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사상

Search Result 3,80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Method of calculating flood amount according to continuous rainfall events (연속적인 강우사상에 따른 홍수량 산정 방법)

  • Kim, Shin Hoon;Kim, Duck Hwan;Han, Dae Gun;Kim, Ji Su;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10-210
    • /
    • 2017
  •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으로 이상홍수, 극한홍수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피해 양상 또한 대형화 다양화되고 있다. 최근 2014년 일본의 태풍 '판폰'과 '봄퐁', 2013년 중국의 태풍 '피토', '다나스', 2012년 한국의 태풍 '볼라벤', '덴빈', '산바'가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등 연속적인 강우 사상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최창현 등, 2016). 연속적인 강우사상으로 인한 홍수량은 단일 강우사상으로 발생하는 홍수량에 비해 6~17% 정도 증가된다(최창현 등, 2016). 단일강우 사상으로 인한 일반 홍수량에 비해 그 뒤에 따라오는 연속적인 강우로 인한 홍수량 증가에 따른 피해는 막대한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연속적인 강우사상으로 인한 피해를 대비하기 위한 구조물적 비구조물적 홍수방어 대책 수립이 시급한 실정이다. 연속적인 강우사상으로 인한 홍수방어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연속적인 강우사상으로 인한 정확한 홍수량 모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외에서는 단일강우사상에 대한 홍수량 산정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어 왔지만, 연속강우사상에 대한 홍수량 산정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홍수량 산정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강우사상에 대한 홍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여 연속적인 강우사상에 가장 적합한 홍수량 산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연속적인 강우사상을 고려한 홍수방어 대책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세계사상에 자리매김 될 우리의 사상찾기

  • Yun, Sa-Sun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32
    • /
    • pp.22-23
    • /
    • 1998
  • 저서를 펴내는 작업에서 '필경'의 어려움을 체험한다. 20여년 전부터 한국사상에 관련된 교재가 절실히 필요하다는 것을 절감하면서도 저술은 계속 뒷전으로 밀려왔다. 이는 세계사상에 자리매김할 제대로 된 한국사상을 찾기 위한 변함 없는 고뇌 때문이다.

  • PDF

A Comparative study between annual maximum series and annual independent rainfall series (연최대치 계열과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비교 연구)

  • Yoo, Chul-Sang;Park, Cheol-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1-28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연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과 연최대치 계열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경우의 IETD 및 절단값을 적용하여 독립 호우사상을 결정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어 연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1961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지점의 시강우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IETD의 증가에 따라서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빈도 및 평균 강우강도는 감소하고, 평균 지속기간은 증가하였다. 절단값의 증가에 따라 독립 호우사상의 발생빈도 및 평균 지속기간은 감소하고, 평균 강우강도는 증가하였다. 호우사상의 평균 강우강도는 강우 지속기간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속기간이 짧은 호우사상의 최대 강우강도는 지속기간이 긴 호우사상의 최대 강우강도보다 매우 작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지속 기간이 짧은 경우, 연 최대치 계열과 연 최대치 독립 호우사상 계열의 차이는 매우 크며, 강우 지속기간이 길게 적용한 경우에는, 두 계열의 차이는 매우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uncertainty assessment of Clark unit hydrograph with limited events (제한된 수문사상을 갖는 유역의 단위도 매개변수 산정 불확실성 분석에 관한 연구)

