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어지명

Search Result 4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 Study on Recognition of Korean Place Names System on the Internet by Using the Rules of Dictionary Use (규칙을 적용하여 세분화한 사전기반의 한국어 지명인식 시스템 연구)

  • Jang, Hae-Suk;Jung, Kyu-Cheol;Lee, Jin-Kwan;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2
    • /
    • pp.1097-1100
    • /
    • 2005
  • A choice of a term represent the contents of the documents should be preceded in recognition of the name of an individual. The recognition of the name of an individual which has high reliability can raise the building of information extract system into higher level. Up to now active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the name of an individual human name and the general recognition of the name of an individual have been studied, detailed research on the recognition of the name of a place hasn't be done, however. This thesis suggests detailed methods of recognition of Korean place names system with applying a rule made manully.

  • PDF

Compound Noun Analysis Strengthened Unknown Noun Processing (미등록어 처리가 강화된 복합명사 분해)

  • Kim, Eung-Gyun;Seo, Young-Ho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3.10d
    • /
    • pp.40-4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분해 패턴을 이용한 재사용 분해 알고리즘과 외래어 인식, 이름 명사 인식, 지명 인식에 의한 미등록어 추정을 이용한 복합명사 분해 방법을 제안한다. 재사용 분해 알고리즘은 현재 분해되는 음절보다 짧은 길이의 음절에서 사용된 분해 방법을 재사용하여 분해가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외래어 인식에서는 한국어 음절에서 비교적 사용 빈도가 낮은 음절들로 외래어가 구성이 됨을 이용한다. 이름 명사는 한국인의 이름 특성에서 한자 독음을 차용하여 작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정한 수의 음절이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점을 이용하여 인식한다. 지명 인식 방법은 지명이 출현하는 패턴을 분석하여 지명 사전의 검색으로 인식한다. 이와 같이 지명 사전에 의한 지명 인식과 알고리즘에 의한 외래어 및 이름 명사 인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미등록어 추정에 정확성을 높이고 분해 정확율 향상에 기여한다. 실험 결과 미등록어가 포함된 약 1,500어절에 대해 약 98%의 정확율이 나타났고, 미등록어가 사전에 모두 등재된 후의 실험에서는 약 99%의 정확율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Recognition of Korean Place Names System on the Internet by Using the Rules of Dictionary Use (한국어 지명 인식 처리를 위한 사전기반의 규칙 적용을 위한 세분화된 시스템 연구)

  • Jang, Hae-Suk;Jung, Kyu-Cheol;Lee, Jin-Kwan;Park, Ki-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01-304
    • /
    • 2005
  • 문서의 내용을 대표하는 용어를 추출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 개체명 인식이다. 개체명의 범주로는 인명, 지명, 단체명, 시간, 날짜등이 있다. 높은 신뢰도의 개체명 인식은 정보추출 시스템구축을 한 차원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인 개체명 인식이나 인명의 개체명 인식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세분화된 지명 인식의 연구는 다루어지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지명 인식 처리를 위한 사전기반의 세분화된 규칙 적용 시스템 연구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KACTEIL-NER: Named Entity Recognizer Using Deep Learning and Ensemble Technique (KACTEIL-NER: 딥러닝과 앙상블 기법을 이용한 개체명 인식기)

  • Park, Geonwoo;Park, Seongsik;Jang, Yoengjin;Choi, Kihyoen;Kim, Harksoo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24-326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입력 문장에서 인명, 지명, 기관명, 날짜, 시간 등과 같은 고유한 의미를 갖는 단어 열을 찾아 범주를 부착하는 기술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단어 단위나 음절 단위를 입력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단어 단위의 경우 미등록어 처리가 어려우며 음절 단위의 경우 단어 고유의 의미가 희석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형태소 단위 개체명 인식기와 음절 단위 개체명 인식기를 앙상블하여 보정된 결과를 예측하는 개체명 인식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각각의 단일 입력 모델보다 향상된 F1-점수(0.8049)를 보였다.

  • PDF

A Method for Unknown-Word Extraction from Korean Text (한국어 구문 분석기를 이용한 지명 추정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Hyun-Suk;Ha, You-Sun;Kim, Tae-Hyun;Lee, Mann-Ho;Myaeng, Sung-Hy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383-38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텍스트로부터 미등록 고유명사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고유명사 추정을 위해 먼저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여 품사가 명사인 단어들을 후보단어로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후보단어가 고유명사인지 추정해 보기 위해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한 정보집합을 사용한다. 이러한 정보집합으로는 이름집합, 접미사집합, 단서집합, 배제어 집합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어 지명을 추정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험한 결과 77.2%의 정확도와 84.9%의 재현율을 보였다.

