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이론

Search Result 2,023,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the Base of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for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의 교수 - 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 함명식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3 no.2
    • /
    • pp.197-219
    • /
    • 2002
  • Education is an intentional change of human behaviors. This change is implemented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of humans. The principles in the learning process and its psychological mechanism are based on learning theories. The objective insight about how they are related with school libraries as a basic organization supporting school education, what they can contribute and what their research methodologies are is a base for educational and academic research of school libraries. This study at first is to investigate learning and teaching theories for school libraries based on behavioral learning theories, cognitive learning theories and constructive learning theories which are general trends for learning theories. Then it is to introduce new theory 'library-based education approach (LBEA)'as an educational base of school libraries.

  • PDF

Software Education us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정보처리이론을 적용한 소프트웨어 교육 활용 방안)

  • Kang, Min-Gyeong;Lee, M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77-279
    • /
    • 2020
  • 본 연구는 학생들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하여 정보처리이론에 따른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 전략 설계 및 교수학습 활용 방법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보가 입력되어 인출되기까지의 정보처리과정을 적용해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프로그래밍을 보다 효과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을 제시한다. 학습의 과정을 개선하고 소프트웨어 교육 정보를 보다 많이 기억하고 인출할될 수 있도록 돕는 유용한 내용들을 제공한다. 정보처리이론을 소프트웨어 교육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은 집중력, 문제해결능력이 향상되고 학습정보에 대해 효과적으로 기억하며 장기간 기억, 인출이 가능해 질 것을 기대한다. 교육 환경이 발전하고 학습방법도 달라지고 있지만 학습자의 인지구조가 변화되진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발전하는 교육 환경에 맞추어 정보처리이론을 토대한 소프트웨어 교육에서 교수·학습 방법은 지속적으로 연구되어야 한다.

  • PDF

A Theoretical Review on the Experience Curve toy Energy Technology (에너지기술의 학습 효과에 대한 이론적 고찰)

  • Chang, Han-Soo;Choi, Ki-Ryu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5 no.4 s.48
    • /
    • pp.209-228
    • /
    • 2006
  • The learning effect is on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s that examine the mechanisms of the deployment of energy technolog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theoretical overview and a critical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the experience curve for energy technology. For these objectives, we review a couple of theoretical aspects and applications and investigate the sources of learning and cost reductions to grasp the mechanisms of teaming effect. Finally we conclude some insights from our theoretical reviews.

Developing a Tool for Observing Instructions based on Learning Theory (학습이론에 기초한 수업분석 도구 개발)

  • Kang, Shin-Chun;Park, Jeong-Ae;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10a
    • /
    • pp.275-278
    • /
    • 2013
  • Almost teachers have some basic questions about the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lternative tool to observe and analyze an instruction based on the learning theories providing the theoretical rationalities for learners to study not only in daily their life but also in their class and to apply it as an example. This study showed some suggestions analyzing an instruction theoretically through out some filters based on learning theories. Recently various learning theories have been studied and accumulated. This study developed an alternative tool to observe and analyze an instruction based on the Behaviorism, the Cognitivism and the Constructivism in the middle of these learning theories and it was applied to observe and analyze a actual class of the informatics subject. The expectation is for teachers to reflect or improve their classes using the alternative tool.

  • PDF

A Discourse for the Theory of Adaptive Learning Object Design (적응적 학습객체 설계 이론을 위한 개념적 연구)

  • Jo, Il-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3
    • /
    • pp.483-500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undamentals of learning object. Learning object, a new paradigm for instructional design in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attracted much research efforts since it has lots of advantages in terms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use effectiveness. A theory for the systematic design of this new instructional design, however, looks far from mature. Since the birth of the idea of a learning object has been found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design, such as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learning object does not have enough theoretical underpinnings in term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The researcher tried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is new, alien concept as a learning design theory. Relevant research efforts and discourses have been discussed for this purpose.