  • Kwon, Ji-Hye;Park, Jiyeon;Kim, Tae Hyung;Shin, Cheol-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23-423
    • /
    • 2015
  • 국내에서는 유역의 설계홍수량을 결정하기 위해 강우-유출 사상에 의해 유도된 대표단위도를 활용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채택되고 있으나, 유역의 실측 호우사상이 부족한 경우 대표단위도의 신뢰성은 종종 논쟁의 여지를 갖게 된다. 이는 제한된 수의 자료를 활용하여 도출된 매개변수의 평균이나 최대/최소값으로 채택되는 대표단위도를 통해 산정되는 설계홍수량이 왜곡될 수 있는 가능성에 기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매개변수 산정 및 검정에 활용되는 사상의 수와 질이 설계홍수량 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용한 호우사상의 수가 제한된 유역의 경우 Clark 단위도의 매개변수 도출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유역은 비교적 다량의 실측 호우사상을 갖는 국내 중규모 댐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호우사상 모집단의 수가 N개일 때 단위도 유도에 활용되는 사상을 2개부터 N-1개까지 증가시켜 가며 분석대상이 되는 호우사상이 무작위로 선정될 경우를 가정하였다. 불확실성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Monte Carlo Simulation을 각 호우사상 수별로 100회씩 적용하였으며, 이 때 확률변수는 등분포함수를 따르는 것으로 가정하여 각 호우사상이 선정될 가능성을 동일하게 부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호우사상별 매개변수들 중 도달시간과 저류상수의 평균값과 최소값을 대표단위도(평균, 최대)의 매개변수로 각각 채택하여 설계홍수량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선정된 호우사상의 양과 질에 관계없이 호우사상 수가 증가함에 따라 채택되는 대표단위도의 매개변수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설계수문곡선의 첨두홍수량 분포는 음으로 왜곡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설계홍수량이 과소산정될 가능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즉, 대상유역의 분석 대상 호우사상 수가 증가하면 대표단위도 매개변수 및 설계홍수량 산정결과가 안정되는 경향을 보이므로 설계홍수량 산정의 신뢰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는 향후 설계홍수량 산정 및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자들의 판단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Eastern World Ideology (동양 주류사상의 서비스철학성 고찰)

  • 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9 no.2
    • /
    • pp.1-15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the service philosophy of Eastern mainstream thought in order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Following a prior study the "study of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korean ideology", we explored the service philosophy of the Eastern mainstream ideology of China and India and it's coherence. The existing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al model of service philosophy were presented in depth and the service philosophy of Oriental mainstream thought was derived. The philosophy of service can be presented as an idea of the structure of the service and as an idea of the operation of the service. It suggested compatibility of the service philosophy of Asian mainstream ideas, and analyzed them mainly in China and India. Indian ideas revolved around the ancient philosophy of Veda, Upanishads philosophy, and representative Buddhist philosophy. It also showed that a major trend of mainstream ideas in China and India was found to be compatible with the service philosophy.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o further refine the structure of service philosophy and develop the principles of operation into larger ideas in the future, and a study of conformity of service philosophy in representative Western ideas, focusing on Greek, Roman, and German philosophy, is also required.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as an ideological base that drives futur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A Study on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Korean Ideology (한국대표사상의 서비스철학성 고찰)

  • Kim, Hyunsoo
    • Journal of Service Research and Studies
    • /
    • v.9 no.1
    • /
    • pp.1-16
    • /
    • 2019
  • This study analyzed Korean representative ideology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As a follow - up study of the service philosophy consistency study of the Korean original idea, we searched for the coherence as the philosophy of the service age in the Korean representative ideology. The basic structure and operation model of service philosophy are presented, and the service philosophy of major korean ideology is derived. The philosophy of service can be presented by the structure of service and the operation of service.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service are relationship, interactivity, horizontality, and harmony, and the service structure that reflects this is the coexistence of products and services. Based on the discussion on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service philosophy, the service philosophy synthesis of Korean representative ideology is presented. From the Silla era to the Koryo dynasty, the essence of Korean Buddhism thought is in line with the service philosophy, and it was found that Toegye and Yulgok to Dasan's thoughts are also consistent with service philosophy. In the future, we need further studies to refine the structure and operational principles of the service philosophy and to develop it into a big ide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follow up the service philosophy of Oriental representative ideology centering on Chinese and Indian philosophy. Ultimate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as the main philosophical thought and to establish a service philosophy as a desirable future economic and social philosophy.

