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도서관

Search Result 1,04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Federal Legislations and School Library Standards in the School Library Development of the U. S. (미국 학교도서관 발전에 있어서 연방 법률과 학교도서관 기준)

  • Kwak, Chul-Wan;Choi, Jae-Hwa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9 no.2
    • /
    • pp.109-124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ederal legislations for school libraries and school library standards hav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chool libraries in the U. S. The U. S. school library statistics, school library standards, and federal legislation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school libraries have been developed by continuous supporting from federal legislation, rather than that of states' governments or school districts. The school library standards also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for school libraries' improvement. As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the U. S. school libraries' development, Korean school libraries are needed persistent supports from Korean government.

  • PDF

지상(紙上) 블로그 - 학교도서관, 책 읽기에 교과교사와의 협동수업을 더하다

  • So, Byeong-Mun
    • KLA journal
    • /
    • v.53 no.3
    • /
    • pp.24-27
    • /
    • 2012
  • 채 10년도 안되는 기간동안 학교도서관은 천국과 지옥을 오가고 있다. 2002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현 교육과학기술부) 주도로 시작된 '학교도서관활성화사업'을 통해 낡은 학교도서관 시설은 현대식으로 바뀌었으며, 교원으로서 사서교사는 1998년부터 지속적으로 현장에 배치되었고, 2007년 "학교도서관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나름 학교도서관에 대한 구체적인 법적 관심을 받았다. 먼지 쌓이는 교실 한 칸도 되지 않던 창고같던 학교도서관은 늘어난 장서와 PC를 포함한 다양한 IT 기기, 편안하게 책을 읽을 수 있는 교구 등을 갖추면서 나름 도서관답게 바뀌기 시작했던 시기이다. 학교도서관 운영의 주체성과 자율성을 가질 수 있는, 많지는 않더라도 교사라는 지위로 사서교사가 전국의 초 중등학교에 지속적으로 배치되던 시기이기도 하다. 도서관 관련 법에서 늘 구석에 있던 학교도서관은 "학교도서관진흥법" 및 시행령이라는 단독법안으로 제정되어 법리 상 관심을 받던 시기였다. 여기에 더해 책 읽기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다양한 책읽기 프로그램 등이 운영되고 나름 학교도서관이 활성화되는 것 같았다. 하지만 화려하게 바뀐 학교도서관은 자격이 있는 인적자원 배치와 지속적인 장서의 공급 등을 통해 유지되기보다는 운영시간 연장 등 시설 자체의 운영에 초점이 맞춰지는 시기로 바뀌었다. 98.6%에 이르는 학교도서관 설치 대비 46% 밖에 되지 않는 인적자원의 배치 현황, 그나마 학교도서관에 배치된 인적자원의 14.7%만이 정규직 사서교사, 사서(직원)이라는 현실은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인적자원 배치에 대한 기대를 더 이상 할 수 없는 어려운 시기로 바뀌었음을 보여준다. 단독법안으로 학교도서관의 진흥과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던 "학교도서관진흥법"은 학교도서관 관련 시설, 인적자원, 운영에 대한 분명하고 명확하지 않은 법조항 때문에 관점에 따라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어 오히려 학교도서관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일부의 비판도 받았다.

  • PDF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in User's Cognition and Needs for Secondary School Libraries (중등학교 학교도서관 이용자 인식 및 요구 특성 분석)

  • Hwang, Hyejeong;Kim, G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2 no.1
    • /
    • pp.245-264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perceptions on and needs to school libraries, and suggest an effective library management direction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To achieve this purpose, we compare the perceptions on and needs for library elements, such as facilities, collections, programs, etc.,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e suggest to establish an orientation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We also suggest a need of further study in which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needs among grades in a level of the secondary school for more detailed customization of library services.

A Case Study on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of Gangnam-gu (기초자치단체가 설립한 학교-공공 통합형 도서관 운영사례 -강남구립 학교전자도서관의 경우를 중심으로 -)

  • 한윤옥;이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4 no.2
    • /
    • pp.59-82
    • /
    • 2003
  • Gannam-gu established 'school digital libraries' in 15 of their elementary schools between September 2001 to October 2002, and now offers library services to both students and residents All expenses and human resources for these libraries are provided by the Gannam-gu and schools provide only their vacant classrooms. This is a good example of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The type of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can be a useful suggestion for our educational situ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actual condition and the efficiency of the library established by Gannam-gu, a well-known case of a combined school-public library.

