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 의존구조 분석

Search Result 7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ntegrating two dependency parsers : picking the better one (입력 문장 특성을 이용한 의존 구조 분석기 통합)

  • Lee, Jimin;Jung, Sangkeun;Lee, Cheongjae;Lee, Jinsik;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202-206
    • /
    • 2009
  • 의존 구조 분석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의존 구문 분석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 지고 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의존 구조 분석기를 통합하려는 연구도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개의 구문 분석 결과들로부터 새로운 구문 분석 결과를 만들어 내는 기존 연구들과는 다르게, 입력문장의 특성을 사용해서 사용할 의존 구조 분석기를 미리 선택하는 새로운 의존 구조 분석기 통합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학습과 규칙을 함께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형태로 의존 구조 분석기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이 방법을 두 쌍의 의존 구조 분석기 통합에 적용하고 성능 향상이 있었음을 보인다.

  • PDF

Correction Method for Korean Dependency Parsing using Projectivity and Re-searching (투사성과 재탐색을 이용한 결정적 한국어 의존구조 분석의 보정기법)

  • Park, Young-Min;Seo, Jung-Yu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2 no.4
    • /
    • pp.429-447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ified deterministic Korean dependency parser using a projectivity. The modified parser is improved by finding errors, such as cross dependency, from the original parsing results and correcting them according to the projectivity and head-final principles. Our parser also uses parsing history information in addition to rich features, which only a deterministic algorithm can use. Results on the modified parser for ETRI(2005) corpus, that consists of complex sentences, show that our parser outperforms other parsers.

  • PDF

Korean Dependency Parsing Using ELMo and Multi-head Attention (ELMo와 멀티헤드 어텐션을 이용한 한국어 의존 구문 분석)

  • Park, Seongsik;Oh, Shinhyeok;Kim, Hongjin;Kim, Sihyung;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8-12
    • /
    • 2018
  • 구문 분석이란 문장을 단어, 어절, 구 등의 구성 성분으로 분해하고 각각의 구조적 정보를 분석하여 문장의 구조를 알아내는 작업을 말한다. 최근 의존 구문 분석은 심층 신경망을 이용하는 방법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포인터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방법은 다른 심층 신경망보다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포인터 네트워크의 사용만으로 의존 관계와 의존 관계명을 예측하는 것은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사용하는 단어 표상 방법 별로 비교 실험을 진행하고 의존 구문 분석에서 GloVe의 성능이 가장 좋음을 보인다. 또한 언어 모델을 통한 단어 표상 방법인 ELMo와 멀티헤드 어텐션을 사용하여 포인터 네트워크만을 사용 했을 때보다 높은 성능(UAS 92.85%, LAS 90.65%)을 보였다.

  • PDF

Dependency Parser Integration using Word Level Sentence Routing (단어 단위 문장 분배기를 사용한 의존 구조 분석기 통합)

  • Lee, Jimin;Lee, Jinsik;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0.10a
    • /
    • pp.73-77
    • /
    • 2010
  • 본 논문은 의존 구조 분석기를 통합하기 위해 입력 문장의 단어 특성을 활용하는 단어 단위 분배기를 제안한다. 본 모델은 기존의 문장 수준 분배기와는 달리 입력 문장의 단어 특성에 따라 가장 적절한 의존 구조 분석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의존 구조 분석기의 결과를 최종 결과로 사용한다. 기존의 문장 단위 분배기보다 단어 수준의 풍부한 특질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과 큰 크기의 코퍼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총 6개 언어의 LAS를 측정했는데, MALT 보다는 평균 1.98%, MST 보다는 0.54%의 성능 향상이 있었다.

  • PDF

Labeling Dependency Structures using CRFs (CRFs를 이용한 의존구조 구문 레이블링)

  • Jeong, Seokwon;Choi, Maengsik;Kim, Harks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3.10a
    • /
    • pp.137-1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의존구조 분석 결과로부터 구문 레이블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의존 구조 분석 결과의 의존소-지배소 쌍에 대해 자질을 생성하고, 문장 단위로 CRFs를 이용하여 구문 레이블을 부착한다. 실험을 통해 90.8%의 정확도를 보였고, 구문 레이블이 없는 의존구조 시스템의 후처리로 사용 가능하다.

  • PDF

Chunking of Auxiliary Verbs including Dependant Nouns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의 구묶음)

  • Kim, Tae-Woong;Cho, Hee-Young;Seo, Hyung-Won;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79-284
    • /
    • 2006
  • 한국어 부분 구문분석의 단위인 말덩이(chunk)는 하나의 의미적 중심어를 가지며, 그 구문구조가 선형인 구를 말하며, 말덩이를 분석하는 과정을 구묶음(chunking)이라고 한다. 한국어 말덩이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보조용언도 말덩이의 한 종류이다. 이 논문은 (한국해양대학교, 2005)의 연구를 바탕으로 오류를 자주 발생시킨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여 구축된 말뭉치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모든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을 다루기에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므로 "것", "바", "때문", "데" 등의 의존명사를 포함하는 보조용언을 구성하는 말덩이를 중심으로 명확한 기준을 언어학적인 방법으로 제시하고 말뭉치 구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해결방안을 모색한다.

