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메타데이터

Search Result 177,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anagement of Learning Metadata based on RDF (RDF 기반의 학습 메타데이터 관리)

  • Lee Young-Seok;Seo Young-Bae;Park Jung-Hwan;Kim Su-Min;Choi Byung-Uk;Cho Jung-W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3A no.1 s.98
    • /
    • pp.87-94
    • /
    • 2006
  • Internet makes it possible to access anytime, anywhere learning and so many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s) serve web based learning. But LMS has not flexible and qualified metadata to offer customired teaming. So we need extensible and flexible techniques which make if possible to define and share advanced teaming metadata. This paper presents an approach for implementing advanced learning metadata in LMS using RDF and the Semantic Web language. So we will first sketch the learning scenario in Semantic Web environment and structure of metadata management. Next we suggest two types of RDF authoring tool and search RDF documents. Advanced metadata management techniques enables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materials around small pieces of semantically annotated learning objects. With these metadata learner can customize learning courses, improve retrieval performances.

A Design of Metadata Management System for Multimedia Learning Objects (멀티미디어 학습객체를 위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설계)

  • Park, Moon-Hwa;Kim, B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826-828
    • /
    • 2005
  • E-learning의 학습 컨텐츠는 점차 멀티미디어화 되고, 시스템 환경은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고도화될(T-learning 및 U-learning) 것으로 예측된다. 학습자가 요구하는 멀티미디어 학습객체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에서 쉽게 찾아 학습자에게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학습객체의 특성을 정확하게 기술하는 메타데이터 모델이 필요하고 효율적인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학습객체를 위한 새로운 메타데이터 모델을 제안하고, 효율적인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A study on DID metadata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distance learning data weight (원격교육 학습데이터 가중치에 따른 DID 메타데이터 처리방법 연구)

  • Youn-A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567-56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DID기술을 이용하여 원격교육에서 발생하는 학습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습데이터 가중치를 고려한 DID 메타데이터관리방법을 제안하였다. 메타데이터의 식별자에 대하여 특정위치로 데이터 가중치를 검색하도록 하고 해당 가중치에 따라 처리방법을 다양화 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블록체인의 Zero Knowledge Proof 방식 처리에 차별화를 두어 메타데이터를 처리하였으며 데이터 처리속도 및 데이터관리에 효율성높일 수 있다.

  • PDF

Design of Learning Metadata Management Service for Authoring and Sharing Learning Contents (학습 컨텐츠의 제작과 공유를 위한 학습 메타데이터 관리 서비스 설계)

  • Suh, Young-Bae;Lee, Young-Seok;Cho, Jung-Won;Choi, Byu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977-980
    • /
    • 2004
  • SCORM은 웹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학습관리시스템 간에 표준화 된 컨텐츠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학습 컨텐츠의 호환성을 보장하고 재사용성을 높이고자 하는 표준이다. 하지만 기존의 SCORM 기반학습관리시스템은 학습 리소스의 공유를 위한 기반은 제공하지만 학습 컨텐츠의 세부적인 학습 내용과 학습 문맥을 표현하고, 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은 제시해 주지 못한다.본 논문에서는 지식 관리 기술인 시맨틱 웹의 RDF를 사용하여 학습 메타데이터를 표현하고, 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학습 메타 데이터 관리 서비스를 기존 학습관리시스템과 연동될 수 있는 모듈로서 제안한다. 또한 SCO에 포함될 수 있는 RDF기반 특징정보 파일을 정의하고, 저장된 학습 메타데이터를 SOAP 프로토콜을 통하여 외부 학습관리시스템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이를 기반으로 교수자는 학습 주제와 관련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새로운 학습 컨텐츠를 제작 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의미 기반 검색을 통하여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능동적인 학습 환경을 체험 할 수 있다.

  • PDF

Malware Classification Schemes Based on CNN Using Images and Metadata (이미지와 메타데이터를 활용한 CNN 기반의 악성코드 패밀리 분류 기법)

  • Lee, Song Yi;Moon, Bongkyo;Kim, Jun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12-21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딥러닝의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 학습을 통하여 악성코드를 실행시키지 않고서 악성코드 변종을 패밀리 그룹으로 분류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먼저 데이터 전처리를 통해 3가지의 서로 다른 방법으로 악성코드 이미지와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CNN으로 학습시킨다. 첫째, 악성코드의 byte 파일을 8비트 gray-scale 이미지로 시각화하는 방법이다. 둘째, 악성코드 asm 파일의 opcode sequence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방법이다. 셋째, 악성코드 이미지와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분류에 적용하는 방법이다. 이미지 특징 추출을 위해서는 본고에서 제안한 CNN을 통한 학습 방식과 더불어 3개의 Pre-trained된 CNN 모델을 (InceptionV3, Densnet, Resnet-50) 사용하여 전이학습을 진행한다. 전이학습 시에는 마지막 분류 레이어층에서 본 논문에서 선택한 데이터셋에 대해서만 학습하도록 파인튜닝하였다. 결과적으로 가공된 악성코드 데이터를 적용하여 9개의 악성코드 패밀리로 분류하고 예측 정확도를 측정해 비교 분석한다.

