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교회

검색결과 374건 처리시간 0.031초

교회도서관규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Church Library)

  • 김명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85-312
    • /
    • 2000
  • 본 연구는 교회도서관규정에 관한 이론적인 배경을 확립하고, 교회도서관규정안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이론적 배경 항목으로 교회도서관의 기능, 조직, 직원, 자료, 열람봉사, 자료보존관리, 예산 및 전산을 채택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배경 및 현행 3개 교회도서관규정을 비교 분석하여 교회도서관규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회도서관규정안을 9장 30조로 구성되었으며, 내용은 (1)총칙, (2)조직, (3)도서관자문위원회, (4)운영, (5)수서, (6)열람 및 대출 (7)변상 및 제재, (8)자료의 제적, (9)자료의 복사 그리고 부칙으로 구성하였다.

  • PDF

영락교회 역사자료실의 수집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Acquisition Policy for Young-nak Church's Archives)

  • 이은진;이유진;윤은하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7-164
    • /
    • 2015
  • 교회기록관은 교회의 역사와 전통을 보존하고 성도들의 영적유산을 계승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된 기관으로, 교회의 활동을 통해 생산된 기록물과 교회의 신앙적 인물들의 기록물들을 수집하여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개별 교회만의 다큐멘테이션을 형성하여 일관적인 수집활동을 지속할 수 있도록 교회 기록관의 수집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수집정책은 기록물 선별을 위한 토대이자 기록관의 기록물을 구성하는 체계적인 지침이다. 수집정책을 통해 교회 기록관은 수집의 범위와 우선적으로 수집할 기록물의 유형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 기록관을 대표하여 영락교회 역사자료실의 수집정책 개발을 위해 교회의 특징 및 기록관의 수집정책에 관한 문헌연구와 사례조사, 담당자 면담을 시행하였다.

한국 루터교회 평신도의 교회인식과 기독교 상담 (Church's Cognition and Christian Counseling in Luther's Church in Korea)

  • 김옥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94-202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 루터교회 내의 평신도 의식과 신앙성숙을 위한 기독교 상담, 교회 내 프로그램의 영향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한 교회성장요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한국 루터교단에 소속되어 있는 ${\bigcirc}{\bigcirc}$교회에 출석하는 평신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83부의 설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는 한국교회성장연구소의 교회건강 진단을 위한 NCD 평신도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신뢰도 Cronbach's ${\alpha}$는 0. 91 이었다. 종속변수에 해당하는 교회발전과 성장은 교회발전 성장, 교회발전 목표, 교회발전 조직으로 측정하였고, 독립변수인 교회프로그램과 기독교상담에 대해서는 지도자, 의례, 공동체, 사역/프로그램, 개인적 믿음/가치관으로 측정하였다. 회수된 설문은 교회발전과 성장과의 상관성을 검증을 위해 상관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교회발전과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상담을 포함한 교회 내 사역 프로그램, 교우와의 관계, 공동체 활동 및 상호소통 등이 영적성장 및 자기성장과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지속적인 교회성장을 위해서는 상담사역을 중심으로 한 교회 내 공동체 프로그램의 중요성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교회규모에 따른 음향성능 조사분석 (Investigation of Acoustic Properties of Churches Depending on the Size of Halls)

