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문적 기여

Search Result 497,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athematics and Disciplinary Convergence (수학과 학문융합)

  • Park, Chang-Kyun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3 no.1
    • /
    • pp.67-78
    • /
    • 2010
  • This paper aims to show the role of mathematics in the age of disciplinary convergence. Classifying disciplinary convergence into three levels by its degree, I claim that mathematics can contribute to disciplinary convergence in three aspects: theoretical, linguistical, and spiritual. Then I assert that there i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between three levels of convergence and three contributing aspects.

A Study on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speleology (동굴학의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Ji, Jong-Duck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64
    • /
    • pp.1-11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cientific characteristics of speleology and to contribute to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of speleology. For this purpose, I analyzed the scientific specialty of speleology, the relation to other sciences and the scientific approaches. In conclusion, the speleology is the applied and synthetic science, so that the effective approach to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of speleology is to study by means of the organic and symmetric approach than the fragmentary and uniform approaches.

The Comparative Education and History of Education: An Introductory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비교교육학과 교육사학: 비교교육학사 서설(敍說))

  • Hahn, Yong-Jin
    •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 /
    • v.28 no.3
    • /
    • pp.243-263
    • /
    • 2018
  • In order to confirm the academic authenticity of comparative education, the academic methodology which is also appropriate for the historical arrangement is the history. In this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udy of comparative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of education and aims for a tentative approach to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every discipline, it is essential to organize the history of the discipline both for those majoring in it and for the development of the discipline itself.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general, the method of studying comparative education includes not only 'comparative studies' but also 'regional studies', but it can add academic depth through the study of time series called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Seco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he pre-histor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the second stage is the 'embryo stage', the third stage is the 'establishment stage', and the fourth stage is the 'development stage'. Especiall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 academic potential of comparative education is even higher, so it is possible to add an 'expanding period'.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education history' in order to secure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comparative education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more easily confirm the perspectives and issues of comparative education in the future, together with a good conceptual understanding of comparative education.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시론적 연구 - 한국정책학회와 한국정책학회보를 중심으로 -

  • Heo, Man-Yong;Lee, Hae-Yeong
    • 한국정책학회보
    • /
    • v.21 no.2
    • /
    • pp.1-31
    • /
    • 2012
  • 본 연구는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정의·분류하고, 학문적 정체성의 하위차원에서 도출된 연구 질문과 기존 연구에서 제기된 논쟁점에 대해 학문공동체와 기존 연구들이 어떻게 논의하고 있는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정책학의 정체성이 무엇이고 어떤 상태에 있는지, 연구 노력과 활동이 정체성 정립에 기여했는지, 학문적 정체성 구축을 위한 연구 함의는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학문적 정체성은 '독자적이고 고유한 이론체계와 방법론 및 연구 대상과 범위를 가지고 있으면서(과학적 정체성) 경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고민하면서(경계정체성) 공동체를 구성하여 학문의 영역과 미래를 회고·전망하는 것(집단정체성)'으로 규정하였다. 즉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은 세 가지 하위 차원과 각각의 구성요소(패러다임, 한국화, 공동체 활동 등)로 이루어져 있다. 정책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다음과 같다. 정책의 개념 정립과 이론 구축 등의 멀고 성가신 길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과학적 정체성 수준은 매우 낮고 그 구축은 요원하다고 하겠다. 빈약한 또는 잘못된 정책 개념을 극복하고 정당한 과정을 거친 개념 규정이 우선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정책학의 한국화에 대한 연구 요청 대(對) 무용론이나 연구 축적은 거의 없다는 비판 등이 대치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경계 정체성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 축적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학문공동체를 구성하여 (한국)정책학의 위치와 미래에 대해 회고·전망의 장을 열고 있지만 공동체의 목적인 근본적 문제 등에 관한 자극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구성원들의 응집력은 한국화 등에 대한 공동 노력이 시도되고 있는 반면, 개념 구성 등에 대한 그것은 알려진 것이 드물다. 따라서 집단정체성은 과학적 정체성의 공유(자극, 공동노력, 응집력)는 상대적으로 부족하고 경계정체성의 공유는 시도 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개념 정립, 이론 구축 등과 같은 과학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개인적 시도보다는 학문공동체의 관심과 자극이 수반된 공동 노력으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고분자 과학기술은 한국인에 유리하다

