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강지천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Ecological structure and management of a creek of the Han River -In the case of sooipcheon and anyangcheon- (한강지천의 생태계 구조와 관리- 수입천과 안양천을 대상으로-)

  • 최송현;이경재;류창희;황성현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23 no.3
    • /
    • pp.132-143
    • /
    • 1995
  •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were carried out on the Han River from 1982 to 1986 for the purpose of creating a more serviceable places such as a riverside parks and autoroads and so on. However because of the river development, river ecosystem and function were destroyed. And many local autonomous entity follows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as if it is a model case. To investigate the impact that the river development effects the river ecosystem, two sites which are Anyangcheon and Sooipcheon were surveyed in the right of around plants ecosystem and structure. Two sites are creek of the Hna River. Sooipcheon maintains the sound ecosystem. It has sufficient carrying capacity for the river recreation activity. The reason is that a hydrophyte absorbs nutrients from the stream and the river ecosystem meets the around terrestrial one neturally. Number of hydrophyte increase from upstream going forward to downstream. Number of hydrophyte increase from upstream going forward to downstream. Anyangchoen is seriously polluted stream out of many branch stream of the Han river. In the upstream various woody plants and hydrophyte appeared. But from the river developed area at midstream, naturalized plants dominated such as Bidens tripartita, panicum dichotomiflorum etc. To manage the creek ecologically, hydrophyts were introduced in partly for natural purification after rehavilitate the riverside, and steadily monitoring is demanded.

  • PDF

The Spatial and Time Pattern Analysis of Rainy Season Precipiation in Seoul, 2002-2011 (최근 10년간 서울지방의 우기시 강우의 시공간 패턴 분석)

  • Um, Myoung-Jin;Shin, Hong-Joon;Joo, Kyung-Won;Jeong, Chang-Sam;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98-19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방의 최근 10년간 우기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시공간패턴에 따른 강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GIS 기법, 강우사상 구분법 및 공간의 상관성 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서울은 북위 $37^{\circ}$34', 동경 $126^{\circ}$59' 부근에 위치하며 남북방향으로 30.3 km, 동서방향으로 36.8km에 걸쳐 있으며 그 면적은 약 $605.41km^2$이다. 또 서울 중앙에서는 한강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며 서울을 강북과 강남으로 양분하고 있으며, 서울을 관통하고 있는 한강으로 수많은 지천이 합류하고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들로 인하여 서울 지역의 기후는 매우 복잡한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과거에는 서울지역에 강우관측소의 수가 매우 적어 이러한 현상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나 최근에 자동기상관측소(AWS)들의 확충으로 인하여 자료의 양이 넓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료들을 사용하여 강수의 시공간 패턴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강수의 사상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인 IETD법(Inter Event Time Definition)을 적용하였으며, 요인분석 및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서울의 강수 지역 구분 및 패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최근 10년간 서울지방의 강수의 시공간 패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Dissolved Ions in the Han River Water (한강 하천수 중 용존이온의 지구화학적 특성과 기원)

  • 김규한;심은숙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4 no.6
    • /
    • pp.539-553
    • /
    • 2001
  • Geochemical data of the Han river water, including four tributary water samples in the main Han river are presented in this paper.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ions in the North Han river water decreases in order of Ca>Na>K>Mg and HCO$_3$>NO$_3$>SO$_4$>Cl, which it mainly affected by the chemical weathering of granite and gneiss in the drainage basin. Meanwhile, the South Han river water shows a decreasing order of Ca>Mg>Na>K and HCO$_3$>SO$_4$>NO$_3$>Cl, which is controlled by the bed rock geology of carbornate rooks and the inflow of acid mine drainage from the metal and coal mines in the Taebaegsan and Hwanggangri areas. The main Han river waters are characterized by unusually high concentration of Na, Cl and SO$_4$ (Ca>Na>K>Mg and HCO$_3$>SO$_4$>CI>NO), indicating a significant anthropogenic pollution by human activities in the metropolitan Seoul city. The geochemical data of the Han river waters from 1981 through 1996 to 1999 records a significant increase in SO$_4$ and NO$_3$, which responsible for the increasing arid mane drainage and municipal anthropogenic pollution.