  • PDF

Building Korean Dependency Treebanks Reflected Chunking (구묶음을 반영한 한국어 의존 구조 말뭉치 생성)

  • Namgoong, Young;Kim, Chang-Hyun;Cheon, Min-Ah;Park, Ho-Min;Yoon, Ho;Choi, Min-Seok;Kim, Jae-Kyun;Kim, Jae-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133-138
    • /
    • 2019
  • 의존 구문 분석은 문장 구성 요소의 위치에 제약이 적고 생략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한국어 구문 분석에 적합하다. 하지만 의존 구문 분석을 수행할 때 지배소를 결정해야 할 노드 수가 많으면 계산의 복잡도가 올라가고, 각 노드의 지배소를 결정할 때 방향성 문제가 있어 구문 분석에 모호함을 더한다. 이때 지배소 후위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 구문적 중심어와 의미적 중심어가 불일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해 구묶음을 수행한 문장으로 구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의존 구문 말뭉치를 말덩이 기반의 의존 구문 말뭉치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기술하고, 이에 따라 구축한 말뭉치와 기존의 말뭉치를 정량적으로 비교한다.

  • PDF

Disambiguation on the Analysis of Korean Complex Nominals, Using Probabilistic CFG Parsing (확률적 CFG 파싱을 활용한 한국어 복합명사 구조 분석의 중의성 해소)

  • Kim, Dong-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1.10a
    • /
    • pp.61-66
    • /
    • 2011
  • 본 논문은 한국어 복합명사 구조의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이론 언어학뿐만이 아니라 정보처리, 정보검색과 같은 언어의 전산적 처리에서도 중요한다. 복합명사 구조는 크게 외심구조와 내심구조로 나뉘며 내심구조의 경우에 좌분지나 우분지 구조로 분석이 되어야 하는 중의성이 있다. 기존의 Lauer 모델은 사전적 정보에서 발견되는 확률 정보를 구조 정보에 연결하기 위한 모델로 의존모델과 인접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에 기반을 둔 확률정보를 결합하기 위한 확률적 CFG 파싱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제 코퍼스상에서 발견되는 복합명사 패턴을 대상으로 구조적 분석을 화자 직관을 통해서 진행하고, 이를 다시 Lauer 모델과 확률적 CFG 파싱 방법 응용과 비교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화자 직관에 가장 일치한 예측을 하였으며, 구조에 대한 정보 해석이 가능하였다.

  • PDF

Robust Korean Dependency Analysis Based on CRFs (CRFs를 이용한 강건한 한국어 의존구조 분석)

  • Oh, Jin-Young;Cha, Jeong-W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8.10a
    • /
    • pp.23-28
    • /
    • 2008
  • 한국어 처리에서 구문분석기에 대한 요구는 많은 반면 성능의 한계와 강건함의 부족으로 인해 채택되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구문분석을 레이블링 문제로 전환하여 성능, 속도, 강건함을 모두 실현한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리는 다단계 구 단위화(Cascaded Chunking)를 통해 한국어 구문분석을 시도한다. 각 단계에서는 어절별 품사 태그와 어절 구문표지를 자질로 사용하고 Conditional Random Fields(CRFs)를 이용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는다. 98,412문장 세종 구문 코퍼스로 학습하고 1,430문장(평균 14.59어절)으로 실험한 결과 87.30%의 구문 정확도를 보였다. 이 결과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구문분석기와 대등하거나 우수한 성능이며 기존 구문분석기가 처리하지 못하는 장문도 처리 가능하다.

  • PDF

A Syntax-Based Hybrid System for Korean Open Information Extraction (구문 분석 결과를 이용한 한국어 무제한 정보추출)

  • Kim, Byungsoo;Yu, Hwanjo;Lee, Gary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5.10a
    • /
    • pp.41-45
    • /
    • 2015
  • 무제한 정보추출은 주로 영어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 되었지만, 최근에는 영어가 아닌 다른 언어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 어휘의 유형을 동사형과 명사형 2가지로 정의하고, 각 유형별로 구문 분석 결과 기반의 서로 다른 방법론을 적용하는 한국어 대상 무제한 정보추출 시스템을 소개한다. 동사형 관계 어휘에 대해서는 의존 관계 기반의 추출 규칙을 적용하고, 명사형 관계 어휘에 대해서는 대량의 말뭉치로부터 자동으로 학습한 의존 관계 구조 기반의 추출 패턴을 적용한다. 임의의 100개 문장에 대해서 수행한 결과는 산출된 전체 트리플에 대해 0.8이상의 정밀도를 보임으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의 효용성을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