  • Sim, Jeong-Seop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1 no.8 s.351
    • /
    • pp.12-13
    • /
    • 1998
  • 고분자 과학은 골격이 1940년대에 확립되어 이제 회갑을 맞는 활기찬 학문이다. 오랜전통을 갖는 서구과학의 타 학문에 비해 6.25동란등으로 10년 정도의 학문적 공백기를 감안하더라도 근소한 핸디캡으로 출발하였으므로 고분자 과학과 기술의 성취에는 한국인의 입장이 유리할 것이다.

  • PDF

Rethinking Knowledge Base of Social Work Practice (사회복지 실천의 지식기반과 학문적 특성에 관한 연구)

  • Hong, Seon-M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6 no.4
    • /
    • pp.195-214
    • /
    • 2004
  • As one of the essential elements of social work practice, knowledge articulates what the social work profession is doing and ought to do. With an emphasis on building a body of knowledge for the profession, this study analyses the nature of social work knowledge. First, the study examines concepts of social work theories and models, which are built around separate clusters of concepts from a broad base of theoretical orientation. The study reviews epistemological and ideological debates over how to perceive and approach social issues and the role of the social work profession. In organizing a clear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work practice, different frames of reference and selective and fragmentary knowledge from other disciplines are considered barriers. For the development of a clear identity as a unified profession and the prospects of a value-based profession, more attention needs to be given to specify practical knowledge that is contextual and appropriate to practice settings and more sensitive to social issues.

  • PDF

전력계통 연구회 - 지부.연구회 소개

  • 박종근
    • 전기의세계
    • /
    • v.46 no.12
    • /
    • pp.55-56
    • /
    • 1997
  • 학문과 산업의 발전에 따라 전기공학의 전문연구분야가 활성적으로 연구되고 학술활동도 활발하게 진행됨에 따라 전문분과별 연구활동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효율적인 전기 에너지의 발생과 전송, 운용에 관한 전력기술의 발전과 이용보급을 위한 전력계통 연구회는 1975년 11월 1일 대전공업전문학교에서 창립되어 꾸준히 발전되어 왔다. 전력수송과 운요에 관련된 전력계통의 운용과 해석, 신전기에너지의 발생, 전송, 합리적인 이용, 대체에너지 등에 대한 연구활동을 하는 회원들로 구성된 연구회이며, 전력의 효율적이고 안정된 공급에 관련된 학문과 기술의 발달, 회원의 적극적인 연구참여로 산업의 근대화와 국민생활의 고도화에 기간을 이루는 전력계통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적극적인 연구와 학술활동을 하고 있다.

