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강본류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ing Waterbird Communities in Urban Streams in Seoul, Korea (서울 도시하천에서 월동하는 수조류의 분포 특성)

  • Kwon, Young-Soo;Nam, Hyung-Kyu;Yoo, Jeong-Chil;Park, Young-Seuk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1 no.1
    • /
    • pp.55-6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wintering waterbird communities in relation to local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urban streams of Seoul, Korea. A field survey was conducted at 66 sites of 5 tributaries and the main channel of the Hangang River in Seoul in January 2006. The total of 65 species and 39,560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the field survey. There were 48 species and 28,989 individuals in the Hangang River, 14 species and 1,395 individuals in the Tancheon stream, 15 species and 2,306 individuals in the Jungrangcheon stream, 22 species and 5,990 individuals in the Anyangcheon, 18 species and 283 individuals in the Changrungcheon stream, and 24 species and 597 individuals in Gokrungcheon stream. The dominant species were Anas platyrhynchos (22.65%), A. poecilorhyncha (14.01%), Aythya ferina (13.26%), Aythya fuligula (8.04%), and Mergus merganser (7.03%). Among the 16 species (with 30,650 individuals) of ducks, the dabbling and diving ducks were 8 species with 18,286 individuals and 8 species with 12,364 individuals, respectively. Throug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four main groups according to the similarity of their waterbirds' species compositions: 3 tributaries in the urban area (Group 1), 2 tributaries in the rural area (Group 2), one in the rural area, one in the urban area, the urban area in Hangang River (Group 3) and the main channel of the Hangang River in the urban area (Group 4).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pecies evenness were the highest in Group 1, while the lowest Group 2. Analysis on their environmental factors showed that the waterbirds wintering in urban streams of Seoul prefer broad water width, low water depth and broad resting site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omputational Method for Korean Threshold Runoff (국내 유역특성을 반영한 한계유출량 산정기법 개발 및 평가)

  • Cho, Bae-Gun;Ji, Hee-Sook;Bae, Deg-Hy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4 no.11
    • /
    • pp.875-887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valuate a Korean threshold runoff computation method. The selected study area is the Han-River basin and the stream channels in the study area are divided into 3 parts; natural channel and artificial manmade channel for small mountainous catchments, and main channel for master stream. The threshold runoff criteria for small streams is decided to 0.5 m water level increase from the channel bottom, which is the level that mountain climbers and campers successfully escape from natural flood damage. Threshold runoff values in natural channel of small mountainous area are computed by the results from the regional regression analysis between parameters of basin and stream channel, while those in artificial channel of small mountainous area are obtained from the data of basin and channel characteristics parameter. On the other hand, the threshold runoff values for master channel are used the warning flood level that is useful information for escaping guideline for riverside users. For verification of the threshold runoff computation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three flash flood cases are selected and compared with observed values, which is obtained from SCS effective rainfall computation. The 1, 3, 6-hour effective rainfall values are greater than the corresponding threshold runoff values represents that the proposed computation results are reasonable.

Applicability Analysis of HSPF Model for Management of Total Pollution Load Control at Tributary (지류총량관리를 위한 HSPF 모형의 적용성 분석)

