환자 보호자와의 의사소통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의복 설계를 위한 40-60대 한국 남성의 체형 변화에 관한 연구 - 제 5차, 제 6차 Size Korea 직접 측정치를 기준으로 - (A Study in the 40-60s Korean Male Body Type Changes for Clothing Construction - Focused on the 5th and 6th Size Korea's Anthropometric Data -)

  • 김지은;최혜선;김은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5-172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 pattern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nd their current body shape based on the research materials of the 5th(2004) and 6th(2010) conducted by Size Korea.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the related fashion industry recognize the changes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nd suggest basic materials for clothing design that reflects such trend. As a result of analyzing changes of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by age, it was found that height, length, breadth and weight decreased across most of the items as the age increased. As for circumference, as the age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natural indentation), waist circumference (omphalion), and abdominal extension circumference increased, while other items decreased. In relation to the depth, as the age increased, hip depth and armscye depth decreased, while chest depth, bust depth, waist depth (natural indentation), and waist depth (omphalion) increased. Analyzing the change pattern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ccording to measurement year, height size increased in the 6th year across most of the body part items compared to the 5th year. It means that height of body parts related to body height increased in overall. As for circumference, most items showed decrease, which means that Korean male's body shape in their 40s-60s gets slim gradually. While the breadth of the chest decreased, the depth of the chest increased. which is assumed due to the increase in exercise according to high interest in health in a society.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proper clothes for consumer body type and trends if we design clothes that afford multilateral attention to the patterns, design, or material in clothing design by applying the aspects of Korean male body size in their 40s-60s and body type change.

  • PDF

온라인 판매 브래지어 사이즈의 적합성 분석 (Analysis of Appropriateness for Brassieres' Size at On-Line Shopping Mall)

  • 전은경;한현정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489-499
    • /
    • 2009
  • The spread of internet brought the rapid development of on-line shopping mall, but the information of clothing-related products especially underwears in on-line shopping mall is still poor. Thu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he dimension status and problems of brassieres selling at on-line shopping malls and suggest improving solutions. We surveyed the sales sizes and sales status of brassieres for four top-sales on-line malls and analyzed them based on both of Korean Standards and SizeKorea2005, the measurement data of Korean women's sizes. The results showed that almost of brassieres were for adults(98.8%), and for general purpose(97.8%) while the sales rates of specially targeted products for teen-ager or functional products for nursing mom were very low. Also, we noticed that Korean Standards covers most of SizeKorea measurements of women, but brassieres of only a small portion of size in Korean Standards were manufactured and sold at on-line shopping mall. It means that consumers who do not belong to the sector of most frequent body measurement range suffer difficulties in purchase of brassieres by on-line shopping. Thus, it is required to gather more accurate information about body size of potential consumers and to offer wider range of sizes and target-specific products for the activation of on-line shopping.

액티브 시니어 남성(55~69세) 체형 분석 -중년 남성(35~54세)과 체형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sis of Body Types of Active Senior Males (aged 55-69) -Focused on the Comparison with the Middle Aged Males (aged 35-54)-)

  • 김지은;김은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722-74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ffer basic data that can be used in a clothing industry for active senior males that are emerging as a new consumer bracket in a rapid aging ag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younger' older male body types based on data from the 6th Size Korea. As a result of the body type analysis of 'younger' older males who are considered active seniors in comparison to 'middle' aged males, the former's height items became shorter compared to 'middle' aged males, but circumference items were bigger. Males aged 35-69, who are 'middle' aged males and 'younger' old males were divided into three body types in this study: Type1- small body type with protruded belly, compared to weight. Type 2- body type of slim torso with wide shoulder-back widths. Type3- big body type overall with tall height and heavy weight. According to body type distribution by age group, the middle-aged males had Type2 body type the most. The younger-old males showed type1 the most. There is a need to reflect the body types of active senior male characteristics in apparel pattern design because the current fits are not appropriate if active senior males wear clothing targeted for males aged 30-50.

한국 성인여성의 얼굴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ial Shape of Korean Women)

  • 이경화;김정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938-948
    • /
    • 2009
  •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04년에 실시된 제 5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을 통해 확보된 측정사진 중 성인여성 20, 30, 40, 50대 각 150명, 총 600명의 정면과 측면 얼굴사진을 대상으로 얼굴의 연령별 특성을 파악하는데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62개의 측정항목과 보다 세부적인 얼굴형태의 분석에 활용될 수 있는 21개의 지수 및 계산항목 총 83개 항목을 본 연구자가 선정한 후 Size Kroea 사업 중 얼굴의 측정 프로그램으로 사용되었던 "Venus face2D"를 이용하여 2차원 간접 측정하였다. 간접 측정기간은 2006년 3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인여성의 주요 측정항목에 대한 평균 측정치는 얼굴길이 196mm, 상안 62.3mm, 중안 68.9mm, 하안 66.5mm이었고, 이마너비는 125.1mm, 눈살수평너비는 141.2mm, 옆광대점너비 150.8mm 턱아래점너비 124.4mm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성인여성 얼굴의 세부항목에 대한 연령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전체 성인여성의 평균 얼굴형과 더불어 각 연령집단별 평균 얼굴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화된 수치와 비율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여성 및 각 연령별 평균 얼굴형을 제시하고, 연령별 얼굴특성을 분석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