  • PDF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의 철학이론과 유학정신

  • Nam, Myeong-Ji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 /
    • v.105
    • /
    • pp.149-192
    • /
    • 2008
  • 추파(秋坡) 송기수(宋麒壽)(1507-1582)는 500년 전에 출생하여 조선시대 중종, 인조, 명종, 선조의 4대에 걸친 75세를 일기로 생존했던 재조(在朝)의 선비로서 행정가요, 또한 학인이었다. 추파는 기묘사화의 참상을 직접 목도하고 본의 아니게 위훈이 하사되어 평생 마음의 질곡이 되었고, 또한 소위 양재역 벽서사건에 연루된 종형 규암(圭菴) 송인수(宋麟壽)를 구명(救命)하지 못한 그의 처신이 또한 역사 속에서 오해의 사단(事端)으로서 추파에게 큰 굴레로 작용되었다. 추파의 현실인식은, 사화로 사림이 사기저상되었고, 그로 인해서 치도와 강상이 붕괴되었으며, 재해가 출현하고, 민심의 흐트러짐이 모두 천명의 노여움으로 본 동시에, 그 처방을 요순지치인 치도(治道)를 확립할 것, 선진 성학으로서 학문을 진흥할 것과 그 실천 주체인 선비의 기상을 진작시킬 것에서 찾았던 것이다. 추파의 성리설은 이기관계론을 부상리(不相離)라는 주제만을 채택하여 존재론적으로 접근하였고, 그 결과 율곡보다 훨씬 앞서 '리기지묘(理氣之妙)'라는 표현을 쓰면서 리발(理發)보다는 발어리(發於理)라는 말에 무게중심을 둠으로서 기발을 중심으로 말한 "기발어리설(氣發於理說)"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바로 그 뜻으로서의 천리(天理)를 밝혀 기(氣)로 발하는 구체적인 삶 속에 구현 하는 실천하는 길이 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추파의 학문은 바로 천리(天理)를 깨달아 실천궁행하여 가는 길로서 삶의 목표로 삼은 점이 특징적인 것이다. 즉 추파에 있어서 학문의 길은 리(理)의 본래적 뜻을 깨닫고 리(理)의 뜻을 심성의지(心性意志)를 통해서 구현하는 길인, 리(理)로 부터 발한 기발(氣發)을 몸소 역행실천(力行實踐)하는 길인 것이다. 이 길을 실제로 자신의 사명과 직결된 삶의 바른 길로 삼았던 것이다. 요컨대 추파의 학문사상의 궁극적 특징은 역행궁리(力行窮理)의 실천학에 있는 것이며, 따라서 결론적으로 사사(事事)(실사(實事))구시정신(求是精神)에 입각한 실천철학만이 그의 학문의 궁극적인 목적지가 되었던 것이다. 현실정치의 민생문제도, 역사적 이념으로서 선비정신 부양과 벽이단도 모두 이 사사구시(事事求是)의 시(是)를 통해야 되고, 이 시(是)를 통해서 구현하는 길이 추파학문사상의 궁극처인 것이다. 그리고 그의 언설과 삶 자체가 실사구시의 실천 그 자체 이었던 것이다. 학문사상사적으로 본다면 추파의 위상은 근본유학의 정신을 살려 그를 근간으로 하여, 한국 성리학의 개화기(開花期)에 새로운 개념으로서 이 기관계를 '리기지묘(理氣之妙)'라든가 발(發)의 근거를 리(理)에 두되 리(理)가 직접 발하는 것이 아니라, 발(發)하는 것은 기(氣)라는 '기발어리(氣發於理)'의 한길만을 중시한 점으로서 이기설의 새로운 문제를 제기한 점이라 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기발론적(氣發論的)인 바탕에서 실천역행의 근거를 확립하게 됐다는 특징을 볼 수 있는 점이다. 또한 이것은 한국성리학의 기발일도라는 기발설의 선구적 주장이며, 또한 이(理)를 근거로 결국 사사구시(事事求是)의 경세실학(經世實學)을 제시함으로서 실학의 선구가 될 만한 문제제기(問題提起)를 했다고 평가할 만한 특징이라 하겠다. 이 연구가 그의 마음속에 얹혀져있던 멍에도, 그간 오해받은 역사적인 멍에도 벗겨질 수 있고, 한국철학사상장성기(韓國哲學思想長成期)(국유사상주류기(國儒思想主流期))의 학술사적인 위상도 바르게 드러나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韓國統計의 現況과 將來 - 統計敎育

  • 윤기중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v.10
    • /
    • pp.16-23
    • /
    • 1981
  • 본고는 해방이후 한국에 있어서의 통계학 및 통계의 발전과정을 교육측면에서 논의하려 한다. 통계학 또는 통계의 발전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교육측면의 기여문제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먼저 통계학의 학문적 특수성과 교육상의 특수성 논의를 자초하게 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