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성취도

Search Result 2,0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iagetian cognitive developmental level and learner control as instructional design variables in CAI (CAI 설계변인으로서의 Piaget 인지 발달 수준과 학습자의 수업조절 (learner-control))

  • Kim,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6 no.2
    • /
    • pp.73-81
    • /
    • 1986
  • CAI 프로그램 개발에 Piaget의 인지 발달 이론과 학습자의 수업 조절(learner-control) 전략을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국의 North Carolina주에 있는 Greensboro Day School의 9학년과 10학년 학생 102명을 실험 대상으로 하여 인지 발달의 수준을 조사하고, 3그룹으로 나누어 그들에게 구체적 조작 수준의 CAI, 형식적 조작 수준의 CAI, 그리고 학습자가 수업의 수준을 선택 학습할 수 있는 CAI의 3가지 형태를 각각 학습시킨 후 학습의 효과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학생들의 3.92%가 구체적 조작의 초기 수준(IIA)에, 37.25%가 구체적조작의 완전 수준(IIB)에, 47.06%가 형식적 조작의 초기 수준(IIIA)에, 그리고 11.76%가 형식적 조작의 완전 수준(IIIB)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구체적 조작 수준의 문항에 대하여, 형식적 조작 수준의 CAI를 실시 한 그룹은 학습자 수업 조절 CAI를 실시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3.660, P=0.031). 3) 구체적 조작 수준의 문항에 대하여, 형식적 수준의 수업만 학습한 그룹은 구체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수업을 신어서 학습한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3.257, P=0.044). 4) 성취도 검사의 전체 문항에 대하여, 구체적 수준의 수업만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은 구체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수업을 섞어서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5,340, P=0.009). 5) 형식적 조작 수준의 문항에 대하여, 구체적 수준의 수업만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은 구체적 수준과 형식적 수준의 수업을 섞어서 학습한 그룹의 구체적 수준의 학생들보다 유의하게 높은 학업 성취도를 보였다(F=3.511, P=0.044).

  • PDF

Item difficultly Analysis of Learning Contents Based on SCORM (SCORM 기반 학습 컨텐츠 난이도 분석)

  • Kim, Chul-Hyun;Ko, Hyung-Dae;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b
    • /
    • pp.358-360
    • /
    • 2005
  • 본 논문은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을 제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제의 정${\cdot}$오답율을 측정하고, 코스 구성시 측정된 정${\cdot}$오답율을 근거로 문제를 구성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콘텐츠 제작에만 중점을 두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준에 맞는 평가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다. 학습자의 수준은 기존 학습의 결과로 파악이 되며, LMS에 저장된다. 학습자가 문제를 풀면 정${\cdot}$오답 결과를 저장하여 해당 문제를 푼 여러 학습자들의 정${\cdot}$오답율을 메타데이터에 포함한다. 교수자는 학습 코스 설계 시 해당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 검색, 새로운 코스에 포함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학습 코스 설계자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평가 문항을 학습코스에 적용할 수 있고, 학습자는 자신의 수준에 맞는 평가를 함으로써 학업성취도가 높아지게 된다.

  • PDF

A Study on ICT Literacy Education Goal Attain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들의 ICT 소양교육목표 달성 정도에 관한 연구)

  • Choi, Yun-He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51-60
    • /
    • 2005
  • 현대 사회에서 정보는 학생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정보화 교육은 절실하게 필요하다. 2003년 이후로 초등학교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전면적으로 실시된 이후 여러 방면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 목표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간과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한 학습 목표 성취도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 경로와 교육목표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더 나은 ICT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단계별 학습 영역에 따른 학습 내용을 추출하고 평가 기준을 세운 후 해당 학생들의 학습 정도와 학습 내용의 습득 경로를 평가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컴퓨터 교육의 인지적인 부분이 기능적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교육목표 성취도가 낮으며, 학습 경로를 분석한 결과 수업 시간보다는 집에서 가족에게 배우거나 스스로 익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Relationship among the Learning Instrumen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 (온라인수업에서 학습도구와 학습성취, 학습만족간의 관계연구)

  • Shim, Sun-Ky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3
    • /
    • pp.487-49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level of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by developing of on-line learning instrument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instrumments(lecture, homeworks, on-line interaction and off-line interacti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his survey was conducted 226 responses of e-learning social welfare education learners. Research method used Amos 18. Result indicated that homeworks and off-line interactive instrum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And lectur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but on-line mode interaction instruments had no effect.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structural development of activity learning instrument is necessary. And to foster learning satisfaction, it will be necessary to increase the learning achievement.