  • 이세나;이환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음향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1권 1호
    • /
    • pp.491-494
    • /
    • 2002
  • 우리나라의 교회는 점점 신도수가 늘어나면서 점차 대형화되어가고 있으며 많은 첨단 설비를 갖추고자 하는 교회도 적지 않다. 하지만, 교회설계에 있어서, 대체로 그 형태와 규모만 중요시될 뿐, 그 기능에 적합한 건축물을 짓는데 소홀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교회의 예배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음향적인 매개체는 찬양과 설교인데, 이 두가지의 물리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교회건축에 있어 실내음향은 어려운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즉, 성가는 긴 잔향시간과 음의 따뜻함(Warmth)과 친밀감(Intimacy)등이 중시되는 반면, 설교는 소리의 명료도, 요해도(intelligibility) 등이 중시되는 등 그 음향적인 특성이 달라, 각기 다른 음환경을 요구하기 때문에 강당이나 음악당보다 교회음향이 건축적으로 난점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최근에 시뮬레이션을 통해 음향설계를 실시한 규모가 각기 다른 예배실의 제원과 음향성능을 조사하고 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일반적인 음향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교회 음향설계단계에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예배실의 규모에 따라 5개의 교회를 선정하였으며 시뮬레이션을 통해 얻어낸 각 교회의 성가시, 설교시 실내음향인자값(SPL, RT, C80, RASTI)과 마감재료 등을 조사하고, 비교하였다. 대체로 규모가 큰 교회에서 음압레벨이 작게 나타났고, 잔향시간도 실의 체적이 클수록 크게 나타났지만 마감재료와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또, 대형교회의 음향적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건축의 형태, 재료는 물론, 전기음향설비의 보강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21세기 한국교회 교회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Problems and Alternatives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n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 이정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4권
    • /
    • pp.81-107
    • /
    • 2020
  • 한국교회 교회교육은 매우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위기는 현 사회가 바라보는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시작된다.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어린이, 청소년들과 청년 그리고 성인에 이르기까지 교회를 떠나는 현상을 가져 왔다. 그동안 기독교 교육의 문제와 그 대안 연구는 수없이 많이 이뤄졌다. 그러나 그 문제점들은 여전히 교회교육의 문제로 남아 있다. 즉 제안된 대안들이 교회교육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되지 못하고 문제점으로 남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며, 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대안과 그 방법적인 요인들을 연구하고 적용 점들을 찾아야 한다. 오늘의 교회교육은 포스트모더니즘과 정보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그러데, 교회교육은 기독교 신앙을 전수하는 기독교 정체성을 위한 교육이다. 이러한 기독교 교육이 신앙적 학문적 정체성에 대한 도전과 위기를 맞고 있다. 기독교 교육은 이러한 현실을 자각하고 교회교육이 당면해 있는 다양한 위기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야 하는 책임이 있다. 따라서 성경이 표준이 되는 삶을 살도록 표준을 세워주는 것이 교회교육의 과제이다. 즉 성경적 믿음을 갖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동안 미흡한 것으로 평가된 한국교회에 대한 기독교 신앙에 대한 지적과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의 확립과 사회 안에서의 공의와 사랑을 실천하는 하나님 나라를 구현하는 일은 기독교 교육을 통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과제들이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기독교 교육의 목표인 이상적 그리스도인 형성에 있어 교회교육뿐 아니라 기독교 교육의 실천을 지원하는 방법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교회도서관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hurch Library)

  • 김명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5-173
    • /
    • 2000
  • 본 연구는 교회도서관의 기능, 직원, 자료, 자료조직, 시설, 열람봉사, 전산화. 예산등에 관하여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현재의 문제점을 추출하여 각 영역에서 바람직한 운영방안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조사대상은 교인이 10,000명 이상이며 도서관직원이 근무하는 서울시내의 7개 개신교 교회의 도서관을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교회는 도서관을 설치한 곳이 대단히 적어서 교회운영자의 교회도서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시급하였다. 그리고 선구적인 입장에 있는 연구대상 교회도서관도 연구영역에서 많은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었다. 앞으로 교회도서관은 직원. 자료, 시설, 예산을 확보하고, 전산화를 실시하여 교회활동을 보조하는 중요한 기관이 되어야 할 것이 요구되었다.

