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강지천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ffect of Tributary Inflow on Downstream Water Level of the Han River (한강하류부 지천의 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Lee, Jong Kyu;Jang, Ki Hwan;Yang, He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366-1370
    • /
    • 2004
  • 한강은 남한 제1의 하천으로 지리적으로 한반도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동에서 서로 흐르는 대하천이다. 매년 발생하는 홍수에 대한 한강하류부의 홍수관리는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강의 지천유입량이 한강본류 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리학적 홍수추적 모형은 하천의 지형적 특성과 여러인자들을 반영하여 하천의 흐름을 해석하기 때문에 하천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수중보, 지천유입량, 조도계수 등을 적절히 반영하였을 때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1차원 부정류 흐름으로 해석하였으며 미국 NWS(National Weather Service)에서 기존의 DWOPER 모형과 댐파괴 모형인 DAMBRK 모형을 통합하여 개선한 FLDWAV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으로 구성되어 확장된 Saint-Venant 방정식이고, 수치기법으로는 가중4점음해법을 이용하려 비선형 연립방정식을 Newton-Raphson 방법으로 해석한다. 모형의 상류경계는 팔당댐 시간 방류량을 하류경계로는 전류수위표 지점의 수위를 이용하였다. 한강하류부에는 많은 지천들이 흘러들어 유입되고 있는데 지천유입량이 한강수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비교적 유역면적이 큰 왕숙천, 탄천, 중랑천, 안양천 등의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다. 2000년과 2001년에 발생한 2개의 실측사상을 FLDWAV 모형을 이용하여 계산된 수위값과 검증해 본 결과 실측수위를 잘 재현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검증된 모형을 가지고 동일한 사상에 대해서 지천 유입량을 고려하지 않고 모의를 한 결과 지천유입량을 고려하였을 때와 고려하지 않았을 때의 지천유입량에 대한 수위상승량은 $1\~5cm$ 정도로 나타났다. 지천유입량에 의한 수위상승이 어느정도 일어나고 있지만 홍수기간에 이 정도의 수위상승은 한강의 흐름이나 한강하류부에 설치된 구조물의 침수피해에 크게 영향을 주지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강하류부의 수위는 지천유입량의 영향보다는 팔당댐의 방류량에 의해서 좌우되고 있고 홍수시에는 한강의 수위상승으로 인하여 지천에 미치는 배수영향이 훨씬 더 클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ollution Loadings and Water analysis in Han river Watershed (한강수계 유역의 수질 및 오염부하량 산정)

  • Kim, Mi-Ra;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403-406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한강본류 및 지천의 수질조사와 더불어 오염총량관리지침을 이용하여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한강은 오염총량규제가 도입되었지만 주로 수질측정된 농도위주로 시행되고 있으며 수질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도 수질농도 측정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하천수질은 사용용도에 따라 배출 되는 유출수에 따라 변화되며 지역의 특성에 따라 수질의 변화가 나타나기 때문에 수질평가는 오염농도만으로 평가하기보단 하수의 배출지역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본 유역의 수질조사는 한강 본류 및 지천 구분되며 국립환경과학원의 자료를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오염부하량의 경우 국립환경연구원의 '오염총량관리 계획수집지침전부 개정고시(2006-69호)'를 활용하여 지역의 배출특성에 따라 산정하였다. 수질조사 결과 한강 본류의 수질은 BOD 1.57mg/L, T-N 2.61mg/L, T-P 0.05mg/L로 나타났으며 하류지역은 BOD 4.46mg/L, T-N 7.32mg/L, T-P 0.42mg/L로 나타났다. 탄천의 경우 탄천의 경우 탄천 상류의 BOD 평균값은 25.32mg/L, T-N 20.23mg/L, T-P 1.42mg/L이며 탄천의 하류 지점의 BOD 평균값은 4.68mg/L, T-N 11.45mg/L, T-P 0.86mg/L로 나타났다. 한강수계의 오염부하량은 생활계 발생부하량이 가장 높게 산정되었으며 유달부하량의 경우 유달율로 판단하였을 때 왕숙천과 중랑천유역에서 오염도가 크게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Tributary Flood Forecasting Using Statistical Analysis Method (통계적 모형을 이용한 지천 홍수예측)