  • PDF

사례보고-미국의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

  • Song, Eun-Gyeong
    • KLA journal
    • /
    • v.47 no.4 s.371
    • /
    • pp.69-80
    • /
    • 2006
  • 현재 미국 데이비슨 초등학교에서 도서미디어 교사로 활동하고 있는 송은경씨가 4월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과 관련해 미국의 도서미디어 교사의 자격과 역할,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 활용방법, 학교도서관 미디어의 달의 각종 행사를 소개해 주었다. 우리나라 학교도서관 활성화에 좋은 참고가 되기를 바란다.

  • PDF

도서관탐방 - 이화여대병설미디어고등학교도서관

  • Park, Gyeong-A
    • KLA journal
    • /
    • v.46 no.1 s.356
    • /
    • pp.37-39
    • /
    • 2005
  • 교육인적자원부는 2002년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을 발표한 이래 매년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을 분야별로 평가하여 우수사례를 발굴ㆍ포상해오고 있다. 2004년에도 약 40여개의 학교가 우수학교로 선정되어 수상을 하였으며, 2004년 12월 3일(금) 제주도에서 개최된 '2004 학교도서관대회'에서는 8개 학교의 우수사례 발표 시간도 마련되었다. <도서관문화> 도서관탐방팀에서는 8개 학교 중 어디를 가보면 좋을까 고민하던 중 쉽게 만나기 어려운 사서교사 근무 도서관을 발견하고 한달음에 달려갔다.

  • PDF

서울시별시지정 학교도서관교육시법학교 연구보고(초)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 no.5
    • /
    • pp.8-12
    • /
    • 1963
  • 본고는 서울특별시가 학교도서관 교육시범학교로 제정한 서울안산국민학교가 ‘국민학교실정에 알맞은 도서관의 설치와 운영’이라는 주제하에 1963.7.2 발표한 연구보고문을 발취한 것이다.

  • PDF

인터뷰 - <학교도서관저널> 세상에 얼굴을 내밀다

  • 한국도서관협회
    • KLA journal
    • /
    • v.51 no.4
    • /
    • pp.44-46
    • /
    • 2010
  • 지난 3월 1일 <학교도서관저널>이 창간되었다. 도서관계로서는 무척 반갑고 기쁜 일이었기에 <학교도서관저널>을 많은 도서관인들에게 소개하고 싶었다. 이에 <도서관문화> 편집팀도 <학교도서관저널> 한기호 발행인(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장)을 찾아, 도서관을 연상시킬 만큼 책이 가득한 사무실에서 세상과 마주한지 얼마 되지 않은 따끈따끈한 저널이 제 집 찾아갈 준비를 하는 모습을 보면서 <학교도서관저널>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었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in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u-Hyeon;Hong, Hyun-J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5 no.1
    • /
    • pp.217-24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Individual School library should contribute from school educational objectives to national level educational objectives. When school libraries have accountability, consulting supervision and evaluation for the school library education is needed.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even components.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is proposed with seventy-two indicators in six categories. Results of the evaluation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consulting supervision.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An, Dain;Kim, Gi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5 no.3
    • /
    • pp.245-270
    • /
    • 2018
  • In order for school library to fully serve as a key educational element of a school, teachers' positive perception on the library's role is essential. Due to the lack of the perception, however, school libraries are not closely related to class activities in practice. Sinc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y has been regarded as an given environmental factor in the field of school libraries, alternatives for revitalizing school libraries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were not effective in practice. We developed a hypothesis that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 have a certain impact on the teachers' perception, and tested the hypothesis and identified library factors to the perception in this study. Through a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with the data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we identified that the teachers perceived the library as non-curricular element, their perceptions were affected by the library. Consequently, the school library can influence the teachers' pervep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to explore practical alternatives to improve the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libraries by activities in school libr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