  • Kim, Jung Soo;Song, Chul Min;Lee, Min Sung;Kim, Seo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38-438
    • /
    • 2021
  • 우리나라의 수질오염총량관리제도는 수계 내 모든 유역을 관리대상으로 동일 기준유량 조건에 동일한 대상물질로 관리하고 있지만, 본류는 지류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지류는 사람이 거주하는 지역 인근에 있어 본류 수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지류의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오염물질의 실질적인 관리가 어려워 이를 개선하기 위해 오염도가 높은 지류의 총량관리를 위한 지류총량제도의 추가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류총량제 시행에 따른 효과를 예측하기 위해 팔당수계 유역을 소유역 단위로 분할하고 HSPF 모형을 적용하여 팔당수계 소유역 지류에서의 수질 변화 양상이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팔당수계 중권역 유역(남한강 하류 유역, 경안천 유역, 북한강 하류 유역)으로 구분하고 유역 유출 및 수질 모델링은 지류하천을 포함하는 57개 소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입력자료는 공간자료(표고, 경사, 토지이용, 토양도 등)와 기상자료(춘천, 양평, 이천, 수원관측소)는 2008년~2018년의 강수량, 최고기온, 최저기온, 평균풍속, 평균습도 등의 시단위 자료를 사용하였다. 모의결과, BOD는 남한강 하류유역의 주요 지천 유역인 복하천, 양화천, 청미천 및 흑천 유역에서 0.54~0.56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경안천 유역은 경안천 유역의 중·하류 유역에서 2.63~4.22mg/L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고, 북한강 유역은 조종천 하류 및 북한강 상류 유역에서 1.36~3.31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T-P는 남한강 하류 유역은 주요 지천 유역인 복하천, 양화천, 청미천 유역에서 0.07~0.19mg/L의 범위로 주변 유역보다 높게 나타났고, 남한강 하류 유역의 중간 지점 유역인 한강(E1, E2, E4, E6)에서 높게 나타났다. 경안천 유역은 중·하류 유역의 좌안측 유역인 경안(A4, A3, B2, B1, F9)에서 0.1~0.14mg/L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북한강 유역은 전체 유역에서 0.06mg/L 이하로 남한강 하류 및 경안천 유역보다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지류총량관리에 HSPF 모형의 적용은 가능하였으나 HSPF 모형을 이용한 소유역 단위의 유량 및 수질 예측을 위해서는 기존의 유량 및 수질 관측망을 소유역 단위로 좀 더 정밀하게 계획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An Assessment of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ediment in Main Stream and Tributaries of the Han River in the Vicinity of Seoul (서울시 인근의 한강 본류 및 지류에 대한 하상 저질의 중금속오염 평가)

  • 노수미;이홍근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 /
    • v.20 no.4
    • /
    • pp.17-35
    • /
    • 199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of sediment in main stream and tributaries of the Han-river in the vicinity of Seoul. Sediment were sampled at eight locations of main stream and eighteen locations of tributaries in the spring, summer, and fall in 1993. Six heavy metals of Cd, Cu, Pb, Zn, Cr, and Hg, were assessed. For an assessment of heavy metal contamination in sediment, the assessment method of Hakanson was modified to estimate for Han-river, then classification method of Muller in sediment quality was applied. For an assessment of contamination in each heavy metal, Contamination factor C$_f^i$ which was defined the ratio of concentration of i heavy metal in investigated location to background concentration of i heavy metal in uncontaminated upper area was used. The sediment quality in each heavymetal was classified as follows if C$_f^i$<1, Class I for Non contamination, if 1 < C$_f^i$ < 3, Class II for Low contamination, if 3< C$_f^i$ <6, Class III for Moderate contamination, if 6< C$_f^i$ <12, Class IV for Considerable contamination, and if C$_f^i$ > 12, Class V for High contamination.(abbreviation)

  • PDF

Water Resources Management based on K-WEAPq (K-WEAPq를 통한 유역관리)

  • Choi, Si-Jung;Seo, Jae-Seung;Moon, Jang-Won;Lee, Dong-Ryul;Kang, Se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982-1986
    • /
    • 2007
  • 유역관리를 위해서는 수량뿐만 아니라 수질에 대한 분석이 동반되어야 한다. 최근 한국건설기술연구원과 SEI-US(Stockholm Environment Institute-US Center)가 공동으로 개발하고 있는 통합수자원평가계획모형으로서 K-WEAPq(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 linked Qual2K)는 기존의 K-WEAP 모형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다 정확하고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하천수질모의를 하기 위해 Qual2K 모형을 연계시킨 모형으로써 유역관리를 위한 수량-수질 연계모의가 가능한 모형이다. 본 연구에서는 K-WEAPq 모형을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물수지 및 수질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낙동강 권역의 물수지 분석을 위해 월별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각각의 중권역별 배출부하량을 산출하여 Qual2K와의 연계시스템을 통해 하천수질모의를 수행하였다. 낙동강뿐만 아니라 11개의 지류들에 대한 수질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본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오염총량제와 같은 여러가지 정책에 대한 수질 개선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한강권역의 지류 하천에 대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였을 경우 예상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Runoff Change in YeongSan River Watershed on the Dam Operation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에 따른 유역 유출 변화 분석)