  • Sung, Ji-Yo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24-1527
    • /
    • 2009
  • 본 연구는 주요지천 홍수예측에 적용된 통계적 모형을 개선하여 예측 결과의 정확성 향상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중랑천, 탄천, 왕숙천 등 한강수계 주요 지천은 홍수예보 지점으로 유역면적이 작고 도달 시간이 짧아 기존의 대하천 홍수예보에 이용되고 있는 수문학적 홍수예측 모형을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주요 지천 홍수예측에 통계적 모형인 다중선형 회귀모형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천홍수예측에 기 적용된 다중선형 회귀 모형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립변수를 조정하고, 10분 단위 관측 자료를 활용한 예측 결과를 얻기 위해 매개변수를 재산정하였다. 그 결과 기존 모형에 비해 적은 수의 독립변수와 재 산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한 통계적 모형으로 예측 수위의 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 PDF

Potentials of Seasonal Discrimination for Saving the Water Pollution Control Costs -The Case of Han River- (수질오염 관리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계절적 차이의 잠재력: 한강의 경우)

  • Yoo, Young S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9 no.4
    • /
    • pp.663-700
    • /
    • 2000
  • 한강은 서울 지역을 관통하고 있다는 점에서 수도권의 수자원 이용과 폐수 수용체로서의 한강의 역할이 실로 막대하다. 이런 맥락에서 한강에서의 수질오염문제는 주요한 사회경제적 문제 중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 한강 수질 악화를 방지하기 위한 관리 방안이 이미 시행중에 있으나 여전히 한강 수질 오염은 문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감안하여 보다 나은 관리책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기존의 수질기준을 최소비용으로 달성하는 비용 효과적인 방식을 시스템 최적화 분석 기법에 접목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이 모델은 우리 나라에 두드러진 수문학적 특징, 즉 자정능력상의 계절적 차이가 지역적 특성과 오염 처리 기술상의 다양함, 그리고 기존의 법적 제도적 특정들과 어떻게 연결되어 얼마나 처리 비용상의 절약을 유도해 낼 수 있는지에 관한 정책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게 고안되었다. 연구의 결과치에 의하면, 표적 지천상의 지역적 안배와 처리 공정상의 기술-비용적 차이를 고려하고 비갈수기에 처리시설을 신축적으로 운영할 경우 한강 수계에서 BOD 부하량 삭감비용은 상당한 정도( 예로, 1992년 물가수준에서 매일 3,000만 원 이상) 절감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Development and Analysis of Water Quality Modeling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Urban River Networks (도시하천 통합관리를 위한 수질모형의 개발 및 적용, 분석)

  • Yeon, Yoon Jeong;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61-161
    • /
    • 2016
  • 본 연구는 Matlab GUI 언어를 기반으로 제작된 수질관리모형(WAQUMURIN; Water QUality Management program for Urban RIver Networks)의 개발 및 적용, 검증을 통한 수질분석을 목적으로 둔다. 서울한강수계를 대상지역으로 한강 상류의 팔당댐부터 한강 하류에 위치한 가양대교까지의 오염원 이동에 따른 BOD, T-P 농도를 분석하였다. 한강의 본류를 따라 분류되는 지천들과 한강서울수계 관할 하 4곳의 물재생센터(탄천, 중랑, 서남, 난지)의 배출부하량, 유량, 반응속도상수는 본 모형의 main factor로 설정되었으며 격자화된 데이터의 입출력이 가능토록 하였다. 6곳의 수질측정망(암사, 구의, 잠실, 똑도, 보광, 노량진, 영등포, 가양) 지점을 기준으로 실측치와 모형의 모의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이는 기존의 사용법이 어려운 수질모형의 한계를 깬 간단한 입출력 방식으로 비전문가들 또한 사용이 가능하며 예측 모형의 단순화라는 점의 연구 목적에 있다.

  • PDF

Comparision of Physical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Fishes in the Rivers of Han and Geum River Watersheds (한강 및 금강수계 하천에서 어류의 물리서식처 적합도지수 비교)

  • Kang, Hyeong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1B
    • /
    • pp.71-78
    • /
    • 2012
  • The habitat suitability is an important factor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and size of the physical habitat in river. This suitability is also a key factor to decide the ecological flow discharge for the fish. For the ecological analysis in river, accurate values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various fishes are necessary. In general, fish habitat is affected by the physical factor of the flow depth and velocity as well as the chemical and biological factors of nutrient and attached algae. Thus, the condition of the fish habitat is expected to be changed with each watershed and tributary. In this study, the habitat suitability indices for fishes were proposed by using the field monitoring data in the rivers of the Han and Geum river watersheds. The proposed indices for three fishes are compared: Zacco platypus, Zacco temminckii,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The results show that Zacco platypus has a similar distribu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in two watersheds. Zacco temminckii and Coreoleuciscus splendidus, however, have different distributions with watersheds. Also, for Zacco platypus, the developed indices at three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are compared: Cheng-mi stream, Dal stream, and Hong-cheon stream. The comparision shows that the index in the Cheng-mi stream is different with those in the other rivers. This is expected to be because of a high nutrient concentration at the Cheong-mi stream.

