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마임

검색결과 2,286건 처리시간 0.038초

풍향풍속 검출기 마스트 설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Mast Design for Wind Detector)

  • 김동영;박해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98-107
    • /
    • 2021
  • 차기군수지원함(AOE-II) 풍향풍속계 장비에 대해서 항해시운전평가 결과, 함의 우현에서는 40~90도 부근, 좌현에서는 270~320도 부근에서 풍향풍속 검출기 움직임 오작동 현상이 발생되었다. 위의 현상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원인 추정으로 풍향풍속 검출기가 마스트 구조물에 가려져서 불어오는 바람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마스트 구조물 뒤쪽으로 와류 기류가 형성되어 움직임 오작동 현상을 발생시켰다고 추정하였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신규 설치되는 마스트 야드에 풍향풍속 검출기를 이동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진동 해석을 실시하여 진동 영향성을 검토 후 신규 마스트 야드에 풍향풍속 검출기를 설치하여 항해시운전평가로 검증하였다. 개선 방안이 일부 유효하여, 신규 마스트 야드에서 풍향풍속 검출기 위치를 마스트와 이격하여 이동 설치 후 항해시운전평가로 다시 검증하였다. 풍향풍속 검출기 움직임 오작동 현상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아서 적절한 개선방안으로 확인되었다.

마(Dioscorea batatas) 전분의 추출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대한 전분추출용액의 영향 (Effect of starch extraction solutions on extrac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y of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starch)

  • 이현정;서동호;김현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191-197
    • /
    • 2018
  • 마로부터 전분의 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아스코르브산,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탄산나트륨을 전분추출용액으로 하여 추출된 전분의 추출수율과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증류수를 이용하여 마로부터 전분을 추출할 경우 추출수율은 본 연구에서 적용한 전분추출용액을 사용할 때의 약 30% 수준으로 매우 낮았으며, 전분추출과정 중 갈변현상의 발생으로 최종적인 마 전분이 회백색을 띄어 전분소재로 적합하지 않았다. 마 전분의 추출수율은 전분추출용액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은 없었으나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사용한 경우 가장 높았으며, 아스코르브산 용액을 사용한 경우가 다음으로 높은 추출수율을 나타내었다. 마 전분들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표적인 서류전분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었으나 총 전분함량은 유사하거나 높아 전분소재로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산성 전분추출용액들에 의해 제조된 마 전분들이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에 의한 것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마 전분의 입도분포와 평균입도는 전분추출용액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X선 회절패턴은 전형적인 C형 결정구조를 나타내었으며,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한 경우 상대적 결정도는 감소하였다. 용해도는 전분추출용액에 따른 특정 경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나, 팽윤력은 산성에 비해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하였을 때가 높았다. 마 전분들의 호화온도는 대체로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호화엔탈피는 산성에 비해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하였을 때 감소하였다. 페이스팅 점도는 탄산나트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아스코르브산 용액들에 의한 마전분들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특히 마 전분들의 강하점도(breakdown viscosity)와 치반점도(setback viscosity)는 염기성 전분추출용액들을 사용하였을 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아스코르브산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마 전분은 추출수율이 상대적으로 높고, 총 전분 함량도 풍부하며, 온도프로파일에 따른 페이스팅 점도의 변동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전분추출용매들에 비해 아스코르브산은 마 전분 내에 전분추출용액의 잔류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없다. 결과적으로 마로부터 마 전분의 추출을 위한 전분추출용액을 위해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한 것 같다.

건조 마 추출물의 항산화 및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Effects of Extracts from Dried Yam on Antioxidant and Growth of Human Cancer Cell Lines)

  • 장주리;황성연;임선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365-137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마를 건조 후 분말화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건조 마 분말에 대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 건조된 마를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마 추출물과 분획물들의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및 인체 암세포(HT1080 인체 섬유육종세포, HT-29 인체 결장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마는 항비만, 항변비, 항돌연변이, 혈당 및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활성이 있어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H_2O_2$에 의해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 저해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CFH-DA assay를 행하였다. 건조 마 A+M 추출물을 농도별로 인체 섬유육종세포(HT1080)에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내 활성산소종을 크게 억제시켰다. 각 분획물들 중 85% aq. MeOH 분획물은 다른 분획물과 비교하여 높은 지질 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를 보였다. 인체 암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실험에서 A+M 및 MeOH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인체 섬유육종 및 결장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마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n-hexane, 85% aq. MeOH 및 n-butanol (n-BuOH) 분획물들은 첨가농도 0.5 mg/ml 이상 처리했을 때 이들 두 암세포의 증식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다(p<0.05). 본 연구 결과로 부터 건조 마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는 마의 A+M 추출물이 MeOH 추출물에 비해 높았고, 분획물들의 경우에는 water 분획물을 제외한 분획물들의 암세포 억제 효과가 높았다. 특히 85% aq. MeOH 분획물은 인체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뿐만 아니라 세포 내 활성산소종 감소시키는 효과가 높아 이들 분획물에 활성물질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개체식별 및 친자판정을 위한 말의 적혈구항원형에 관한 연구 (Genetic Studies of Redcell Types for Individual Identification and Parentage Verification in Horse Breeds.)

