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성취도 평가

Search Result 603,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Data modeling and algorithms design for implementing Competency-based Learning Outcomes Assessment System (역량기반 학습성과 평가 시스템 구현을 위한 데이터 모델링 및 알고리즘 설계)

  • Chung, Hyun-Sook;Kim, Jung-Min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11 no.11
    • /
    • pp.335-34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development of course data models and learning achievement computation algorithms for enabling the course-embedded assessment(CEA), which is essentia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higher education. The previous works related CEA have weakness in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atic solution for CEA compu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data models and algorithms to implement competency-based assessment system. Our data models are composed of a layered architecture of learning outcomes, learning modules and activities, and an associative matrix of learning outcomes and activities. The proposed methods can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urse-embedded assessment system as core module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our proposed models through applying the models to a practical course, Java Programing. From the result of the experiments we found that our models can be used in the assessment system as a core module.

Fuzzy Approach of Learning Evaluation Model in Intelligent E-Learning Systems (지능형 가상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 평가 모델의 퍼지적 접근)

  • Weon, Sung 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1
    • /
    • pp.55-63
    • /
    • 2005
  • Recently, web-based E-learning systems have entered the spotlight by providing new learning environments that break down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s. The key to building the web-based E-learning system is in determining how to effectively use the system and to evaluate the degree of learning achieved by the students that use it. In traditional off-line learning systems, we can evaluate students by counting how many questions, designed to evaluate their learning achievement, he or she answers correctly within a predetermined time limit. But this method would make individualized learning, a strong point of E-learning systems, impossible because these systems provide same learning strategy to all students even though they achieve a different level of learning.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find any relationships between given test answers using fuzzy implication theory, I call these fuzzy correlations, and then generate evaluation results that are reflected in those relationships. I will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is evaluation method and a traditional evaluation method where a student takes a test to evaluate his or her learning achievement after some learning period. Finally, I will discuss how we can use these results in individualized learning.

  • PDF

Item difficultly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SCORM (SCORM 기반 학습 컨텐츠 난이도 분석)

  • Kim, Chul-Hyun;Ko, Hyung-Dae;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358-360
    • /
    • 2005
  • 본 논문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제의 정${\cdot}$오답율을 측정하고, 코스 구성시 측정된 정${\cdot}$오답율을 근거로 문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콘텐츠 제작에만 중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준에 맞는 평가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학습자의 수준은 기존 학습의 결과로 파악이 되며, LMS에 저장된다.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 정${\cdot}$오답 결과를 저장하여 해당 문제를 푼 여러 학습자들의 정${\cdot}$오답율을 메타데이터에 포함한다. 교수자는 학습 코스 설계 시 해당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 검색, 새로운 코스에 포함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코스 설계자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을 학습코스에 적용할 수 있고,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평가를 함으로써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게 된다.

  • PDF

A study of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that used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and prediction for promo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한 학업성취도 분석 및 예측 수행평가 시스템 연구)

  • Kim, Hyun-Jeong;Choi, Jin-See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8.06a
    • /
    • pp.677-678
    • /
    • 2008
  • 이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과의 수행평가에서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촉진을 위하여 학업성취도를 분석 및 예측하는 시스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학업성취도의 평가는 루브릭을 적용하여 프로그래밍 수행평가의 채점을 논리력, 문제해결력, 창의력으로 측정하였으며 학업성취도를 분석하기 위해 학습자별 학업성취도를 측정 준거 별로 그래프로 표현하며 이동평균법을 적용하여 향후 점수를 예측하였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평가 결과 그래프로 현재 자신의 학습상태를 파악하고 예측 결과로 자신의 학습의 준거 별 장 단점을 분석하여 학습 방향 및 학습시간에 대한 자기 성찰에 도움을 주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Item-Type Evaluation System of Highschool Mathematics in Web Environment (웹 환경에서의 고등학교 수학 교과의 문제 유형별 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 최정률;신용서;윤기천;이상철;최필진;한상민;박홍복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0.05a
    • /
    • pp.268-273
    • /
    • 2000
  • 기존의 웹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은 학습자의 선택 기회가 없는 상태에서 일방적으로 제시된 문제지로 평가하게 되거나, 문제 은행에서 임의로 추출한 문제도 단순히 무작위로나 난이도만을 고려하여 문제지를 구성하였고, 그 결과에 대한 성취도의 분석도 한 문제지에 대한 정오표 또는 점수로 단순하게 제시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지속적인 학습 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유형, 과목 및 단원 난이도, 문항 형태, 문항당 배점, 문항당 배당 시간등의 다양한 정보를 가진 유형별 문제 은행을 구축하였다. 학습자는 마치 문제집을 풀고 싶은 유형의 문제를 선택하듯이 문제 은행에서 문제를 자율적으로 구성하여 평가할 수 있는 유형별 문제지나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기준에 맞추어 자동 구성되는 종합 문제지로 다양하게 평가할 수 있다. 또한, 한문제지에 대한 결과뿐만 아니라 유형별, 월별 성취도 분석을 통하여 평가한 총점에 대한 획득한 점수의 누적 통계를 그래프로 일목요연하게 보여주어 한 학습자에 대한 지속적인 성취도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축하였다.