  • Kim, Nam-Won;Shin, Ah-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00-400
    • /
    • 2011
  • 영산강 유역은 한강, 낙동강, 금강과 더불어 우리나라 4대강 유역 중의 하나로 전라 남 북도에 걸쳐 위치하고 있어 우리나라 남서부의 수자원 공급 및 용수이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유역 특성상 나주평야와 같이 하천을 따라 평야가 발달되어 곡창지대를 이루고 있으며, 타 유역에 비하여 농경지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용수 이용에 있어 농업용수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따라서 영산 본류 및 지천 상류에는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을 목적으로 제 1단계 영산강수계 대단위 농업종합개발사업에 의하여 4개의 농업전용 댐(장성댐, 나주댐, 담양댐, 광주댐)이 건설되었다. 이들 댐은 농업전용 댐으로 건설되었으나 댐의 규모와 저수 용량을 기준으로 장성댐, 나주댐, 담양댐은 대규모, 광주댐은 중규모의 댐에 속하기 때문에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공급뿐만 아니라 시 공간적으로 유역 전체의 유출 변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형인 SWAT-K 모형을 이용하여 영산강 유역의 댐 운영이 유역 유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장기간의 유출 분석을 바탕으로 모형의 댐 모의기작에 의하여 댐 모의를 제한하여 유역 내에 댐이 없는 상태를 가상으로 모의하여 유역의 자연유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유역의 전체 유출 변화에 댐이 미치는 영향을 시 공간적으로 분석하여 유역의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Applic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Analyzing Safety Change of Levee (제방의 안전성 영향 분석을 위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의 적용)

  • Lee, Hoo Sang;Lee, Jea Joon;Heo, Jun He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22-322
    • /
    • 2018
  • 우리나라의 기후는 대부분 지역의 강수량이 약 1,350mm 이상의 습윤지역이다. 하계 집중형 강수형태로, 우리나라는 연강수량의 50%이상이 여름철(6월~9월)에 집중된다. 또한 제방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시기도 6~9월이 되기 때문에 이전에 제방의 적절한 점검과 보강이 이루어져야 홍수와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를 막을 수 있다(Cha et al, 2010). 제방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홍수나 범람 등에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제방이 자연재해로부터 손상을 입게 되는 원인과 과정, 하천수의 침투로 인한 제체내부의 역학적 거동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지식을 함양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제방의 취약성 변화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상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여 홍수위를 구하고 제방의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침투거동을 분석함으로써 침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대표 제방을 선정한 후, 대표 제방의 현재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위를 고려하여 제방의 안전율을 분석하였다.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제방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제방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본 연구자가 기 개발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값을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ow Flow Management in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수계 갈수관리 발전방안 연구)

  • Kim, Hyung San;Kwak, Jae Won;Lee, Seong Woo;Lee, Young Gon;Choi, Kyu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34-334
    • /
    • 2021
  • 최근 기후변화에 따라 세계적으로 집중호우·태풍·가뭄 등과 같은 기상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가뭄의 발생빈도 또한 증가하고 있다. 2014년과 2015년 금강수계에 발생한 가뭄과 2017년 낙동강수계에 발생한 가뭄은 갈수로 인한 피해를 야기한 바 있다. 금강수계의 경우 보령댐 저수량 부족으로 제한급수를 시행하였으며, 낙동강수계의 경우 형산강수계의 농업용저수지 고갈로 긴급용수를 공급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하여 낙동강홍수통제소는 2016년부터 수계 내의 갈수상황과 향후 예상되는 갈수전망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수계 전역을 대상으로 강수현황, 다목적댐·용수댐 및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현황, 하천의 갈수현황, 향후 기상전망 및 방류계획, 향후 유출전망 등을 1개월 단위(매주) 및 3개월 단위(매월) 작성하며, 갈수예보 및 모니터링지점 선정, 예보적용성 검증 등을 수행하고 2020년부터 갈수예보를 정식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수계의 효율적인 갈수예보의 시행과 확대를 위해서 현재 낙동강 본류로 한정되어 있는 갈수관리 지점을 확대하는 방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기준갈수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중권역, 상수도 보급률, 영농여건 물리농지 비율 및 유량관측 안정화 여부를 종합적으로 검토하였으며 확대 지점을 선정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Trace-Level Perchlorate by IC-MS/MS and Distribution in the Han River (IC-MS/MS를 이용한 수중의 과염소산이온 분석방법 최적화 및 한강수계내 분포조사)

