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 위주 교육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Distance Lecture System of Learner-Centered using GVA Author/CGI on the WWW (WWW에서 GVA Author/CGI를 이용한 학습자 중심의 원격강의시스템)

  • Kim, Chang-Geun;Kim, Byu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934-938
    • /
    • 2000
  • 인터넷 웹 기반 교수-학습체제는 학습자 위주의 교육환경으로 변화하였고, 웹 환경에서도 학습자에게는 시간과 공간의 제약에서 벗어나 다양한 교육정보를 접할 수 있는 원격교육시스템이 대두하고 있다. 인터넷의 발달은 교육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인터넷을 이용한 웹기반 원격교육이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응용되고 있음을 대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원격강의시스템의 경우 교사가 학습할 내용들을 파일형태로 업로드해 놓으면 학습자가 다운로드하여 쓰는 방식이어서 많은 전송비용과 강의내용 구성이 단순한 텍스트 위주의 형태로 구성되어 학습자의 학습효과가 의문시 되었다. 이는 학습자 위주의 자기 주도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유발시켰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정보산업교과의 [인터넷] 단원에 대한 학습을 체계적으로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강의내용을 웹을 통하여 교육에서 요구되는 음성과 교재 판서의 기능을 웹상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런 멀티미디어 자료들이 동기화되어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원격강의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원격강의시스템은 멀티미디어자료 들을 활용한 원격강의시스템이기 때문에 개별화된 교육과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해 시ㆍ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학습 할 수있는 진정한 원격강의시스템이다.

  • PDF

Unplugged Learning System for Informatics Education (정보 교육을 위한 언플러그드 학습 시스템)

  • Cho, Jae-Choon;Kim, Min-Ja;Cho, Tae-Kyung;Cho,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76-79
    • /
    • 2009
  • 컴퓨터 교육은 실습 위주로, 컴퓨터를 도구적으로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활용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순한 컴퓨터 활용의 실습 수업은 학습자로 하여금 흥미를 잃게 하고 문제해결력과 창의성 개발을 저하 시킨다는 문제점들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개정된 7차 교육과정은 이러한 소프트웨어 활용 위주 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컴퓨터 과학, 원리 위주의 교육으로 변화 하였다. 본 연구는 개정된 제7차 교육 과정이 컴퓨터 과학 교육으로 변화됨에 따라 컴퓨터 과학의 내용을 보다 흥미롭고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언플러그드 학습 시스템을 개발 하였다. 컴퓨터 과학의 추상적이고 개념적인 내용은 중등학교의 교육과정으로는 다소 쉽지 않은 내용이며, 이론 위주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흥미 없는 교과로 비추어 질 수 있지만, 정보 교과를 위한 언플러그드 학습 시스템을 통해 흥미 있는 교과로 인식이 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free exercises program for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초등체육교과학습을 위한 맨손체조 프로그램 구현)

  • Jang, Yeon-L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80-285
    • /
    • 2007
  • 체육교과에서 맨손 체조를 구성하는 수업은 기존의 자료 제시 형태의 컴퓨터 활용 수업에서는 일제식 수업이나 학습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흥미 위주의 수업으로 흐르기 쉽다. 그래서 맨손 체조에 관련된 제 7차 교육과정 내의 학습 내용을 살펴보고, 학습자가 자신에게 필요한 맨손 체조를 직접 구성하는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여러 가지 동작을 익히고, 그 동작의 효과를 학습한 뒤, 적절한 동작을 연결하여 맨손 체조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으로써 평가를 통해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맨손 체조 구성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동기를 유발하는 동시에 학습 목표에 충분히 도달하여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능력을 신장시키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Enhancement of Learning Outcomes through Building of Learning Ontologies (학습 온톨로지 생성을 통한 학습 성과 강화에 관한 연구)

  • Kim, Jung-Min;Chung, Hyun-Sook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2
    • /
    • pp.15-24
    • /
    • 2008
  • Teaching is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s. The learning outcomes can be enhanced by active learning of students. However, there are many obstacles to effective learning below, such as lecture notes authored by instructor, passive student participation, and paper-based homework.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ective method for enhancing learning effect through constructing learner ontologies in which knowledge discovered by students is conceptualized and organized. The learning ontology is composed of a teacher ontology and many learner ontologies. The learning ontology is used in discussion, visual presentation,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s. We used the learning ontology in two lectures in practice and learned that the learning ontology enhances learning effect through analysis of feedbacks of students.

In-Depth &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for Social Studies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협동학습에 기반한 사회과를 위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 Chae, Jung-Bo;Kang, Oh-Han;Song, Hee-Heo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8 no.6
    • /
    • pp.45-53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mproved method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class that can be immediately used in the class. There are two major reasons that differentiated curriculum has not been applied to actual educational programs. One reason is the inefficient progress of differentiated curriculum derived from students' self-study based on individual projects and teacher's excessive investment of time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individual researches. The other attribute is the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students' academic level due to the lake of distinct criteria, because students are classified into merely two groups, in-depth group and supplementary class. To cope with these problems, we adopted a cooperative learning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s of the similar level. Experimental results validate that the proposed method is effective in the course of social studies.

