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자간 소통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1 seconds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mmunication between Learners in Non-face-to-face Team Project Classes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간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Ahn, You Jung;Kim, Kyong Ah;Kim, Ji S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01a
    • /
    • pp.133-134
    • /
    • 2022
  • 팀 프로젝트 수업에서 학습자들 간의 소통은 프로젝트 성패에 중요한 요인이면서 동시에 가장 큰 갈등 요소이기도 하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장기화되면서 비대면으로 운영되는 팀 프로젝트의 경우 팀원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기회나 방법이 더 제한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팀원들 간의 소통의 원활성을 지원하는 요소에 대해 분석하고자 2년간 실시한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소통을 지원하는 여러 가지 방법들을 적용해보고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 PDF

A Comparison of Learning Effects of Untact and Face-to-Face Classes Based on Team Project (팀 프로젝트 기반 언택트 수업과 대면 수업 방식의 학습 효과 비교)

  • Ahn, You Jung;Kim, Ji Sim;Kim, Kyong A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85-87
    • /
    • 2021
  • 컴퓨터 전공자들의 프로그래밍 개발 중심의 팀 프로젝트 수업은 프로그래밍 개발 능력과 팀원들 간의 협업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수업으로서, 기존에는 대면수업을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간 그리고 팀을 이룬 학습자들 간에 긴밀한 상호작용으로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2020년 COVID-19의 확산으로 대부분의 대학 수업들이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됨에 따라 팀 프로젝트 수업 역시 비 대면으로 운영되어야 했으며 팀 활동을 위해 다양한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방법이 모색되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팀 프로젝트 수업을 기존의 대면 수업으로 운영하였을 경우와 비대면 방식으로 운영하였을 때 학습자들이 느끼는 학습 효과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한다.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팀 프로젝트 수업을 통한 학습 이해도, 수업 흥미도, 학습자간의 소통의 원활성, 수업 참여의 적극성 그리고 전체적인 수업 만족도에 대한 설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향후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대면과 비대면의 하이브리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대세를 이룰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만큼 대학 수업 방식에도 변화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Social Learning in Workforce Education (소셜러닝을 적용한 직업교육 성과분석 사례연구)

  • Lee, Sookyoung;Park, Yeonje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6 no.4
    • /
    • pp.523-534
    • /
    • 2015
  • Social learning is a form to support learners' active engagement and participation in learning with other learners and instructors by using social media. The concept of social learning should be considered beyond the simple use of social media for learning or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understanding of social lear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ocial theories of learning in designing and developing a program for workforce education. As a pilot test, the newly developed social learning program was implemented to 302 employees with the title of 'Innovative Display Strategy for POP". 138 employees successfully completed the social learning course that focuses on delivering contents in time-line based platform, supporting interactions among students, and working effectively through small smart devices in their workplace.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ree kinds of data-source: learner's log data, their final evaluation score, and the survey to measure the satisfaction about social learning.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social learning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program revis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application.

A Proposal of Korean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Metaverse (메타버스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대상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제안)

  • Park, Shinjung;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2.05a
    • /
    • pp.581-583
    • /
    • 2022
  • 우리나라 교육통계에 따르면 외국인 가정 및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 수는 138,227명에 달하며(교육부, 2020), 결혼이민자는 169,005명에 이른다(법무부, 2022). 이들 중 대다수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호소하며, 의사소통 문제는 학교 및 사회생활 부적응으로 이어진다. 이에 대하여, 지방자치단체와 다문화 유관기관 등에서 다양한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지만, 대부분이 단편적인 학습지 교육이나 문화 체험 수업에 그치거나 코로나19 등으로 인하여 수업이 중단되는 등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적응하고 생활해야 하는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가상현실(VR)을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이는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아 일반 교재나 PC 활용 수업에 비해 접근성이 좋고 실재감과 몰입감을 높여 학습자의 흥미와 참여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다자간 동시 참여가 가능한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학습자 간 활발한 상호작용 및 소통이 가능하여 언어 능력과 더불어 사회 적응력을 기르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A Study for Improvement of Computer Literacy using Peer Tutoring on the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초등학교 재량 활동에서 동료교수를 통한 컴퓨터 소양 능력 신장 연구)