T-N and T-P Simulations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한강 하류부에서의 총질소와 총인에 대한 수질모의)

  • 한건연;송재우
    • Water for future
    • /
    • v.28 no.4
    • /
    • pp.137-146
    • /
    • 1995
  • QUAL2E model is applied to predict T-N and T-P concentrations in the downstream of the Han River. Sensitivity analysis shows that the pertinent parameters for T-N and T-P have small effects on the computed concentrations. The computed concentration profiles of T-N and T-P show good agreements with recently measured data. The future tributary loads of T-N and T-P have been estimated to simulate concentrations. The modeling result has been presented under the mean and low flow condition after wastewater treatment in the future.

  • PDF

Hydrogeological Properties Around Han River from Water Level Data (한강의 수리시스템과 한강변 대수층의 수리지질 특성)

  • 김윤영;이강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6 no.1
    • /
    • pp.33-41
    • /
    • 1999
  • Time-lag and amplitudes of the fluctuation of groundwater level are used to determine hydraulic parameters around Han River. The groundwater level at observation wells fluctuates between highest and lowest responding to the Han River level. The factors affecting the groundwater fluctuation are examined. The transmisivity of the Han River alluvium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water table fluctuations measured ranges from 9.39${\times}$10$^1$to 4.02${\times}$10$^3$㎡/day. Based on the hydrogeological data along the river sides, the flow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for water level fluctuations were simulated using a ground water flow model MODFLOW.

  • PDF

Measurement of total primary production of Han River and contribution to eutrophication of inflowing streams (한강의 총일차생산량 측정과 유입지천의 부영양화 기여도 산정)

  • Kim, Ui Seok;Hong, Eun M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3-473
    • /
    • 2022
  • 일차생산은 화학합성 또는 광합성에 의하여 무기탄소가 유기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중의 일차생산자는 광합성을 통하여 유기물을 해당 수역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는 수역의 상위 먹이 단계의 총생산력을 결정하는 주요 구성원이다. 한강은 하류로 갈수록 유속이 느리지만 수심이 깊어져 부착조류가 서식하기 쉽지 않은 환경이기에 대부분의 일차생산자는 식물플랑크톤이다. 과거 1994년 이후로 2017년까지 5년 간격으로 총 6회 연구된 결과, 해당 하천의 부영양화가 여름철에 발생하였다. 팔당댐 방류량과 지류의 유입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하천 내 1차 생산의 기여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 근원을 판정하여 수질오염에 대한 처리대책을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강본류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력을 조사하고, 유기물의 분해속도를 측정하여 당해 유역의 유기물 수지를 추정하여 한강 고유의 특성을 파악하여 부영양화에 의한 유기물 증가로 발생할 수 있는 수질오염을 예측하고자 한다. 조사유역은 한강의 팔당댐 방류구로부터 신곡수중보까지 전 구역 중 총 12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간은 2021년 5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계절별 2회로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한강본류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산소소비법을 통해 일차생산력과 유기물 분해속도를 조사하여 내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였고, 한강본류로 유입되는 4개의 유입하천에서는 COD를 조사하여 외부기원 유기물을 측정하여 한강에서 발생하는 총유기물량을 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Water Quality Model -A Case Study of The Main Stream and Tributaries of Han River in Seoul (수질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서울시 한강 본류 및 한강 지천을 대상으로)

  • Yeon, Yoon-Jeong;Lee, Ju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86-18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Matlab GUI언어로 개발한 수질관리모형(water quality model)을 소개한다. Matlab GUI언어는 사용자 편의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계산용 함수의 포함 및 데이터의 입출력이 쉽고 조작이 용이하다. 본 모형은 기존의 복잡한 수질관리모형을 단순화 및 간소화하여 비전문가들 또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데이터의 입력 과정과 변수 지정이 쉽도록 제작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수질오염총량관리 단위유역 내 한강수계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는 기존의 사용법이 어려운 수질관리모형의 한계를 깨고 사용가능 계층의 확대 및 예측 모형의 단순화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