  • PDF

Korean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ManiFL (ManiFL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Kim, Wansu;Shin, Joon-choul;Park, Seoyeon;Ock, CheolYo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33-636
    • /
    • 2021
  • 개체명 인식은 주어진 문장 안의 고유한 의미가 있는 단어들을 인명, 지명, 단체명 등의 미리 정의된 개체의 범주로 분류하는 문제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딥 러닝, 대용량 언어 모델을 사용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대용량 학습 말뭉치와 이를 처리할 수 있는 높은 연산 능력을 필요로 하며 모델의 실행 속도가 느려서 실용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얕은 기계 학습 기법을 적용한 ManiFL을 사용한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형태소의 음절, 품사 정보, 직전 형태소의 라벨만을 자질로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F1 score 기준 90.6%의 성능과 초당 974 문장을 처리하는 속도를 보였다.

  • PDF

Named-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Song, Chi-Yun;Yang, Sung-Min;Kang, Sangwoo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21-323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문서 내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은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RNN기반의 심층 학습모델로서 개체명 인식 연구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고, 입력 자질로 단어뿐만 아니라 품사 임베딩 모델과, 개체명 사전을 활용하여 입력 자질을 구성한다. 또한 입력 자질에 대한 벡터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기본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PDF

Named-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 Song, Chi-Yun;Yang, Sung-Min;Kang, Sangwo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7.10a
    • /
    • pp.321-323
    • /
    • 2017
  • 개체명 인식은 문서 내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것을 의미한다.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은 연속성을 갖는 데이터에 가장 적합한 RNN기반의 심층 학습모델로서 개체명 인식 연구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 모델을 사용하고, 입력 자질로 단어뿐만 아니라 품사 임베딩 모델과, 개체명 사전을 활용하여 입력 자질을 구성한다. 또한 입력 자질에 대한 벡터의 크기를 최적화 하여 기본 모델보다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증명하였다.

  • PDF

Named Entity Recognition Using Bidirectional LSTM CRFs Based on the POS Tag Embedding and the Named Entity Distribution of Syllables (품사 임베딩과 음절 단위 개체명 분포 기반의 Bidirectional LSTM CRFs를 이용한 개체명 인식)

  • Yu, Hongyeon;Ko, Youngjoong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10a
    • /
    • pp.105-110
    • /
    • 2016
  • 개체명 인식이란 문서 내에서 인명, 기관명, 지명, 시간, 날짜 등 고유한 의미를 가지는 개체명을 추출하여 그 종류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개체명 인식 연구에서는 bidirectional LSTM CRFs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LSTM 기반의 딥 러닝 모델은 입력이 되는 단어 표상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입력이 되는 단어 표상을 확장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개체명 인식을 위하여 bidirectional LSTM CRFs모델을 사용하고, 그 입력으로 사용되는 단어 표상을 확장하기 위해 사전 학습된 단어 임베딩 벡터, 품사 임베딩 벡터, 그리고 음절 기반에서 확장된 단어 임베딩 벡터를 사용한다. 음절 기반에서 단어 기반 임베딩 벡터로 확장하기 위하여 bidirectional LSTM을 이용하고, 그 입력으로 학습 데이터에서 추출한 개체명 분포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사전 학습된 단어 임베딩 벡터만 사용한 것보다 4.93%의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Korean Entity Recognition System using Bi-directional LSTM-CNN-CRF (Bi-directional LSTM-CNN-CRF를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 시스템)

  • Lee, Dong-Yub;Lim, Heui-Seok
    • 한국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0a
    • /
    • pp.327-329
    • /
    • 2017
  • 개체명 인식(Named Entity Recognition) 시스템은 문서에서 인명(PS), 지명(LC), 단체명(OG)과 같은 개체명을 가지는 단어나 어구를 해당 개체명으로 인식하는 시스템이다. 개체명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딥러닝 기반의 워드 임베딩(word embedding) 자질과 문장의 형태적 특징 및 기구축 사전(lexicon) 기반의 자질 구성 방법을 제안하고, bi-directional LSTM, CNN, CRF과 같은 모델을 이용하여 구성된 자질을 학습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데이터는 2017 국어 정보시스템 경진대회에서 제공한 2016klpNER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실험은 전체 4258 문장 중 학습 데이터 3406 문장, 검증 데이터 426 문장, 테스트 데이터 426 문장으로 데이터를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BIO 태깅 방식의 개체 청크 단위 성능 평가 결과 98.9%의 테스트 정확도(test accuracy)와 89.4%의 f1-score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