  • PDF

가톨릭 교회 기록물 관리에 관한 연구 - 인천교구 기록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Catholic Church's Records and Archives - Focusing on the Incheon Diocese Archives -)

  • 김선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7-201
    • /
    • 2004
  • 1784년 한국에서 교회가 설립된 이후, 한국 가톨릭 교회는 박해에도 불구하고 급격하게 성장하였다. 그리고, 현재 가톨릭 교회는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며 한국 사회속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교회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교회 기록관리는 행정적인 목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구기록관을 중심으로 한국 가톨릭 교회내의 체계적인 기록관리 시스템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첫째 가톨릭 교회 기록의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어 인천교구를 사례로 기록관리 실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관리 이론을 적용하여 가톨릭 교회 기록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국내 교회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연구 (The Study on the User Perception for Church Library in Korea)

  • 신동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39-26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회도서관 이용자인 성도와 목회자를 대상으로 교회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교회도서관이 있는 교회, 소규모 마을문고 형태의 도서관이 있는 교회, 그리고 교회도서관이 없는 교회 등을 선정하고, 응답자는 해당 각 교회의 성도 100인을 무작위추출방법으로 선정하고 교회의 목회자는 10인을 추가하여 각 교회마다 110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배경 및 선행연구에 대한 조사에는 문헌적 연구방법을, 이용자의 인식 파악을 위해서는 설문조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용자의 도서관 이용률은 저조한 편이며, 도서관 역할에 대해서는 소규모 마을문고나 교회의 문서관, 기능에 있어서는 열람실, 독서실, 독서지도 등을 지적하였다. 사서의 도움 만족도나 필요성에 있어서는 리커트 척도의 3.5(5점 척도) 이상으로 긍정적이었다. 자료 구성은 목회자와 성도에게 필요한 종교관련 도서 위주를 선호하고, 교회도서관을 지역주민에게 개방하는 것은 매우 긍정적으로 찬성하며, 전도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향후 도서관이 없는 교회는 성도의 종교지식 함양과 전도의 효과를 위해 교회도서관 설치를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기독교인성의 영향력과 요인들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influence and factors of Christian characters)

  • 한만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91-97
    • /
    • 2018
  • 본 연구는 한국교회 성도들의 기독교인성에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또한 기독교인성 덕목 및 측정지표가 무엇인지, 성도들의 일반적인 요인, 교회요인들이 기독교인성의 9가지의 덕목과 무슨 연관성이 있고, 어떤 영향력을 끼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교회를 직접 방문하여 교회 관계자의 도움을 얻어 일대일 면접조사 방식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설문조사를 토대로 개인적인 요인과 교회요인에 따른 기독교 인성에 차이 유의미한 수준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교회요인 중에서 교회만족도가 기독교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국 교회의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기독교인성과 연관성 있고, 교회 안에서의 기독교인성의 중요성과 교육이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은 한국교회 기독교인들의 신앙, 교회직분, 신앙년수, 교회생활과 교회 만족도 등이 기독교인성과 어떤 연관성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교회 기독교인의 기독교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덕목과 요소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한국교회 기독교인에게 가장 적합하고 실행이 가능한 인성함양 프로그램과 실천 사항들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교회 건강성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침례교회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Developing a Diagnostic Assessment Tool for Church Health Through The Korean Baptist Church)

  • 김난예;유제호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51-182
    • /
    • 2020
  • 본 연구는 침례교단의 교회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 개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건강한 침례교회의 정의와 건강성 요인을 살펴보고, 건강성 요인별 진단문항을 개발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고찰과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하였다. 이어서 쿼터 샘플링한 표본 390여 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하여 이를 기초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했다. 연구결과 건강한 침례교회는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로서 교회의 본질적 특성과 침례교회 정체성을 지니고 교회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신자들의 공동체로 정의 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요인은 공동체성, 기능의 충실성, 침례교회 정체성, 교회의 본질적 특성 등이다. 이들의 하위 요인으로 믿음의 공동체, 예배, 전 신자 제사장, 사도성 등 17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측정도구는 119개 진단문항이 되며, 53개 또는 23개의 축약된 진단문항으로도 측정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