  • 조길재;조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96-701
    • /
    • 2004
  • 제주마의 기원 및 혈통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할 목적으로 국내에서 사육중인 210두(제주마 73두, 교잡마 118두, 몽고마 19두)의 말을 대상으로 적혈구항원형의 표현형 분포와 유전자 빈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마, 교잡마, 그리고 몽고마 적혈구항원형의 표현형은 각각 Aa (27.4%, 63.6%, 63.2%), Ca (97.3%, 94.9%, 89.5%), K- (97.3%, 99.2%, 84.2%), Pa (39.7%, 44.9%, 42.1%), 그리고 Ua (71.2%, 70.3%, 63.2%)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고 D 시스템의 유전자형과 Q 시스템의 표현형은 각각 Dbcm/dghm (12.3%), Dbcm/cgm (14.4%), Dcgm/dghm (15.8%)와 Qc (56.2%), Qabc (36.4%), Qc (31.6%)에서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 적혈구항원형의 유전자 빈도의 경우 제주마는 A- (0.287), Ca (0.827), Ddghm (0.226), K- (0.985), Pa (0.358), Qc (0.494), U- (0.529), 교잡마는 Aa (0.529), Ca (0.776), Dbcm (0.306), K- (0.995), P-(0.531), Q- (0.504), U- (0.548), 몽고마는 Aa (0.421), Ca (0.895), Ddghm (0.421), K- (0.842), Pa (0.447), Qc (0.448), Ua (0.632) 대립유전자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대립유전자 Dcfgk 와 D- 는 모든 말에서 관찰되지 않았다.

제주마와 제주산마에서 이리치아 잔존율 (Incidence of Wolf Teeth in Jeju Ponies and Jeju Pony Crossbreds)

  • 양재혁;쟈넷한;황규계;임윤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85-287
    • /
    • 2015
  • 말(horse)의 이리치아 잔존율은 암수모두에서 13-31.9%라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포니(pony)의 이리치아 잔존율은 보고된 적이 없다. 저자들은 제주마와 제주산마의 이리치아 잔존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제주경마공원의 경주마에서 시진 및 촉진을 통하여 구강을 검사하였다. 검사결과, 2,675마리에서 90 마리(제주마 30마리, 제주산마 60마리)가 이리치아를 가지고 있었고 잔존율은 3.4%였다. 제주마의 잔존율은 30마리중 수말이 73.3% (22마리), 암말이 26.7% (8마리), 제주산마는 60마리 중 수말이 41.7% (25), 암말이 58.3% (35마리)였다. 나이별분석에서는 제주마는 3세마가 가장 많았고 4세이상마 그리고 2세마 순이었으나 제주산마는 3세마, 2세마 그리고 4세이상마순이었다. 그러나 2종류의 경주마에서 아래턱의 이리치아는 전무하였다. 결론적으로, 제주마와 제주산마의 이리치아 잔존율은 외국에 비해 매우 낮았다.

마와 꿀풀 추출물에 의한 Streptococcus mutans의 산 생성 및 Glucosyltransferase 저해효과 (Glucosyltransferase Inhibi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Dioscorea batatas and Prunella vulgaris extract)

  • 정기옥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12
    • /
    • 2007
  • 마, 꿀풀 추출물의 용매 분획별 구강병인균에 대한 항균 및 항우식 효과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S. mutans에 대한 마, 꿀풀 헥산 추출물의 상대성장률과 산 생성 억제 및 GTase 활성 저해효과을 알아본 결과, 마 헥산 추출물의 0.25 mg/ml 농도에서 100%, 꿀풀헥산 추출물의 0.5 mg/ml 농도에서 100% 성장을 억제하였다. 따라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성장이 억제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0 mg/ml 농도에서 마가 pH 7.2, 꿀풀이 pH 7.0로 나타나 pH 5.6, pH 5.2인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마, 꿀풀 헥산 추출물을 첨가물이 산 생성을 억제하여 중성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GTase 활성 저해효과는 마와 꿀풀의 헥산 추출물의 2.0 mg/ml농도에서 35%, 25%로 각각 활성을 저해하였다.

