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을 위한 평가

Search Result 2,733,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ing a Prototype of Learning Epistemic Frame using Computer based Learning System: Learning Analytics (인식론적 프레임 학습을 위한 컴퓨터 기반 교육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학습분석 중심으로)

  • Choi, Younyoung;Seo, Donggi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3
    • /
    • pp.23-29
    • /
    • 2018
  •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omputer based learning system that can learn a new concept of epistemic frames in response to the demands of $21^{st}$ century Skills. However, there is little research on the theoretical models for the epistemic frames applicable in the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measurement theories (Psychometric theory, Learning Analytics) that can be evalu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core elements of the learning system prototype that can educate the epistemic frames in the practical community.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and suggests an appropriate psychometric measurement theory (learning analytics) that allows us to measure, infer, and evaluate a learner.

Effect of Application of Ensemble Method on Machine Learning with Insufficient Training Set in Developing Automated English Essay Scoring System (영작문 자동채점 시스템 개발에서 학습데이터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앙상블 기법 적용의 효과)

  • Lee, Gyoung Ho;Lee, Kong Joo
    • Journal of KIISE
    • /
    • v.42 no.9
    • /
    • pp.1124-1132
    • /
    • 2015
  • In order to train a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it is necessary to have non-biased labels and a sufficient amount of training data.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required non-biased labels and a sufficient amount of training data to develop an automatic English Composition scoring system. In addition, an English writing assessment is carried out using a multi-faceted evaluation of the overall level of the answe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hoose an appropriate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such work. In this paper, we show that it is possible to alleviate these problems through ensemble learning.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 that the ensemble technique exhibited an overall performance that was better than that of other algorithms.

Research of Computerized Adaptive Testing System for Cyber Home Study (사이버가정학습을 위한 적응형 평가시스템 연구)

  • Yang, Dong-Yong;Han, Sun-Gwa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21-329
    • /
    • 2004
  • 사이버 가정학습은 오늘날 학교교육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방법으로서의 잠재력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의 평가시스템은 사이버 가정학습 체제에서 학습자의 수준에 반응하는 즉, 학습자의 성취도를 가장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문제를 추출하고 피험자의 수준에 알맞게 평가의 길이, 내용을 제시하며 평가 결과에 따라 난이도를 조절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다. 그리고 IRT 기법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능력 수준을 알기 위하여 준비된 모든 문항을 해결하지 않고 피험자의 능력 수준에 의해 선택된 몇 개의 문항만으로 피험자의 능력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Empirical Study and Evaluation of Case-Based Learning for Improvement of Learning Outcome (학습 성과 개선을 위한 사례기반 학습의 실험적 연구 및 평가)

  • Kim, Seong-Kee;Kim, Young-Hak;Yoon, Hyeon-J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4 no.6
    • /
    • pp.53-64
    • /
    • 2011
  • This paper proposes and evaluates empirically a new recommendation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using case-based method. In this paper, we first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teachers who work currently in Gyeongbuk area, and constructed learning cases depending on critical factors of learning. We next recommended differentiated learning methods to learners classifying according to learning cases by achievement level through this survey. The students of a middle school took part in the experiment in order to evaluate empirically the proposed learning cases.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ir achievement level and three separate learning cases were applied to each group. The weights among learning improvement elements applying to each group were added through the survey result of teachers. The experiment using the proposed case-based recommendation method showed that the learning achievement of learners is improved considerably compared to the previous one.

  • PDF

A Study on Design of Learning Supporting System for C Language (C 언어 학습을 위한 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 고찰)

  • Lee, K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83-286
    • /
    • 2013
  • C 언어는 프로그램을 간결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한 언어로, 프로그램 구성 시 오류를 쉽게 발견하기 위한 기능은 부족하지만 다른 고급 언어가 가지고 있는 기술상의 제약이 적어 프로그래밍하기 쉬울 뿐 아니라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의 모태 언어로 평가되어 프로그래밍 언어를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의 필수 언어로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공부하고 있다. 그러나 형식 언어가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특징으로 배우는데 어려워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C 언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쉽고 재미있고, 정확히 배우도록 하기 위해 C 언어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를 위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C 언어 교수 학습 지원 시스템을 설계하는데는 학습전이이론과 블랜디드교육, 문제중심학습, 게임을 참고하여 설계하였으며, 다양한 멀티미디어가 사용되게 하였다.

