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지식 기반 대화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ross-document Relation Extraction using Bridging Context Identification (중간 문맥 식별 및 검색을 활용한 문서간 관계 추출)

  • Junyoung Son;Jinsung Kim;Jungwoo Lim;Yoonna Jang;Aram So;Heuiseok L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3.10a
    • /
    • pp.654-658
    • /
    • 2023
  • 관계 추출은 질의응답이나 대화 시스템의 기반이 되는 지식을 구추하기 위한 작업으로, 정보 추출의 기초가 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최근 실세계 지식의 희소한 형태를 구현한 문서간 관계 추출 데이터셋이 제안되어, 여러 문서를 통해 분산되어 언급된 두 개체 사이의 관계 추론을 수행 및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작업에서 추론의 대상이 되는 개체쌍은 한 문서 안에 동시에 언급되지 않기 때문에 여러 문서에 언급된 중간 개체를 통하여 직/간접적으로 추론해야 하나, 원시 텍스트에서 이러한 정보를 수집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체의 동시발생빈도에 기반하여 중간 개체의 중요도를 정량화하고, 이 중요도에 기반화여 중요한 문맥을 식별하는 방법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론은 기존의 두 문서로 구성된 추론 경로를 식별된 중간 개체를 활용하여 확장하여, 관계 추론 모델의 수정 없이 추가된 문맥만을 활용하여 문서간 관계 추출 시스템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었다.

  • PDF

The narrative inquiry on Korean Language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djustment in College Life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능력과 학업 적응에 관한 연구)

  • Cheong Yeun Sook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Relations & Interdisciplinary Education
    • /
    • v.4 no.1
    • /
    • pp.57-83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cores on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among foreign exchange students on academic adaptation. Recruited students,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totaled seven, and their interview contents were analyzed using a comprehensive analysis procedure based on pragmatic eclecticism (Lee, Kim, 2014), utilizing six stages. As a result, factors influencing academic adapt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mensions: academic, daily life, and psychological-emotional aspects. On the academic front, interviewees pointed out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pecialized terminology and studying in their majors, as well as experiencing significant challenges with Chinese characters and Sino-Korean words. Next, from a daily life perspective, even participants holding advanced TOPIK scores faced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emphasizing the necessity of practical expressions and extensive vocabulary for proper adjustment to Korean life. Lastly, within the psychological-emotional dimension, despite being advanced TOPIK holders, they were found to experience considerable stress in conversations or presentations with Koreans. Their lack of knowledge in social-cultural and everyday life culture also led to linguistic errors and contributed to psychological-emotional difficulties, despite proficiency in Korean. Based on these narratives, the conclusion was reached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academic adaptation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t is essential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With this goal in mind, efforts should be directed towards enhancing learners' academic proficiency in their majors, improving Korean language fluency, and foste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academic community. Furthermore, the researchers suggested as a solution to implement various extracurricular activities tailored for foreign learners.

Efficient contrastive learning method through the effective hard negative sampling from DPR (DPR의 효과적인 하드 네거티브 샘플링을 통한 효율적인 대조학습 방법)

  • Seong-Heum Park;Hongjin Kim;Jin-Xia Huang;Oh-Woog Kwon;Harksoo Ki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348-353
    • /
    • 2022
  • 최근 신경망 기반의 언어모델이 발전함에 따라 대부분의 검색 모델에서는 Bi-encoder를 기반으로한 Dense retrieval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DPR은 BM25를 통해 정답 문서와 유사한 정보를 가진 하드 네거티브를 사용하여 대조학습을 통해 성능을 더욱 끌어올린다. 그러나 BM25로 검색된 하드 네거티브는 term-base의 유사도를 통해 뽑히기 때문에, 의미적으로 비슷한 내용을 갖는 하드 네거티브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대조학습의 효율성을 낮출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DRP의 대조학습에서 하드 네거티브의 역할을 본질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문서를 샘플링 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때 얻은 하드 네거티브의 집합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여 효과적으로 대조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지식 기반 대화 데이터셋인 MultiDoc2Dial을 통해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기존 방식보다 더 높은 성능을 나타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