MetaGene: Metadata Generation and Contents Packaging for Learning Objects based on SCORM (MetaGene : SCORM 기반 학습 객체의 메타데이터 생성 및 컨텐츠 패키징)

  • Jeong, You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6 no.3
    • /
    • pp.75-85
    • /
    • 2003
  • This study develops the System(MetaGene) to create meta-data for learning object based on SCORM including meta-data of Assets. SCO, Contents Aggregation and metadata of Contents Package. API function cocle is embeded in Learning Object for interfacing API adopter in LMS to support SCORM and for tracking on learning process based on data models. Also, the learning objects are packaged the PIF(Packaged Interchange File) to transmit with LMS. MetaGene is verified by $SCORM^{(TM)}$ Conformance TestSuite for meta-data of learning objects, manifest file of Contents Packaging.

  • PDF

A Study on Designing Metadata Standard for Building AI Training Dataset of Landmark Images (랜드마크 이미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설계 방안 연구)

  • Kim, Jinm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4 no.2
    • /
    • pp.419-434
    • /
    • 2020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sign and propose metadata standard for building AI training dataset of landmark imag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we first examined and analyzed the state of art of the types of image retrieval systems and their indexing methods, comprehensively. We then investigated open training dataset and machine learning tools for image object recognition. Sequentially, we selected metadata elements optimized for the AI training dataset of landmark images and defined the input data for each element. We then concluded the study with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pplication services u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 Study on the Extraction and Integration of Learning Object Meta-data using Web Service of Databases (DBMS의 웹서비스를 이용한 학습객체 메타데이터 추출 및 통합에 관한 연구)

  • Choe, Hyun-J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7 no.2
    • /
    • pp.199-206
    • /
    • 2003
  • XML is becoming a new developing tool of web technology because of its ability of data management and flexibility in data presentation. So it's well researched that the reusability and integration with learning objects such as text, image, sound, video and plug-in programs of web contents in computer education. But the research for storing, extracting and integrating metadata about learning object was needed prior to implementing online learning system to integrate and manage i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 a new method of using web service of DBMS for extracting learning object's metadata in database server which located in 3-tier system.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proposed method, The test server and two DBMSs(MS SQL Server 2000 and Oracle 9i) which have 30 metadata was implemented and the response time of it was measured. The response time of it was short, but in order to using this method the additional programming with SAX/DOM was necessary.

  • PDF

A Meta-Data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Effective Application of ICT in Elementary Education (효율적인 ICT 활용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메타데이터)

  • Kim, Hun-Hee;Kim, Byeong-Seon;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696-704
    • /
    • 2004
  • 제7차 교육과정의 시행과 더불어 정부와 민간에서 모든 교과의 교수 학습에서 ICT를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컨텐트를 다양하게 만들어 서비스하고 있으나 일관된 계획이나 표준안이 없이 필요에 따라 자료를 분류하여 만들어지다 보니 단위 수업 시간에 직접 투입하기에는 알맞은 자료를 검색하여 재가공을 하여 활용하거나 여과 없이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위 수업 중 자료투입시기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교육환경에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탐색하고 메타데이터 요소를 추출하여 국제적인 메타데이터 표준인 DC Core Education 의 메타데이터 표준안을 기반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검색 및 활용을 위한 베타데이터 요소를 추가 하였다. 초등교육 현장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와 원상에 존재한 양질의 교육 정보 자원들을 일반적인 수업 흐름인 도입, 전개, 정리의 메타데이터 요소를 추가하여 통합검색과 체계적인 인터페이스를 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함으로써 초등학교 교사가 쉽고 편리하게 단위 수업에 유용한 것을 찾아내고 수업에 투입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교수학습 자료를 수업에 직접 필요한 형태로 분류하여 제공하여 효율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ICT활용 수업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he development of Metadata Prototype for Educational Game (교육용 게임을 위한 메타데이터 프로토타입 개발)

  • Yoon, Sean-Jeang;Yoon, Tae-S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8 no.1
    • /
    • pp.3-13
    • /
    • 2008
  • We think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the metadata for educational game. Because they are applicable to game contents, separate learning sources and studying components in the game-based LCMS. But markets of eduainment and educational games are newborn field, so systematic development of metadata is not advanced yet. Therefore in this paper, we first established the design process of educational game metadata, and then according to the rule, we suggested this as a prototype. And we defined the extracted data as metadata for educational game through inspection of an expert group. If these metadata prototype are operated by adopting through standardization stage of public institutes, we can provide the convenience of searching, managing and recycling these metadata to learner, instructor and the developing institute. And we can also expect the prevention of overlapping invest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