  • PDF

Bikeway Vitalization Countermeasures Using Bikeway User Satisfaction Model (자전거도로 이용자 만족도 모형을 통한 자전거도로 활성화 대책)

  • Im, Jun-Beom;No, Ri-Ra;Hong, Ji-Yeon;Lee, Su-Beo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5
    • /
    • pp.163-172
    • /
    • 2010
  • There are many efforts for expanding bikeway plans and increasing bike utiliz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s try to find the primary factors that affect bike users' satisfaction under limited budgets. As satisfaction is a qualitative variable, the authors developed a bike user satisfaction model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ethods. The bikeways are distinguished between bike lanes on public roads and exclusive bikeways along the Han River, as the characteristics and attributes should be different. The model shows bikeways on public road have a user satisfaction equal to 0.248*(safety)+0.405(accessibility). Bikeways along the Han River have a user satisfaction equal to 0.437*(accessibility)+0.405*(economic feasibility). In both types, accessibility affects satisfaction. Safety in more important to users on public roads, while economic feasibility affects those on the Han River bikeways.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 Distribution in Bottom Sdeiments of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한강유역 주요지천의 저질내 중금속 분포)

  • 허준무;박종안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4 no.3
    • /
    • pp.71-79
    • /
    • 1999
  • The Hg, Cd, Cu, Mn, and Zn in bottom sediments of han river and their tributaries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seasonal variations of heavy metals. Leaching tests were also performed for estimation of availability of heavy metal retention in sediments. Sediments of Anyang stream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in the sediment samples. Heavy metal concentration was heavily depended upon the heavy metal source of tributaries of han river and particle distribution. Clay and silt had higher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than very fine san and fine sand due to difference of retention capability of heavy metal.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was observed in bottom sediments irrespective of sites investigated. Heavy metals and ignition loss showed positive relations, and higher relationships with p-value <0.01 were observed between copper and lead. copper and zinc, and depended on the pH condition of leaching test, and leachated fraction increased with decrease of the pH.

  • PDF

River Discharge Measurement and Analysis for The Main Branch Streams of Han-River Basin in 2008 (2008년 한강수계 주요지천 유량측정 및 유출특성 분석)

  • Gang, Gyu-Sang;Lee, Yeon-Kil;Lee, Jin-Won;Jung, Sung-Won;Han, Gi-H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052-105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점의 강우량자료와 유출수문곡선으로 전 기간에 대한 유출률과 특정기간을 갖는 유출률을 각각 산정하여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GIS 소프트웨어인 ArcInfo와 ArcView 등으로 대상유역의 유역도, 강우관측망도, 수위관측망도, 수계망도,티센망도 등을 생성하여 대상유역의 수계 특성을 파악하였다. 개발된 곡선식의 적정성을 판단하기위해 상 하류 간의 유출특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역 내 댐이나 저수지가 존재할 경우 이를 고려하였다. 유출률 산정결과, 이호대교(남한강 본류) 지점에서의 유출률은 방류량을 고려하지 않았을 경우 59.8%, 고려했을 경우 74.5%로 산정되었다. 흑천의 원덕교 지점에서는 67.1%, 경안천의 경안교 지점에서는 78.3%, 홍천강의 성포교와 남산교 지점은 각각 63.3%, 53.1%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은 적정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근거하여 유출수문곡선은 양질의 수준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iline Degrading Bacteria (아닐린 생분해 균주의 분리 및 특성)

  • 조경연;하일호;배경숙;고영희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16 no.5
    • /
    • pp.421-426
    • /
    • 1988
  • Twenty-nine bacterial isolates capable of growing on aniline as n sole source of carbon and nitrogen were obtained. Ten of these isolates were identified. Nine isolates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spp. and one was Acinetobacter sp.. Five strains among 29 isolates had one or several plasmids. Four of these five strains utilized aniline through meta pathway and one through ortho pathway. Pseudomonas acidovorans 4A1 which utilized aniline through meta pathway harbored a plasmid of ca. 230 kilobases shown to be involved in aniline metabolism.

  • PDF

하천 오염현황과 대책

  • 이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9.10a
    • /
    • pp.234-236
    • /
    • 1979
  •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도산업사회 건설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등은 하천을 심각하게 오염시켜 하천수가 지니고 있는 자정능력 한계를 초과하고 있어 재생될수 없는 상태이므로 수자원의 보호가 요청된다. 이런 상황의 하천오염 증가 추세와 주요 오염원 및 오염물에 대하여 고찰하고 대책에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전국의 급수 현황과 장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수도권 한강수계를 오염시키는 주요 오염원인 폐수를 보면 주거지의 생활하수, 상업행위로 발생되는 폐수와 공장의 산업폐수로 대별할 수 있으며 수도권 한강에 유입 되는 지천 수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상태의 총폐수량은 280만톤인데 비하여 청계, 중량하수처리장과 서부 북부 동부분뇨처리장의 일일 처리능력은 16.4%에 불과하다. 한편 서울지역 오염원구성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런 계속적인 오염물은 1977년 경우 갈수기에 80~100t/sec의 하천유량으로 희석되고 있어 자정능력 한계를 벗어나서 하류의 물은 혼탁하고 용존산소의 고갈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 하천에서는 수류침체로 인한 하상퇴적을 방지하여 국소적 오염의 심화를 방지하며 유량을 증가 시켜야 한다. 수도권 한강 수계의 수질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수요가 급증되며 처리장의 효율과 하천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합성세제의 총생산량은 1971년에 21000톤이던 것이 1978년에는 약 50,000톤에 이르고 있으며 이중 55~60%가 서울지역에서 소모되는 것으로 추산되어 진다' 결과 한강수에서 검출되는 합성세제의 오염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이 이미 몇개 지점에서는 세계 보건기구의 허용량인 0.5ppm을 초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오염의 연쇄현상을 나타내는 중금속의 일종인 csduium의 검출 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상의 하천오염에 따른 수중생태계의 변화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세부적 기계에 대하여는 규명되지 않은 문제가 아직도 많으며 지표생물의 표현형은 중요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식물성 plankton의 우점종의 출현 빈도에 따른 수질계급을 보면 뚝섬지역 BOD 3.3~5.3 빈부수성 $~\alpha$ 중부수성, 보광동 BOD 6.0~10.3중부수성, 제 2한강교 BOD10~28 $\alpha$ 강부수성, 난지도 BOD29 $\beta$ 강부수성 등이며 이와 상이한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이상으로 볼 때 1) 가정하수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분뇨정화조 의 효율증대 2) 산업폐수의 공정별 폐수량의 조절 및 폐수성 상에 따른 총량규제에 대비한 효율증대 3) 하천의 오염부하와 자정능력 최대한 부여 4)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제개발 및 오염지표 종 연구와 오염내성 생물의 연구등이 종합적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이상의 모든 조사와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천의 이정표가 정해져야 하겠다.

