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플래너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Design of the Smart Planner System for Students based on a Mobile Web App (모바일 웹앱 기반 학생용 스마트 플래너 시스템의 설계)

  • Ahn, S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3.05a
    • /
    • pp.460-463
    • /
    • 2013
  • 스마트 기기의 보급 활성화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스마트교육은 다양한 영역을 포함하고 있지만 주로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학습방법과 교육콘텐츠 개발 등 학습역량을 높이는데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학습자와의 소통과 교감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대학과 일선 학과에서는 학생들과 소통을 위해 오프라인 기반 게시판이나 홈페이지를 활용해왔지만 더 이상 스마트 기기에 익숙해져 있는 학생들과 효과적으로 소통을 할 수 있는 수단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웹앱기반 학생용 스마트 플래너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학과의 프로그램 공지와 같은 단순 정보 전달에 국한되지 않고 학생이 스스로 학사일정을 체크하면서 자기 관리를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해준다. 또한 다양한 학과 프로그램에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인센티브 시스템 운영, SNS를 활용한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포함하고 있다.

  • PDF

Analysis of Causes of Elementary e-Learning Dropouts and Strategies for Their Make-up (초등 전자교육 중도탈락 원인 규명 및 재수강 의사 분석)

  • Lee, MyungGeun;Choi, GouW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1a
    • /
    • pp.169-171
    • /
    • 2013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전자교육 학습자의 학습이력에 따른 중도탈락 원인들을 규명하고 재수강 의사 결정에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재수강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효율적인 전자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초등 전자교육에서 학습이력별 중도탈락 원인을 규명하고 재수강 의사 결정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전자교육에서 학습자의 학습이력 중 특히 학습자의 이수율이 중도탈락율과 관련 있으며, 유의한 원인은 시간부족, 교육내용 방법 평가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이 부족하거나 교육내용 방법 평가 방법이 적절하지 않아 중도탈락한 학습자들의 50% 이상이 재수강 의사를 밝혔으며, 중도탈락 원인 중 학업능력은 재수강을 결정하는데 유의한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중도 탈락자의 재수강을 유도하는 방안으로서는 초등 전자교육 수강자는 온라인 플래너를 활용하여 매일 1시간씩 학습 시간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선행학습은 한 학기 전까지 다루는 것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differential standardization system for the franchisor for a successful math franchise business (성공적인 수학 프랜차이즈 사업을 위한 가맹본부의 차별화된 표준화 시스템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 Hong, Hee-d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4
    • /
    • pp.63-70
    • /
    • 2022
  • Due to the recent changes in the education market and Corona, Consumers have moved to the tutoring and online learning markets, and the large-scale education service franchise business is reorganized into a small-scale franchise, a business model that maximizes the profit structure from a position where sales are important. Recently, a new learning balance model that can provide individualized services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motivate students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athematical franchise model (K-MODEL) that can improve a company's profit structure while satisfying the recent education trends and consumer need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franchise. K-MODEL expects franchisor and franchisees to have a stable profit structure by developing differentiated content and services, learning and operating processes, and various programs to improve learning achievement.

Development and Operation Methods for Minority Optional Curriculum through Cyber Education (사이버교육을 통한 희소선택과목 콘텐츠 개발 및 운영 방안)

  • Jeong, Young-Sik;Ahan, Seong-H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6
    • /
    • pp.444-455
    • /
    • 2009
  • The selective central 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grades eleven and twelve in the 7th curriculum, has not operated well due to lack of teacher supply. This study analyzes the needs for the contents which are necessary to operate the minority optional curriculum through cyber education. Based on the developed contents, pilot program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e learning progress ratio of students was high but their satisfaction was very low. It is suggested that the quantity of the content should be reduced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lowered in order to address the problems. Another suggestion is to provide students with on-line teachers such as learning planners, tutors, and consultations to systematically manage students' learning. In addition, various elective-courses should be developed to allow students to take the courses of their choice, which in turn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operation system for the minority optional curricul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