A Study on the Variables Influencing Student Achievement in a Blended Learning of College English (대학 교양영어 블렌디드 학습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끼치는 변인 연구)

  • Choi, Meeyang;Han, Tae I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719-730
    • /
    • 2013
  • The English Conversation class as a required course in S university is designed as blended learning to reinforce English education.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is blended learning on its students' achievement, the research about what variables are related with it was conducted. Data analysis indicates that gender, major, military service, overseas stay, face-to-face attendance, quiz, and online attendance have an effect on the student achievement. However, the students' style of online learning--study place, study time, and study frequency--doesn't have any relationship with their achievement.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nline study was questioned in the three areas such as instructor, contents, and system, among which only the 'system' area has an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Effects of cooperative Blended learning in secondary science instruction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효과)

  • Kim, Sung-Wan;Kwon, So-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249-252
    • /
    • 2011
  • 이 연구는 중학교 과학 수업의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과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수행에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학교 1학년 과학 내용 중에서 연구 단원을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김포시에 위치한 'K'중학교 1학년 학생들 중에서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와 학습태도 검사에 의해 동질집단으로 확인된 2개 학습 79명이다. 연구대상 중 1개 학습 40명을 실험대상으로 선정하여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의 실험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기존의 면대면 협동학습을 실시하였으며 실험이 끝난 후 두 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 변화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은 SPSS Ver.12.0을 이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는 다변량 분산분석(MANOVA)을 하였고, 학습태도는 독립표본 t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한 연구의 결과 첫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업성취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 실험집단이 면대면 협동학습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 중 기억 영역에 그 효과성이 두드러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면대면 협동학습과 학습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첫째, 학습자들로 하여금 자료 수집, 분석, 정리 단계에서 정보의 공유를 통해 적극적으로 학습을 유도하였다고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이 면대면 협동학습보다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으로 제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온 오프라인 혼합 협동학습은 학습자의 학습태도에 효과적이라고 확신할 수 없다. 따라서 학습자의 교과에 대한 학습태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교수 학습방법을 다각화하고 교과와 학습목표에 맞는 적절한 학습방법의 지속적 활용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

The Effects of Hypermedia Structure and Cognitive Style on Learning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s (하이퍼미디어 학습 프로그램 구조와 학습자 인식양식이 초등학생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 Kim, Sung-Wan;Hwang, Kyung-Hyu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3
    • /
    • pp.57-6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hypermedia structure(hierarchical and network), learner's cognitive style(field-independent and field-dependent), and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mentary school. 128 students(4th graders) having field-independent and field-dependent cognitive style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hierarchical and network structures of hypermedia learning program. There was not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hypermedia structure and cognitive style in learning performance. The students in the hierarchical hypermedia structure showed higher learning performance than ones in the network hypermedia structure. Field-independent students significantly got higher results than field-dependent ones. It is concluded that instructional designers should consider hypermedia structure, learner's cognitive style, and learning outcomes when they plan and design hypermedia learning program.

  • PDF

The Effect of Process Oriented Guided Inquiry Learning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on Science Achieve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in Chemical bond (화학 결합에서 모바일 증강현실을 이용한 과정기반 안내탐구학습이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학습 몰입감에 미치는 영향)

  • Jeon, Young-Eun;Ji, Joon-Yong;Hong, Hun-G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2 no.3
    • /
    • pp.357-370
    • /
    • 2022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n augmented reality learning tool suitable for chemical bond learning and proposed a process-oriented guided inquiry learning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POGIL-MAR) to find out how it affects science achievemen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flow. Participants were 139 10th-grade students from a coeducational high school in Gyeonggi-do,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TL), the treatment group 1 (POGIL), and the treatment group 2 (POGIL-MAR). They learned the concept of the chemical bond from the Integrated Science subject for four class periods. Results of two-way ANCOVA revealed that the POGIL-MAR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groups in a science achievement test,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est, and learning flow test, regardless of their prior science achievement.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low-level group, the POGIL-MAR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achievement compared to the TL and POGIL groups. The MANCOVA analysis for sub-factor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how that the POGIL-MA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intrinsic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and grade motivation.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level of prior achievement was significant in the intrinsic motivation. Meanwhile, the MANCOVA analysis for sub-factors of learning flow show that the POGIL-MAR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clear goals, unambiguous feedback, action-awareness merging, sense of control, and autotelic experience. Based on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sing mobile augmented reality are discussed.

The Effects of Coopera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by the Level of Achievement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 Lim, Hee-Jun;Choi, Kyoung-Sook;Noh, Tae-He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19 no.1
    • /
    • pp.137-145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the cooperative and the individualistic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by the level of achievement. These two learning strategies endowed students with the responsibility of learning and emphasized student-centered learning which included higher order thinking activities. Cooperative learning group students studied the tasks through small group discussion,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group students solved the same ones individually. In the traditional group. teacher-centered expository lesson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th graders of coed middle school, and were taught about separation of mixture for 10 class periods. Two-way ANCOVA results revealed that the test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 for cooperative learn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individualistic and traditional learning groups.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instruction and science were also more positive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 than the others. No interactions between the treatment and the level of previous achievement indicated that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was effective regardless of the level of achievement.

  • PDF

Case analysis for constructing a homogeneous learning group in programming lessons for non-specialists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동질적 학습 집단 구성을 위한 사례 분석)

  • Lee, Kyung-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7 no.12
    • /
    • pp.59-6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learners and to improv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the learners while accepting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class environment in which the middle and large group. Among the learner's positive and cognitive factors,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can classify learners into homogeneous groups in programming learning. The difficulty level of the learning contents influenced factors that classify the homogeneous group, and the facto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intermediate difficulty and the final achievement. In addition, we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ades in order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teady learning regardless of difficulty level.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personal motivation influenced the learning achievement of easy learning contents, and the performance self - efficacy had influence 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achievement of difficult learning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