  • PDF

폐암 환자의 스티그마와 삶의 질 : 극복력의 매개 효과 (Stigma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 김인하;김숙영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6호
    • /
    • pp.1371-1382
    • /
    • 2017
  • 본 연구는 폐암환자의 스티그마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 소재의 종합병원에서 폐암으로 진단받고 외래를 방문한 환자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환자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3만계 매개회귀분석 및 Sobel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폐암환자의 스티그마는 극복력 및 삶의 질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극복력은 삶의 질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폐암환자의 스티그마는 극복력의 유의한 영향요인이며 설명력은 15.0%이었고 스티그마와 극복력은 삶의 질의 유의한 영향요인이며 설명력은 41.0%이었다. 극복력은 스티그마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폐암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스티그마를 감소시키고 극복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이 요구된다.

둥근마(Dioscorea bulbifera)를 가해하는 뿌리혹선충(Meloidogyne sp. HSC)의 Cytochrome Oxidase Subunit II (COII) 염기서열 분석 (Cytochrome Oxidase Subunit II (COII) Sequence Analysis of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sp. HSC, Infesting Yam (Dioscorea bulbifera))

  • 한상찬;강상진;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69-173
    • /
    • 2007
  • 경북 안동에서 재배하는 둥근마(Dioscorea bulbifera)에서 뿌리혹선충 피해가 발견되었다. 피해 괴경에서 다수의 암컷 선충을 분리하였고, 이들의 cytochrome oxidase subunit II (COII) DNA 서열을 분석하였다. 둥근마의 뿌리혹 형성을 유도하는 식물 선충의 COII 유전자위 크기와 염기서열은 Meloidogyne javanica 또는 M. incognita의 해당 영역과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들 두 종을 구분하는데 이용되는 제한효소(HinfI)위치에 있어서 본 둥근마로부터 분리된 뿌리혹선충은 이들 두 종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스카라의 성분 (The Ingredients of Mascara Causing Effects on the Eyes)

  • 장선;고영림;김효진;강봉훈;이은희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83-87
    • /
    • 2009
  • 목적: 본 연구는 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마스카라에 함유되어 있는 중금속과 휘발성유기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화학물질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가장 많이 쓰이는 마스카라 5가지를 분석하였다. 방법: 시중에 유통되는 5개 제품을 구입하여 각각에 함유된 금속원소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분석하였다. 결과: 일부 시료에서 알루미늄과 망간 등의 금속원소가 다소 높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다양한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검출되었다. 결론: 마스카라는 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금속원소와 유기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다.

  • PDF

우주발사체 개발을 위한 발사대 케이블마스트(CABLE MAST) 사례조사

  • 이정호;이영호;김용욱;오승협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52.2-152.2
    • /
    • 2012
  • 우주발사체 발사를 위해서는 발사대시스템 개발이 필수적이다. 발사대시스템은 기계설비와 추진제공급설비, 관제설비로 구성되며, 그 중 기계설비는 발사지지대(Launch Pad), 이렉터(Erector), 트랜스포터이렉터(Transport-Erector), 케이블마스트(Cable-mast), 자동체결장치(Auto-coupling Device) 총 다섯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발사지지대는 발사 전까지 발사체를 지지하는 구조물로 발사체의 안전을 보장하고 공급배관 및 통신라인의 경로를 제공한다. 이렉터는 발사준비과정에서 수평으로 이송된 발사체를 2개의 대형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여 기립시키는 장비로 발사 취소 시 발사체를 수평으로 전환한다. 트랜스포터이렉터는 조립공간에서 조립을 마치고 최종점검이 완료된 발사체를 전용차량을 이용하여 발사대로 이동하고 발사체를 안전하게 잡아준다. 자동체결장치는 지상으로부터 발사체로 연결되는 추진제, 압축가스 등의 연결배관을 자동으로 연결/분리하는 장치이다. 케이블마스트는 우주발사체 상단부의 UCU-E(Umbilical Connectors Unit-Electrical)를 통해서 전기, 고압가스, 고온공기 등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로 발사 전까지 발사체시스템과 지상장비와의 통신수단이다. 또한 발사체로 연결되는 라인들을 발사 시에 나오는 후류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UCU-E가 기계적으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기존에 적용된 케이블마스트에 대한 구성, 기능 및 운용절차에 관한 것으로, 현재 진행 중인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조사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