  • Jeong, Eun-Ah;Kim, Yun-Shin;Kim, Chu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74-82
    • /
    • 2004
  • 컴퓨터 소양 교육은 학교가 안게 된 하나의 새로운 과제가 되었다. 이러한 컴퓨터 소양 교육은 그 교과 내용 자체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학습자간의 준비도의 편차가 심하다. 준비도 격차가 큰 학습 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습자의 부담감을 줄이기 위해 동료 교수법을 적용해 보았다. 동료 교수법이란 선행 학습자가 후행 학습자를 도와주고, 후행 학습자 역시 선수 학습자를 조력하는 역할을 하는 방법이다. 동료 교수 학습의 기본적인 과정은 '짝 정하기', '역할 정하기', '과제 제시 및 수행', '역할 바꾸기', '피드백'의 순이다. 동료 교수에 적합한 단원을 선정하여 학교재량활동 시간에 지도함으로써 컴퓨터 소양 능력 이외에도 사회성과 책임감, 의사 소통능력, 목표 의식 등에 전반적인 향상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ducating Programming for Developing Creativity and Character (창의인성 발달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 An, SangJin;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179-18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창의인성을 계발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 과정의 필요 요소를 논의하고자 한다. 프로그래밍 학습은 일반적인 상태에서 목적 상태로 변화하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여 실행하는 전형적인 문제해결학습의 형태를 띤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성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확산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학습자간의 의사소통과 교류를 강화하는 교수학습방법을 사용하고, 도덕적 논의를 교육 내용에 포함해야 한다.

  • PDF

수학과 특기 ${\cdot}$ 적성교육 교수-학습자료 개발

  • Hwang, Hong-Taek;Kim, Heon-Na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317-335
    • /
    • 2002
  • 수학학습은 교과 수업시간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자연과 문화 속에 내재된 수학적 원리와 법칙은 관찰이나 탐구를 통하여 습득하거나, 일상생활의 활동과 놀이를 통하여 수학적 개념 및 결과와 관련된 심상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계획적으로 잘 구성된 놀이활동을 통하여 수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사고의 유연성과 직관력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교사와 학습자간에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한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놀이 활동을 통하여 수학적 경험을 가능하게 하는 활동유형을 탐색하고, 수학의 본질이 잘 고려된 특기 ${\cdot}$ 적성교육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이를 활용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real-time microblogging activities in offline lecture environments (오프라인 강의식 수업에서 실시간 마이크로블로그 활용 학습활동 효과 사례분석)

  • Lim, Keol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2 no.2
    • /
    • pp.195-203
    • /
    • 2011
  • In-person lectures have structural issues that active communications in the classroom are limited because of the environments where the instructor usually delivers learning contents in a unilateral manner. Therefore, microcontents activities using real-time microblogging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measures for the lecture in this study. Fourteen students in K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learning activity for eight weeks using a microblog during instruction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participants' positive learning activities increased by producing and collaborating ideas through real-time microblogging.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strategies for the attention to the class, quality management of microcontents, and the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design should be more studied further.

Index Mechanism for advancement learning efficiency of E-Iearning (이러닝시스템의 학습 효율성 향상을 위한 색인 메커니즘)

  • Kim, Eun-J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5
    • /
    • pp.906-912
    • /
    • 2009
  • Offline-based study is proceeding effectively for directly teach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a learner and a professor. In general virtual education system have been solve this problem using provides search of particular learning domain and auto feedback of relative learning domain after examination. But the learner needs personally select the right document among search result set and interconnected precedence study domain. Therefore, the unskilled learner is difficult of learning progress over against offline-based study. This paper suggests a index mechanism of varied views for helps to learner understand the flow and direction of learning and correlation between un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