Front Face Image Analysis of Twentities Generation Man for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20대 남성의 사상체질 분류를 위한 상안부의 얼굴 요소 분석)

  • Park, Sun-Ae;Lee, Se-Hwan;Kim, Bong-Hyun;Ka, Min-Kyoung;Cho, D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90-93
    • /
    • 2007
  • 우리나라만의 독창적인 의료체계인 사상체질은 의학적 본질의 우수성에도 불구하고 크게 대중화 되지 않았으며 인지도 또한 높지 못하다. 이는 사상체질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사상체질의 정확한 분류인데 현재 임상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사상체질 분류 방식은 임상의의 경험과 주관적 소견에 의해 분류되고 있기 때문에 진단 결과에 객관성이 없고 정확도가 낮게 평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사상체질 진단 방법 중 하나인 용모사기론을 IT공학의 영상처리에 적용하여 안면 영상 분석을 통해 사상체질 분류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사상의학적 원전과 기존의 방법들을 조사, 연구하여 사상체질 분류의 중요한 요소를 결정하고 시스템 구현을 목표로 실험을 통해 사상체질 분류의 유의성을 갖는 측정 요소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 한다.

  • PDF

A Multi-level Mapping Table Scheme for SSD (SSD를 위한 다단계 사상 테이블 기법)

  • Yang, Soo-Hyeon;Ryu, Yeon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591-1594
    • /
    • 2010
  •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Solid State Disk (SSD)의 내부에는 Flash Translation Layer (FTL)이라는 소프트웨어가 사용되고 있다. FTL은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요청되는 논리 주소를 플래시 메모리의 물리 주소로 변환하며 이를 위하여 사상 테이블을 사용한다. 사상 테이블의 빠른 접근을 위하여 사상 테이블은 SSD 내부의 RAM에 유지하는데 SSD의 용량이 커지게 되면 사상 테이블로 인해 요구되는 RAM의 크기도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FTL의 사상 테이블을 페이지 단위로 나누어 필요할 때마다 RAM에 적재하는 다단계 사상 테이블 기법을 연구하였다.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Using Shape Analysis of Face (안면 형태 분석을 이용한 사상 체질 분류)

  • Cho Dong-Uk;Kim Bong-Hyun;Lee Se-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23-426
    • /
    • 2006
  • 예방 의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대 생활에서 사상체질 진단을 통한 건강 유지는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 중에 하나이며, 이를 위해 사상의학(四象醫學)적 이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사상의학에서 사상체질 진단 및 분류는 매우 중요한 과제로서 많은 학자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으나 지금까지 객관적으로 인정된 방법이나 기술은 없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외형적 특징을 통한 사상 체질 분류를 연구하기 위한 목적으로 안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을 도출하였다. 즉, 안면 영상에서 눈과 입을 추출하여 결과 영상과 사상체질 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안면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을 이용한 사상체질의 판별을 시도하였다. 특히, 한방의 망진(望診) 방법에 근거하여 사상체질을 객관적으로 진단, 분류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실험에 의해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Neural Network for Real Time Color Gamut Mapping (실시간 색역폭 사상을 위한 신경회로망에 관한 연구)

  • 이지현;이학성;한동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4.10a
    • /
    • pp.317-320
    • /
    • 2004
  •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색 재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색역폭 사상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 색역폭 사상 방법은 일반적으로 색 공간 변환과 같은 복잡한 비선형 변환을 여러 단계 거치므로 실시간 처리 구현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 회로망을 이용하여 기존의 색역폭 사상 방법을 학습하고 근사화한 방법을 이용한다. 이를 위해 주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현 가능한 모든 색상에 대해 미리 색역폭 사상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학습 데이터로 이용하게 되며, 학습된 신경망은 이종 디스플레이 장치간의 색역폭 사상에 사용된다. 제안된 색역사상을 실시간 처리하기 위해서 학습 과정은 오프라인을 통해서 이루어지게 되고, 구해진 신경망은 프로세서의 메모리를 이용, 1차원의 Look-Up Table로 구성한다. 제안한 방법을 색역폭 사상에 적절하도록 최적화시키면 고속의 색역폭 사상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