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홍콩, 미국의 비교문화연구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Cross-Cultural Study on the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in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of Korea, Hong-Kong, and the United States (임신 및 출산 풍습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한국, 홍콩 및 미국의 어머니-할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 민하영;유안진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1 no.4
    • /
    • pp.157-168
    • /
    • 200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or similarities in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of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and of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in each culture. The subjects were young mothers(YM) have baby from 2 to 2.5 years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GM) in Korea(YM=118, GM=118), Hong Kong(YM=126, GM=78) and the United States(YM=105, GM=105). The subjects answered the questionnaires on pregnant and childbirth practices were constructed by specialists of child study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by Frequencies, Percentages, Crosstabs, One-wav ANOVA, Scheffe' test,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ther and grandmothers of Korea more tended to believe in supernatal being of pregnancy, to expect son, to eat a resortive and a food to help conceive, to inhibit attending a funeral at the time of childbearing, to practice fetal education than of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 2. Relating sexual intercourse at the time of ovulation, maternal health care during the pregnancy, childbirth in hospital, husband's being in the hospital waiting room when their wife gave birth were much more prevailant in mothers than grandmothers did in Korea and Hong Kong.

Cross-Cultural Study on the Infant Rearing Practices in Young Mother-Grandmother Generations of Korea, Hong-Kong, and the United States (한국의 출생의례와 아기행사 풍속의 문화간, 세대간 비교 연구: 홍콩 및 미국의 할머니 세대와 어머니 세대를 중심으로)

  • 민하영;유안진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42 no.4
    • /
    • pp.55-68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or similarities of infant rearing practices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and in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generations. The silbjects were young mothers(YM) with babies from 2 to 2.5 years and their mothers or mothers-in-law(GM) in Korea(YM=118, GM=118), Hong Kong(YM= 126, GM=78) and the United States(YM= 105, GM= 105). The subjects answered questionnaires on infant rearing practices that were constructed by child study specialists in Korea,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Statistical analyses were by frequencies, percentages, and $\chi$$^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Kum-Jut was used to announce giving birth to relatives and neighbors only in Korea. Mothers in Korea were more helped in their recovery by their mother or mother-in-law than their husband, but the opposite was the case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Most Korean mothers ate special foods after giving birth, but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lates didn't. Mother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avoid contact with strangers for a given period of time than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The babies in Korea were more often named by grandparents than by parents, but most of the babie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were named by parents. The greater part of babies in Korea didn't have childhood names or nick names, but most babie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 2. Mothers in Korea were more likely to give a banquet, exercise Dol Jab le, share foods with neighbors, and take souvenir pictures on the baby's first birthday than mothers did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Most mothers in Korea tended to think that their baby's fiyst birthday was more meaningful than the other birihdays, but most mothers i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didn't. 3. Some differences between young mothers and grandmothers generations in infant rearing practices were found in each culture.

Online Game Lifestyle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 Korea and Japan (문화적 맥락과 온라인 게임 라이프스타일: 한국과 일본의 비교)

  • 황상민;장근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91-97
    • /
    • 2003
  •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공간에서 게이머들이 어떻게 서로 다른 가치관과 행동 패턴을 드러내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온라인 게임세계의 문화를 이해하고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게이머들이 활동하고 있고, 한국과 일본에서 동시에 서비스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인 〈리니지〉의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라이프 스타일' 분석틀을 이용해서 이들이 게임공간에서 보이는 행동을 분류하였다. 글 결과 한국과 일본의 리니지 사용자들에게서 거의 유사한 세 가지 라이프스타일 패턴이 추출되었으며 한국과 일본에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행동 패턴이 일관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한 한국과 일본의 문화적 차이는 각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의 극단성과 분포비율에 의해 반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본의 탈사회적 게이머는 한국의 그것에 비해 더 극단적인 반면 전체 응답자 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었고 게임 세계에서의 사회 경제적 위치도 낮았으며 한국에서는 비교적 적은 비율을 차지하던 싱글 플레이어 유형이 일본에서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본의 게이머들은 라이프스타일에 상관없이 대부분이 게임 공동체에 가입하는 반면 한국의 게이머들은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공동체 참여율이 달랐지만 전체적인 참여율은 일본에 비해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일본 게임세계에서 공동체 참여는 기본적인 의무인 반면 한국에서는 현실적인 이익과 직결된 활동임을 시사한다. 또한 게임몰입수준은 한국보다 일본의 리니지 게이머들이 높았다. 아시아 각 국에 한국에서 개발한 동일한 온라인 게임이 확산되어 있는 현황을 고려할 때, 온라인 게이머의 라이프스타일 척도는 한국과 일본뿐만 아니라 대만과 중국, 홍콩, 그리고 미국과 같은 리니지 게임이 서비스되는 모든 국가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고 과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의미를 되새기는 것으로 짧은 연구를 시작하겠다. 등은 활성 값이 70% 이상으로 퇴적물 독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중나선 DNA 함량은 28.4 % - 49%로 대조군에 비해서 감소가 크다. 대부분의 정점이 대조군의 30% 내외로 정점 간의 차이는 크지는 않다. 그러나 다른 측정자료와 같이 정점 22에서 18%로 최소치를 나타내고, 정점 2, 12에서 20% 내외의 값을 보인다. 종합적으로 볼 때 오염물질의 유입이 크고, 광양제철 인근 정점 들이 모두 다른 정점에 비해서 낮아서, 퇴적물 독성이 높은 정점으로 조사되었다.hiwo의 광합성 능력은 낮은 농도들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하였으나, 5 $\mu\textrm{g}$/l의 높은 농도에서는 초기에 매우 낮은 광합성 능력을 보이다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대조군보다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식물플랑크톤이 benso[a]pyrene의 낮은 농도에서 노출될 때는 이 물질을 탄소원으로 사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연안해역에 benso[a]pyrene과 같은 지속성 유기오염물질이 유입되었을 때 내정여부에 따라 식물플랑크톤 군집내 종 천이와 일차생산력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TEX>5.2개)였으며, 등급별 회수율은 각각 GI(8.5%), GII(13.4%), GIII(43.9%), GIV(34.2%)로 나타났다.ments of that period left both in Japan and Korea. "Hyojedo" in Korea is suppos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letter design. Asite- i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Japanese Letter Jobcheso."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