  • PDF

Design of a Mobile System Based on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Model for Learning Disorder Student (학습장애아를 위한 중재-반응모형 기반 모바일시스템 설계)

  • Kim, Chul-Ho;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41-248
    • /
    • 2009
  • 학생들의 기초 기본학습 능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교육상황에 비추어 볼 때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학습장애에 대한 재인식과 학습장애아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그 대책으로 최근 특수교육분야에서 기존의 지능-불일치 교육이론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중재-반응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 RTI) 이론을 기반으로 학습장애아들에 대한 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우리의 교육에 적용을 위해서는 많은 걸림돌들이 존재하고 있다. 실제 교육 현장의 교사들이 RTI 이론 적용의 걸림돌로 제기하는 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모바일 시스템설계를 통해 실제 현장에서의 RTI 이론 적용 및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첫째, 실제 국내의 교육현장에서 기존 교사들이 제시한 RTI 이론 적용가능성이 낮은 항목들을 중점으로, 이론 적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시스템의 구성을 기존의 행정중심이 아닌 실제 수행자 중심 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학교행정가를 제외한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학습장애 학생으로 설계하였다. 셋째, 일반교사, 특수교사, 학부모, 학습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및 진전도 체크 등을 모바일 기기의 편이성과 결합하여 학습장애아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PDF

An Adaptive Method for Student Level Estimation in a SCORM-based e- learning System (SCORM 기반의 e-Learning 시스템에서 적응형 학습자 수준 판단기법)

  • 한향숙;정철호;문현정;김영지;우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66-56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SCORM을 기반으로 한 e-Learning 시스템에서 학습자의 학습 활동을 트래킹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적응적으로 판단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기법에서는 모집단의 크기가 작을 경우 교수자가 지정한 난이도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고, 모집단의 크기가 충분히 클 경우에는 문항반응이론을 적응한 난이도에 의해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였다. 문항반옹이론을 적용할 시점에서 교수자가 지정한 난이도가 문항반응이론에서 추정한 난이도와 차이가 날 경우, 교수자가 지정한 난이도를 문항반응이론의 난이도로 수정하는 적응적인 기법을 제시하였다. SCORM의 트래킹 기능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문제를 푼 학습자의 수가 적을 경우에는 학습자 수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의 수준이 계속 바뀌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모집단의 크기가 작을 경우,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에 의해 교수자가 지정한 문항의 난이도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판단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The Component based U-Learning System using Item Response Theory (문항반응이론을 이용한 컴포넌트 기반의 U-러닝 시스템)

  • Jeong, Hwa-Young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8 no.6
    • /
    • pp.127-133
    • /
    • 2007
  • The u-learning environment has been developed through a number of iterations, and has now been formally evaluated, through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results and the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Generally, for advance learning effect and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results, the most learning system be use to the item analysis method. But, nowadays, it has using the IRT(Item Response Theory) instead of the item analysis method, The IRT adopts explicit models for the probability of each possible response to a test. Therefore, I proposed the lightweight component based u-learning system using the IRT. Applied device of u-learning is PDA which is in Windows mobile 5.0 environments.

  • PDF

New Discussion on Cognitive Conflict Using Conceptual Structure (개념구조를 이용한 인지갈등에 대한 새로운 논의)

  • Moon, Seong-Sook;Kwon, Jae-So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8 no.5
    • /
    • pp.359-382
    • /
    • 2008
  • There are so many research literatures on conceptual change theory and the nature of concepts such as p-prims, mental model, ontological belief, and cognitive structure. Conceptual change means learning (Vosniadou, 1999; Duit;1999). It is necessary to review and elaborate existing conceptual change theories in order to explain the learning process and its implications. Therefore, we derived from reviewing literatures that learners construct new conceptual structure in response to given contexts at the same time activating their beliefs. We reviewed some mental theories that integrated cognitive and affective components and were based on framework/specific theory or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We suggest learners' framework of conceptual structure and conflict model of conceptual structure. We expect to obtain effective ways of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implications for cognitive conflict and conceptual change from using conceptual structure later.

Innovation in Library Organization and the Princip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도서관조직 혁신과 학습조직이론)

  • 홍현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47-150
    • /
    • 1998
  • 환경의 급격한 변화속에서 혁신할 수 있는 조직의 능력이란 조직의 생존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총체적인 혁신전략으로서 각광 받고 있는 학습조직이론을 도서관조직의 새로운 혁신기법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학습조직의 개념정립과 학습조직 등장의 시대적 배경, 그리고 학습조직의 구축요소와 구축단계와 함께 최근의 학술도서관의 재조직 경향과 학습조직이론간의 관련성에 대해 논하고 있다. 단, 본 연구는 앞으로 전개될 경험적 연구의 기초로서 개념의 변별 타당도 확보 차원의 이론 연구라고 할 수 있으면, 앞으로 다양한 학습조직 구축방법 등을 활용하여 실제로 도서관들을 진단하고 이들을 학습조직으로 전환시키는 사례연구들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