  • PDF

One and Two Dimensional Hydraulic Models Application for Simulation of Fish Habitat (어류 서식처 모의를 위한 차원 및 차원 수리모형 1차원 2차원 적용)

  • Jeong, Sang-Man;Lee, Joo-Heon;Kim, Do-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68-1072
    • /
    • 2006
  • 최근 하천의 유지유량을 결정함에 있어서 어류의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최적의 유량규모를 제시하는 연구결과가 국내 여러 연구자에 의해서 제시되고 있다. 하천에서의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유지유량의 결정방법은 미국에서 제시된 유지유량증분 방법론(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에 근본을 두고 있으며 대부분의 방법이 어류 서식처에 대한 수리모의를 위해서 1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왔다. 특히 어류 서식처에 대한 1차원 수리모의를 위하여 물리적 서식처 모의시스템(PHABSIM)이 가장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모의 결과로 제시되는 어류 서식처의 가중가용면적(Weighted Usable Area)을 토대로 하여 최적 유량의 규모를 제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류 서식처를 고려한 하천유지유량 산정함에 있어서 최적유량 결정에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는 가중가용면적(WUA)을 산정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어 온 1차원 수리모형인 PHABSIM을 이용한 결과와 함께 최근 개발되어 수리학 분야에서 폭넓게 적용되고 있는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하여 산정된 결과를 비교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차원 수리해석을 위해서 River2D를 이용하였으며 한강수계의 주요 지천을 선정하여 2가지의 서로 다른 수리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어종은 어류상 조사 결과, 각 지천의 우점종인 피라미를 선정하였으며 수리해석에 의한 어류의 서식처 모의를 위하여 필요한 서식처 적합도 지수 Habitat Suitability Criteria)는 낙동강 수계에서 작성된 결과를 이용하였다. 각 1차원 및 2차원 수리해석에 의해서 산정된 가중가용면적에 대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지유량 증분방법론(Instream Flow Incremental Methodology)의 개념에 입각하여 최적의 유량 값을 산정하였다. 각 지점에서의 가중가용면적-유량 관계를 모의하고 대상 어종의 성장 단계별(산란기, 성어기) 가중가용면적(WUA)을 산정하여 비교.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가중가용면적(WUA)값의 분포가 성어기, 산란기에서 선형(linear)으로 잘 표현되었다.

  • PDF

Stochastic Programming Model for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추계학적 계획모형을 이용한 하천수질관리)

  • Cho, Jae H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4 no.1
    • /
    • pp.231-243
    • /
    • 1994
  • A stochastic programming model for river water quality management was developed. River water quality, river flow, quality and flowrate of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flow were treated as random variables in the model. Withdrawal for water supply and submerged weir reaeration were included in the model itself. A probabilistic model was formulated to compute the expectation and variance of water quality using Streeter-Phelps equation. Chance constraints of the optimization problem were converted to deterministic equivalents by chance constrained method. Objective function was total annual treatment cost of al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the region. Construction cost function and O & M cost function were derived in the form of nonlinear equations that are functions of treatment efficiency and capacity of treatment plant. The optimization problem was solved by nonlinear programming. This model was applied to the lower Han River. The results show that the reliability to meet the DO standards of the year 1996 is about 50% when the treatment level of four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Seoul is secondary treatment, and BOD load from the tributary inflows is the same as present time. And when BOD load from Tanchon, Jungrangchon, and Anyangchon is decreased to 50%, the reliability to meet the DO standards of the year 1996 is above 60%. This results indicated that for the sake of the water quality conservation of the lower Han River, water quality of the tributaries must be improved, and at least secondary level of treatment is required in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