  • PDF

A Study On Efficient Method of Management for Examination Questions in Virtual Education System (가상학습 시스템의 평가 문제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 방법에 대한 연구)

  • Ryu, Hee-Yeoul;Kim, E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05a
    • /
    • pp.1039-1042
    • /
    • 2005
  • 가상학습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평가를 위해 문제 출제 방법 및 문제의 난이도 재조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상에서의 학습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학업 성취도에 대한 올바른 진단을 함으로써 다음의 학습 진도 및 방향을 스스로 판단해야 하기 때문에 평가 방법 및 평가 문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제 은행에 문제를 등록하는 시점에서 출제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부여되는 문제 난이도의 객관성 입증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출제 문제에 반영하는 방법으로서 평가 결과에 따른 문제의 난이도 재조정으로 인한 출제 문제의 신뢰성이 아주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초기 문제 난이도에 대한 객관성을 최대한 높임과 동시에 보다 실질적인 평가를 위한 문제 출제 방법과 보다 신뢰할 수 있는 학업 성취도를 출제 문제에 반영하는 난이도 재조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객관적으로 문제은행의 문제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ICT Literacy Education Goal Attain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들의 ICT 소양교육목표 달성 정도에 관한 연구)

  • Choi, Yun-He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51-60
    • /
    • 2005
  • 현대 사회에서 정보는 학생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정보화 교육은 절실하게 필요하다. 2003년 이후로 초등학교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전면적으로 실시된 이후 여러 방면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 목표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간과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한 학습 목표 성취도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 경로와 교육목표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더 나은 ICT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단계별 학습 영역에 따른 학습 내용을 추출하고 평가 기준을 세운 후 해당 학생들의 학습 정도와 학습 내용의 습득 경로를 평가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컴퓨터 교육의 인지적인 부분이 기능적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교육목표 성취도가 낮으며, 학습 경로를 분석한 결과 수업 시간보다는 집에서 가족에게 배우거나 스스로 익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Study on Course-Embedded Learning Achievement Evaluation and Adaptive Feedback (교과기반 학습성취 평가 및 적응형 피드백 시스템 설계)

  • Chung, Hyun-Sook;Kim, Jung-M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6
    • /
    • pp.553-560
    • /
    • 2022
  • The research of course-embedded learning evaluation method, which can be used to measure the competency of learners by evaluation of learning outcomes, has been performed for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univers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n learning evaluation and adaptive feedback model based on learning outcomes, learning subjects, learning concepts graph, and an evaluation matrix. Firstly, we define the layered learning outcomes, a graph of learning subjects and concepts, and two association matric. Secondly, we define algorithms to calculat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learning feedback to learners. We applied the proposed method to a specific course, "Java Programing", to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our metho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can be useful to measur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and provide adaptive feedbacks to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Assessment and Academic Performance in Team-Bas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Flow in Class (간호대학생의 팀기반학습에서 동료평가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수업몰입의 매개효과)

  • Hye-Sook 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675-678
    • /
    • 2023
  • 본 연구는 팀기반학습을 활용한 교과목을 수강한 간호대학생 56명을 대상으로 동료평가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수업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매개효과 분석은 PROCESS macro Program의 model 4를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이용하여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동료평가, 수업몰입과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몰입은 동료평가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료평가가 간호대학생을 위한 TBL 과정에서 수업몰입과 팀워크를 촉진하고 궁극적으로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며, 교수자가 학생의 학습성과를 개선할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교육 전략 및 개입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PDF

Questions Selection System of Studying Territory due to a Studentcentered Class Level Training Management System (학습자 수준별 교육관리시스템에 의한 학습 영역의 문제 추출 시스템)

  • Park Kyung-Jun;Koh Jae-Jin;An Hyoung-Keun;Yang S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94-96
    • /
    • 2005
  • e-Learning 교육관리시스템은 다양한 교육 정보와 평가를 바탕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평가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와 기술들이 많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관리시스템은 동일한 학습 내용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며, 학습 영역에 맞는 난이도별 문제를 추출해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진단평가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수준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학습 영역의 내용과 문제를 난이도별 문항수를 적용, 추출하여 학습 동기와 학습 성취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시스템은 학습자 수준에 따른 난이도별 문항수 비율을 비례하게 적용하여 흥미도를 최대화하여, 학습 내용과 문제를 재사용하여 피드백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