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술연구정보

Search Result 33,760, Processing Time 0.058 seconds

A Study on Korean Journal Evaluation (국내 학술지 평가에 관한 실험적 연구)

  • 배순자;남영준;조현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09-114
    • /
    • 1998
  • 학술지의 평가는 일반적으로 이용빈도와 인용빈도를 이용하여 이루어졌으나 시간과 비용, 인력문제에 따라 그 효용성에 많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점에 착안하여 학술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학술지가 갖고 있는 외형적 정보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용분석도 병행하여 외형적 평가기준과의 연관성도 조사하였다. 새로운 평가방법의 타당성을 측정하기 위해 학문 전반적인 연구에 앞서 일문학분야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실험도 수행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and Management Framework of Social Science Scholarly Ontology for Semantic Information Navigation (연구자 중심 연구성과물 의미검색을 위한 인문사회 학술용어 온톨로지 적용 및 유지관리 체계 연구)

  • Yoo, Sa-Rah;Lee, Hye-Won;Song, In-Se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3 no.2
    • /
    • pp.277-298
    • /
    • 2009
  • In order to utilize the operational metadata retrieval system which is based on the semantic association between the research outcomes of the Korean Research Memory (KRM), the systematic integration of the metadata of the research outcomes with the term data registry (DR) was required. This study presents the ontology which can be used effectively to support the KRM. It includes the concept modeling of the knowledge structure of research outcomes,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modeling that applies an analytical approach to researchers' needs in conjunction with the term DR, and also some technical and administrative suggestions for future system management.

A Study on Subject Classification of Web-based Academic Information Resources (웹 학술정보자원의 주제분류에 관한 연구)

  • 임윤정;박경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2.08a
    • /
    • pp.37-41
    • /
    • 2002
  • 최근 정보처리 기술의 발달과 인터넷의 확산으로 웹 학술 정보원의 양은 방대히 증가하였지만, 이용자들이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찾는 것이 매우 어려워졌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웹 상에서 생산되는 정보를 효과적으로 조직화하고 체계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문헌정보학 분야의 웹 학술정보자원을 선별하여 제공하는 IFL을 통해 웹 학술정보원의 주제분류체계를 제시해보았다.

  • PDF

Team Size Patterns of Korean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국내외 문헌정보 학술지에 나타난 공동연구자수에 관한 연구)

  • Kim, Eungi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8 no.2
    • /
    • pp.429-44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tent of collaboration by comparing team size patterns of Korean LIS journals with international LIS journals. For the sample dataset, the top 30 ranked international journals in the field of LIS were selected using the Scimago Journal Rank (SJR), and 4 Korean LIS journals were selected for the years between 2010-2016. The size of the team who authored Korean journal articles were collected from the RISS database, while the size of team who authore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from the top LIS journals were collected using the Scopus databas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most common team size ranged from one member team to three member teams. Overall, the collaborative team size in international journals was higher than Korean journals. In particular, one member team was the most common team size in Korean journals, whereas two members team was most common in the international journals. At the subject level, the most common team size was one team member in the subject area of Library Related, while the most common team size was three team members in the subject area of Science/Engine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ithin LIS, the size of teams may vary considerably due to differences in subject areas.

A Case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IT Architecture in KEIRS (정보기술아키텍처 구축 사례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을 중심으로)

  • Han, Chang-O;Kim, Se-Hun;Kim, Hyoung-Ji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431-436
    • /
    • 2007
  • 교육정보화를 중추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는 고객에게 양론의 서비스와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써 정보기술아키텍처를 선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향후 모든 정보학 사업의 기반과 더불어 정보시스템 관리체계로써의 역할인 IT Governance를 추진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05년부터 추진해온 정보기술아키텍처 사업과 더불어 '97년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을 통해 축적된 지식과 경험을 토대로 향후 교육관련 기관 컨설팅을 추진하고자 하며, 본 연구와 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논의하였다.