  • PDF

The Design of Diagram Instruction & Learning System for Low Level Student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도형 영역 교수.학습 시스템 설계)

  • Koo, Yun-Mi;Goh, Byung-Oh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325-334
    • /
    • 2007
  • 수학 교육이 해결해야하는 과제 중 하나는 학습 부진아 문제이다. 수학 학습 부진아 발생 원인은 학생의 수준에 맞지 않는 교재의 사용으로 인해 수학에 대한 흥미 부족, 이를 개선할 수 있는 교재의 미비,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사의 시간 부족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형아 놀자'라는 수학 학습 부진아 지도를 위한 교수 학습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학습 부진아의 수준에 부합된 맞춤식 교육을 목표로 7차 수학교과서의 도형 영역에 제시된 필수 학습 요소를 중심으로 교재를 재구성하였고, 수학과에 대한 흥미 및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교수 학습 방법으로 게임을 활용하였으며, 상호작용부분을 강화하여 가정과 연계된 교육이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이 시스템의 학습단계는 여러 가지 모양, 점, 선, 각, 평면도형, 합동과 대칭, 입체도형이라는 5단계로 각 단계의 시작과 끝에 평가를 실시하여 학습부진아의 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 PDF

Design of a Motivation Model for Reinforcing Evaluation on Mobile Learning Environments (모바일 학습 환경에서 평가를 강화한 동기 모형 설계)

  • Kim, Chang-Gyu;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8a
    • /
    • pp.143-148
    • /
    • 2006
  •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온라인을 통한 웹기반 학습에 이어 휴대인터넷 (WiBro)과 UMPC (Ultra Mobile PC)를 비롯한 모바일 환경에서의 학습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 형태인 모바일 학습에서 학습자의 학습동기를 유발, 지속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써 Keller의 동기 유발 이론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흥미를 잃지 않고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모바일 학습에 적합한 새로운 동기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동기 모형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현장에서 이 모형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적이고 꼭 필요한 절차만 거치도록 하였다. 둘째, 다양한 평가 과정을 절차에 삽입함으로써 학습활동에 대한 보상과 강화를 학습중에 얻도록 하였다. 셋째, 개발된 콘텐츠를 수업안에 바로 적용시킴으로써 자연스러운 수업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넷째, 개별화에 중점을 두어 자기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A Comparison of Machine Learning Techniques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Blog Posts (블로그 포스트 자동 품질 평가를 위한 기계학습 기법 비교 연구)

  • Han, Bum-Jun;Kim, Min-Jeong;Lee, Hyoung-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85-388
    • /
    • 2010
  • 블로그는 다양한 주제 분야에 대한 내용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일종의 개인 웹사이트로, 많은 양과 다양성으로 매우 중요한 정보원이 될 수 있다. 블로그는 생산속도가 매우 빠르므로 보다 고품질의 블로그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블로그의 본문을 담고 있는 포스트를 대상으로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하여 문서의 품질을 자동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학습을 위한 자질로는 모든 블로그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형태소 분석에서 추출한 동사, 부사, 형용사의 내용어만을 선택하였다. 성능 비교를 위해 수작업으로 약 4,600개의 정답 집합을 구축하고, 적합한 기계학습 기법을 찾기 위해 다양한 학습 기법을 사용하여 비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Bagging 기법의 성능이 79% F-measure로 가장 좋음을 보여주었다. 한정된 자질을 사용했을 때와 정답 집합의 문서 수 비율이 불균등할 경우 단순함, 유연성, 효율성의 특징을 지닌 Bagging 기법이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Learning data production technique for visual optimization of generative models (생성모델의 시각적 최적화를 위한 학습데이터 제작기법)

  • Cho, Hyeongrae;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3-14
    • /
    • 2021
  • 본 논문은 생성모델의 학습데이터 제작기법에 대한 실험 및 결과와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을 기술한다. GAN으로 대표되는 생성모델이 아티스트에게 얼마만큼의 만족도와 영감을 주는지를 비교 실험 및 평가하기 위해서는 정제된 학습데이터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아티스트의 작품은 데이터 세트를 만들기에는 그 수가 적고 인공지능이 학습하기에도 정제되어있지 않다. 2차 가공작업을 통하여 아티스트의 원본 작업과 유사한 데이터 세트의 구축은 생성모델의 성능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연구의 결과 생성모델이 표현하기 어려운 스타일의 작가 작품을 선정한 뒤 최적의 학습데이터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실험과 기법을 통해 구축한 데이터 세트를 생성모델 알고리즘에 적용하고 실험을 통해 창작자의 작품제작 의도인 작가 진술에 최대한 유사한 이미지의 생성과 더 나아가 작가가 생각하지 못했던 창조적 모방의 결과물을 도출하였고 작가평가를 통해 높은 만족도를 얻었다.

  • PDF

A Study of System Validity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roving Smart Learning (스마트러닝 개선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연구)

  • Lee, Myung-Suk;Son, Yoo-E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6 no.3
    • /
    • pp.31-39
    • /
    • 2013
  • We developed a smart learning system by using the 'bring your own device' concept, which means the policy of permitting teacher and learners to bring personally owned mobile devices such as laptops, tablets, smart phones, etc. and applied the system to school classes. In addition, we analyzed the learner's satisfaction related to interfaces, interactions, applications, technical support, and evaluation areas. The evaluation system consists of App program for tablet PC's and smartphones, web program for desktop PC and electronic teaching desk, and server program for evaluation and database. Because all the teaching materials, feedback data and evaluation materials about learners are stored on the server, students can receive the necessary data through real-time feedback using their smartphones and desktop PC's. As a result, it could increase educational achievement with interest in lear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