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700/KITLA.2021.39.4.050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eam Flow Path and Water System Distribution in Gugok Garden, Korea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Choi, Young-Hyun (Environmental Team, Human Network Corpor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v.39, no.4, 2021 , pp. 50-6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water flow system by measuring the flow-way type and distance of flow path that composes the Gugok through literature survey, field survey, and map work on Gugok gardens in Korea whose existence has been confirmed, while investigating and analyzing watersheds, river orders, and river grades. It was intended to reveal the watershed distribution and stream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ugok garden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future enjoyment and conservation of the Gugok garden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the 93 Gugok gardens that have been confirmed to exist, it was found that 11 places(11.8%) were found to have a descending(top-down) type of Gugok that develops while descending along a stream. Second,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length of the flow path for each valley, Okryudonggugok(玉流洞九曲, Namsan-gugok) in Gimcheon, Gyeongsangbuk-do was found to have the shortest length of 0.44km among the surveyed valleys, while the flow distance of Muheulgugok(武屹九曲) located in Seongju-gun and Gimcheon-si, Gyeongsangbuk-do was 31.1km, showing the longest flowing distance. The average flow path length of the Gugok Garden in Korea was 6.24km, and the standard deviation was 4.63km, indicating that the deviation between the 'curved type'e and the 'valley type' was severe. In addition, 14(15.1%) Gugok gardens were found to be partially submerged due to dam construc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ters area where Gugok garden is located, the number of Nakdong river basins was much higher at 52 sites(55.9%), followed by the Hangang river basin at 27 sites(28.7%), the Geum river basin at 9 sites(9.7%), and the Yeongsan river and Seomjin river basins at 5(5.4%). Fourth, All Gugok gardens located in the Han river region were classified as the Han river system, and the Gugok garden located on the Nakdong river was classified as the main Nakdong river system, except for 7 places including 5 places in the Nakdong Gangnam Sea water system and 2 places in the Nakdong Gangdong sea water system.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 river order of the flow path where Gugok garden is located, Gugok, which uses the main stream as the base of Gugok, is 3 places in the Hangang water system, 5 places in the Nakdong river system, 2 places in the Geumgang water system, and 1 place in the Yeongsangam/Seomjin river system. A total of 11 locations(11.5%) were found, including 36 locations(38.2%) in the first branch, 29 locations(31.2%) in the second branch, and 16 locations(17.0%) in the third branch. And Gugok garden, located on the 4th tributary, was found to be Taehwa Five-gok(太華五曲) set in Yonghwacheon Stream in Cheorwon in the Han river system, and Hoenggyegok(橫溪九曲) in Yeongcheon Hoenggye Stream in the Nakdong river system. Fifth, As a result of the river grade analysis of the rivers located in the Gugok garden Forest, the grades of the rivers located in the Gugok garden were 13 national rivers(14.0%), 7 local first-class rivers(7.5%), and 74 local second-class rivers(78.5%) was shown.
Keywords
Distance of Flow Path; Location; River Grade; Water Flow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은창(1988). 韓國儒家 傳統園林의 硏究: 卜居와 九曲經營을 中心으로.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 4(-): 191-304.
2 https://www.law.go.kr
3 Gravelius, Harry(2018). Lehrbuch Der Differentialrechnung: Zum Gebrauche Bei Vorlesungen an Universitaten Und Technischen Hochschulen(Classic Reprint). ForgottenBooks: p.21.
4 김문기(2005). 문경의 구곡원림과 구곡시가. 파주: 한국학술정보.
5 오상욱(2017). 울산 구곡문화의 원류 고찰: 도와 최남복을 중심으로. 울산학연구. 울산학연구센터. pp.8-43.
6 유홍준(1993).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창작과비평사.
7 노재현(2020). 한국 구곡문화 연구의 성과와 전망. 동아시아의 구곡문화와 강원. 국립춘천박물관. pp.9-65.
8 http://www.riverlove.or.kr
9 정우진, 노재현, 이희영(2017). 북한산 耳溪九曲의 위치비정과 集景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3): 41-66.   DOI
10 이종묵(2018). 정희맹이 경영한 영광의 용산구곡. 한국시가문화연구 42호. 27-54.
11 정우락(2017). 대구지역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韓民族語文學 77호. 121-149.
12 백운용(2016). 대구지역 구곡(九曲)과 한강 정구. 퇴계학과 유교문화 58호. 201-232.
13 노재현(2009). 이산구곡가를 활용한 '마이승경'의 스토리텔링 전략.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20-34.
14 노재현, 박주성, 심우경(2010). 九曲園林에서 찾는 神仙境의 경관 스토리보드: 괴산 葛隱九曲을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90-104.