  • PDF

Analysis on Research Trends related Project-Based Learning using Flipped Learning (플립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Joung, Eun-Woo;Jung, Ungyeo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8.07a
    • /
    • pp.415-416
    • /
    • 2018
  • 최근 기존의 지식 전달 위주의 수업에서 활동 위주의 학습자 중심 수업이 각광받게 되면서 플립러닝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주목받고 있다. 플립러닝은 교실 수업 전에 온라인학습으로 학습자가 획득해야하는 개념들을 학습하고 교실 수업에서는 토의와 토론, 협력적 문제해결을 강조한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학습자가 학습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유기적으로 통합시키고 실제적 경험과 지식을 연결함으로써 학습내용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고차원적인 사고를 하게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플립러닝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통합한 플립러닝형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Design and Construction of Interactive Web-based Instruction System for Fashion Design (양방향 웹기반 의상디자인 교육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 Kim, LeeYoung;Park, Meegnee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5
    • /
    • pp.33-43
    • /
    • 2004
  • Fashion design education essentially requires not only a theoretical but also a practical process in which feedback comes through personal interactions between an instructor and a student. But the existing WBI system exemplifies its limitations by applying only a one-way Distance Education methodology that limit interactions based only on the theoretical texts. This study affirms that distance learning system is possible for the applied component of the fashion design curriculum as long as the specific needs of the particular program is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systematically applied. So it designed and applied an original web-based distance educational system specifically incorporating the needs of the fashion design curriculum Thus the results show that the enhanced distance education system is a tool that could be effectively utilized with the same degree of success as the traditional classroom as long as the traditional teaching component of direct interaction necessary to the fashion design program is incorporated.

  • PDF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rporate e-Learning Performance (기업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Lee, Myung-Sup;Kim, Yeong-Real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58
    • /
    • 2009
  • In business training, the biggest change through training plan, choosing trainees and conducting the training has been on education environment by information system. These changes are to attain effective learning based on the customer not the supplier. However there are still passive operation on the companies' strategic training cours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alternatives for the difficulties on educational training operation and to find the way for effective operation.

  • PDF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

  • Go, Sang-Suk;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29-134
    • /
    • 2003
  • 수학과의 평가는 수학의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다양한 유형의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수학교육의 질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평가는 수학교육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수학적 지식을 결과 위주로 평가하는 데 만족해 왔다. 한편으로는 지극히 교과서적이고 인위적인, 단지 문제를 위한 수학 문제는 수학 무용론을 부추기기도 하였다(박경미, 1998). 이와 같은 수학과의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결과만을 고려하는 선다형의 문제가 아닌 과정을 중시하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 기능 위주의 고립된 수학적 지식을 측정한 학업성취 결과보다는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나 노력, 관심, 탐구적 활동 그리고 성향 등 정의적 영역의 평가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지필 검사를 뛰어넘는 다양한 평가의 틀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런 점에서 1999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는 변화하는 교육기조의 교수 ${\cdot}$ 학습에 대한 적절한 평가의 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평가의 틀 가운데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현장에서의 수행평가활용 방법을 찾는데 있다.

  • PDF

Analysis of Factors for Adult Female Learners' Dropout in e-Learning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 분석)

  • Park, Soon-Shin;Kim, Sun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149-153
    • /
    • 2011
  • 이 연구는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를 중도탈락에 이르게 하는 요인을 도출하고, 이 중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음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료율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도출된 9가지 요인 중 어떤 요인이 중도탈락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력은 얼마인지 알아보기 위해 16개의 설문문항을 구성하여 K 기관의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 등 5가지로, 내적 동기, 학습가능 시간, 결혼 여부,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순으로 중도탈락에 대한 영향을 미쳤다. 즉, 학습진행 시 내적 동기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습 시간의 부담이 적을수록, 미혼이며, 교육기관의 지원에 만족도가 높을수록, 또 가사와 육아에 부담이 적을수록 수료를 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자교육에서 성인여성 학습자의 수료율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전자교육 과정 운영 시 결혼 여부, 내적 동기, 교육기관의 지원, 가사와 육아, 학습가능 시간의 요인을 고려해야하며, 그 중 결혼 여부, 가사와 육아부담 등의 여성학습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중도탈락을 줄이기 위해서는 교육기관의 역할이 중요하다. 또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내적 동기 향상을 위해 과정설계 시 여성학습자 위주의 맞춤형 교수설계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성인여성 대상 전자교육에서의 학습자 중도탈락 요인들의 인과관계 및 그에 따른 영향력을 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여성 학습자의 중도탈락을 줄일 수 있는 실증적인 방법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도탈락률을 줄이는 것은 물론,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서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도울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