  • PDF

An Overlap Study on Domestic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국가 정보유통기관의 국내 전자학술지 중복서비스에 관한 연구)

  • 최재황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1
    • /
    • pp.51-69
    • /
    • 2004
  • The Internet has rapidly become a global publishing platform, and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covering a wire range of subject areas are now available via WW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duction and delivery of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the degree of overlap in services between these institutions, and the degree of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mount of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subjects in science and technology(S&T) areas. For the study, Registered and Register-Candidate scholarly journals designated by Korea Research Foundation in S&T areas are used. This study also provided some considerations for the services of domestic electronic scholarly journals between national information circulation institutions.

  • PDF

A Comparative Study of Metadata Standards for Serials (학술지 메타데이터의 표준화 체계에 관한 비교 연구)

  • Han Sung-Kook;Lee Hyun-Sil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6 no.1
    • /
    • pp.415-440
    • /
    • 2005
  • This paper analyses meta-data systems for serials in order to provide the fundamental infrastructure for serials-sharing systems based on semantic interoperability. According to the primitive features of serials information, meta-data for serials are classified into 3 main subsystems: seri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rial bibliographic information and serial holding information. The seri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play the important role of the primary key in library management systems should be refined to accommodate serials with digital formats. Although MARC formats have been commonly used for the description of serial bibliographic information, a new meta-data format for serial bibliographic information that harmonize with the abundance of meta-data elements in MARC and the simplicity of DCMI. For serial holding information, the newly proposed standards such as ANSI/NSIO Z39.50 are adequate to grasp the varieties of serial holding patterns. It should be able to differentiate the level of description by means of the types of serial information services. As the current computing technology generally uses XML for the representation and Process of information, the meta-data system for serials should be based on XML.

  • PDF

A Study on Information Need and Use of Public Health Doctors (공중보건의들의 정보 요구 및 이용에 관한 연구)

  • 홍기선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1 no.4
    • /
    • pp.259-283
    • /
    • 2000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중보건의들이 환자 치료와 학술적인 연구를 하기 위해 요구하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0년 10월 23일부터 11월 11일까지 3주 동안 공중보건의 298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용자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위로 정보수집방법과 정보원, 그리고 도서관 이용정도와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중보건의들은 환자치료와 최근의 연구동향을 알고자할 때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정보원은 단행본(교과서)과 학술지로 인쇄본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공중보건의들이 그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선호하는 정보수입방법은 인터넷 검색과 동료들로 그 이유는 정보접근의 편이성과 정확성 최신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3) 이용자의 50.3%가 정보이용에 어려움을 느낀다고 하였는데 그 이유는 주로 지역적인 문제와 문헌전달의 지연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공중보건의들은 정보가 필요할 때 주로 도서관을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얻는 경향이 있으나 대체적으로 보아 도서관 이용빈도수는 매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ata Publishing and Library (데이터 출판과 도서관)

  • Jung, Young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1-101
    • /
    • 2017
  • 연구 성과물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다른 연구에도 도움을 주어 또 다른 과학적 발명과 발견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오픈 사이언스의 철학이 전세계적으로 설득력을 얻으면서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사회적 논의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지난 몇년 동안 글로벌 표준식별자 개발, 메타데이터 및 인용 방식의 표준화, 데이터 리포지토리 구축 등 연구 데이터 공개 및 출판을 위한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학술지 논문의 부속 자료로 여겨지던 데이터(연구 데이터)는 이제 다양한 분야에서 논문과는 독립적으로 데이터 리포지토리에 기탁되어 공개되거나 데이터 저널에 출판되기도 한다. 그러나 학술 논문의 출판과는 달리 데이터 출판은 종종 다른 용어와 의미로 정의되기도 하며 분야마다 데이터 출판의 방식과 구현의 정도가 크게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데이터 공개 및 출판 이니셔티브를 소개하고 데이터의 공적 이용가능성, 문서화, 인용, 식별자 부여, 검증 및 데이터 출판의 단계별 구현 사례를 분석한다. 또한 국내에서 데이터 출판과 관련하여 수행 중인 과제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학술 정보 출판과 연구데이터 관리를 도서관의 기능으로 인식하고 출판과 관련한 다양한 관심사를 논의하는 도서관 중심 이니셔티브를 살펴봄으로써 데이터 출판과 관련한 도서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