15 노재현, 강병선(2014). 고문헌과 바위글씨로 조명한 지리산 龍湖九曲의 입지 및 경관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54-167.   DOI
16 노재현, 신상섭, 허준 등(2014a). 곡성 동악산 淸流九曲의 형태 및 의미론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4): 24-36.   DOI
17 최영현(2020). 韓國 九曲園林의 分布와 設曲 特性에 關한 硏究. 우석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상주(2019). 충북의 구곡도와 구곡문화. 중원대학교 향토문화연구소. pp.154-157.
19 정우락(2014). 조선시대 선비들의 풍류방식과 문화공간 만들기. 퇴계학논집 15호. 177-217.
20 정우진, 노재현(2016). 양평 벽계리 일원에 설정된 曲中景의 지향성과 華西 李恒老의 蘗園 경영.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4(3): 78-97.   DOI
21 문화재청(2007). 전통명승 洞天九曲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2 문화재청(2008). 전통명승 洞天九曲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3 경상북도(2008). 경북의 구곡문화.
24 경상북도(2012). 경북의 구곡문화 2.
25 박정원(2018) 「月刊 山」 '한국의 구곡'. 2018년 7월호, www.moazine.com/article/detail.asp?articleid=1243446 재인용
26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2017). 전통 구곡과 팔경의 문화재적 가치 학술심포지움.
27 노재현, 신상섭, 허준, 한상엽(2014b). 곡성 동악산 구곡의 실체 및 문화경관적 특성과 가치. 휴양 및 경관연구. 8(3): 1-12.
28 봉화군(2018). 선비와 신선들이 노닐던 봉화의 동천과 구곡.
29 김문기(2018) 달성의 구곡과 선유문화. 민속원.
30 최석기(2020). 선인들의 산수 인식과 동천구곡 문화. 보고사.
31 Richard john Huggett 저, 윤순옥, 기근도, 김종연, 김창환, 김태호, 박경, 박수진, 변종민, 이광률, 성영배, 황상일 역(2013). 지형학의 원리 제3판. 서울 (주)시그마프레스: p210.
32 이재수(2018). 수문학 2판. 서울 구미서관: p11.
33 김덕현(2010).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의의와 활성화 방안.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구곡문화. pp.199-216.
34 노재현, 최영현, 김상범(2018). 조선선비가 설정한 구곡원림의 현황과 경물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3): 37-47.   DOI
35 울산대곡박물관(2010). 자연에서 찾은 이상향 구곡문화: pp127-129.
36 전영권, 한승희, 김용훈(2013). 속리산국립공원 내 화양구곡의 보존과 활용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 683-696.
37 전라남도와 곡성군(2014). 동악산구곡 학술조사 보고서.
38 정우락(2014). 성주 및 김천 지역의 구곡문화와 무흘구곡: 무흘구곡의 일부 위치 批正을 겸하여. 퇴계학과 유교문학. 54(-): 213-252.
39 최기수(1990). 曲과 景에 나타난 韓國傳統景觀 構造의 解釋에 관한 硏究.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이종호(2009). 구곡 연구의 성과와 전망. 韓國思想과 文化. 50(-): 7-42.
41 백승준, 강현경, 김선화(2013).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7(4): 487-497.
42 한봉호, 최인태, 기경석, 홍석환, 최운규(2006). 변산반도국립공원 봉래구곡 낙엽활엽수림 식생구조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 55-58.
43 노재현(2008). 中國 武夷九曲의 場所 美學과 河川形態學的 特性: 국내 구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1-11.
44 한봉호, 곽정인, 장재훈, 배정희(2009). 속리산국립공원 화양계곡의 구곡경관 개선을 위한 식생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94-207.
45 기근도(2008). 경상좌도 동천구곡의 지형적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15(2): 95-109.
46 기근도(2012). 우리나라 동천구곡의 지형경관. 한국지형학회지. 19(3): 123-134.
47 강기래, 이해주, 김희채 등(2017).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구곡.동천 위치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3): 67-75.   DOI
48 강기래, 강정서, 이해주, 배준규, 김창준, 김희채, 이현채, 김동필(2018). 경상도지역의 九曲 설정에 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8권 2호: p15.
49 김문기(2015). 영남의 구곡문화. 태학사.
50 청주시(2017). 굽이굽이 옥화구곡 따라. 청주시관광과.
51 최기수(2006) 한국 전통조경의 이해. 문화재수리기술 교육자료.
52 노재현(2015). 明庵 鄭拭의 산청 武夷九曲 원림경영을 통해 본 구곡문화의 모방과 변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3(3): 84-94.   DOI
53 권석환(2004). 주편. 한중 팔경구곡과 산수문화. 이화문화사.
54 화천문화원, 화천향토문화연구소(2005). 한국의 은사문화와 곡운구곡.
55 https://ko.wikipedia.org
56 http://www.river.go.kr
57 노재현, 김연(2011). 계룡산 갑사구곡과 용산구곡 원림의 실체 및 특성. 문화재 국립문화재연구소. 44(1): 5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