  • Kim, Hyun-Hee;Han, Ihn-Sup;Jeong, Gwan-Jo;Park, Hyeon;Han, Sun-Hee;Cho, Wan-S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4
    • /
    • pp.349-356
    • /
    • 2010
  • Ion chromatography (IC) coupled with conductivity detector (CD) is a common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perchlorate in water samples. Although the IC method with CD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level perchlorate ion in water, sensitivity decreases dramatically as the complexity of the matrices increases. Here we proposed the application of 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IC-MS/MS) to significantly improve selectivity of perchlorate. The mean recovery of the method was 104.4 ${\pm}$ 5.7% and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 (RSD%) was 1.9 ${\pm}$ 1.3%. The alculated method detection limit (MDL) was 0.0207 ${\pm}$ 0.0099 ${\mu}g/L$. The concentrations of perchlorate were minimum <0.1 ${\mu}g/L$ and maximum 18.3 ${\mu}g/L$ in source water (Namhan, Bukhan and Han River). Hongreung showed higher concentrations ($1^{st}$-14.3 ${\mu}g/L$, $2^{st}$-18.3 ${\mu}g/L$) than the other places. And the concentrations of perchlorate were 0.18~0.34 ${\mu}g/L$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six water treatment plants and six intake stations in Seoul.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am Flow Path and Water System Distribution in Gugok Garden, Korea (한국 구곡원림(九曲園林)의 하천 유로 및 수계별 분포 특성)

  • Rho, Jae-Hyun;Choi, Young-Hyu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4
    • /
    • pp.50-65
    • /
    • 2021
  • In this study, the water flow system by measuring the flow-way type and distance of flow path that composes the Gugok through literature survey, field survey, and map work on Gugok gardens in Korea whose existence has been confirmed, while investigating and analyzing watersheds, river orders, and river grades.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watershed distribution and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ugok garden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enjoyment and conservation of the Gugok garden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the 93 Gugok gardens that have been confirmed to exist, it was found that 11 places(11.8%) were found to have a descending(top-down) type of Gugok that develops while descending along a stream.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ength of the flow path for each valley, Okryudonggugok(玉流洞九曲, Namsan-gugok) in Gimcheon, Gyeongsangbuk-do was found to have the shortest length of 0.44km among the surveyed valleys, while the flow distance of Muheulgugok(武屹九曲) located in Seongju-gun and Gimcheon-si, Gyeongsangbuk-do was 31.1km, showing the longest flowing distance. The average flow path length of the Gugok Garden in Korea was 6.24k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4.63km, indicating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curved type'e and the 'valley type' was severe. In addition, 14(15.1%) Gugok gardens were found to be partially submerged due to dam constru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ters area where Gugok garden is located, the number of Nakdong river basins was much higher at 52 sites(55.9%), followed by the Hangang river basin at 27 sites(28.7%), the Geum river basin at 9 sites(9.7%), and the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at 5(5.4%). Fourth, All Gugok gardens located in the Han river region were classified as the Han river system, and the Gugok garden located on the Nakdong river was classified as the main Nakdong river system, except for 7 places including 5 places in the Nakdong Gangnam Sea water system and 2 places in the Nakdong Gangdong sea water system.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river order of the flow path where Gugok garden is located, Gugok, which uses the main stream as the base of Gugok, is 3 places in the Hangang water system, 5 place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2 places in the Geumgang water system, and 1 place in the Yeongsangam/Seomjin river system. A total of 11 locations(11.5%) were found, including 36 locations(38.2%) in the first branch, 29 locations(31.2%) in the second branch, and 16 locations(17.0%) in the third branch. And Gugok garden, located on the 4th tributary, was found to be Taehwa Five-gok(太華五曲) set in Yonghwacheon Stream in Cheorwon in the Han river system, and Hoenggyegok(橫溪九曲) in Yeongcheon Hoenggye Stream in the Nakdong river system. Fifth, As a result of the river grade analysis of the rivers located in the Gugok garden Forest, the grades of the rivers located in the Gugok garden were 13 national rivers(14.0%), 7 local first-class rivers(7.5%), and 74 local second-class rivers(78.5%) was sh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