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커뮤니티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Model of Joint School-Public Libraries for Rural Communities)

  • 이미영;남영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43
    • /
    • 2013
  • 우리나라는 공공도서관의 수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의 학교도서관이 학교구성원에 대한 서비스와 함께 마을공동체의 문화커뮤니티로서 지역 공공도서관의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현재 네이버 문화재단 등의 민간단체에서 정보소외지역을 대상으로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학교도서관의 역할과 기능의 확대를 위한 '우리학교마을도서관'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들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도서관 서비스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는지를 확인하였고,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필요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문화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장, 운영자,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정보소외지역에서 실질적인 정보격차 해소에 충분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우리학교마을도서관이 마을공동체도서관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 등으로부터 외부지원의 확보, 운영자들의 직무 교육 실시, 지역주민들의 적극적 참여, 다양한 도서관서비스의 마련 등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커뮤니티케어를 위한 지역사회 재활 직무 지식과 교육의 적절성 조사연구 : 작업치료사 직무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ppropriatenes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Job Knowledge and Education for Community Care : Focusing on the Job as an Occupational Therapist)

  • 배성환;조석민;백지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379-388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사회 통합 돌봄을 위한 작업치료사들의 지역사회 재활 직무에 대한 지식과 교육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 지식수준과 학교 교육 및 보수교육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예비조사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검증된 설문지를 바탕으로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의 직무에 관한 지식수준과 학교 교육 및 보수교육의 적절성이 낮은 평균점수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 실무에서 필요한 지식을 알 수 있었으며,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지식 보유수준을 파악하고, 학교 교육 및 보수교육의 적절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기존 의료기관 중심의 교육에서 지역사회 작업치료 직무와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지역사회에 종사하는 작업치료사들의 직무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와 감염병의 범유행 상황 가운데 지역사회의 재활 직무를 담당하는 다양한 직군들에 해당하는 직무 관련 지식수준과 교육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Use of Educational Programs in Science Museums)

  • 최경희;장현숙;이현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5권3호
    • /
    • pp.331-337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관의 교수-학습에 활용 현황 및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지금까지 과학관은 학교 교육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운영되지 못하였으며, 주로 일회적이거나 개인적인 활동으로 과학관 경험이 끝나는 경우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관이 교수-학습에 많이 이용되지 못하는 것은 그 교육적 효과가 미미해서보다는 외부의 물적 행정적 지원의 부족으로 인함을 알 수 있었다. 교사들이 선호하는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은 캠프나 실험 등의 학생 위탁 프로그램과 학교 교육과 정과 관련된 전시물이었으며, 교사들에게 과학관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기를 물어본 결과 설문 대상의 약 80%의 교사가 과학관 학생 위탁 프로그램 개발, 과학관 투어, 캠프, 실험 등의 과학관 위탁 프로그램 운영 담당, 과학관 중심 교사 커뮤니티에의 참여, 과학관 방문 전후 프로그램 개발 등에 참여를 희망하였다.

  • PDF

학습 도구로서 G러닝 콘텐츠의 활용과 학습 효과 분석 -초등학교 수학 교과 적용을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G-learning Contents as an Educational Tool : The Analysis of G-learning Math in Elementary School)

  • 위정현;송인수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55-62
    • /
    • 2011
  • G러닝은 온라인게임 네트워크와 가상세계 속 활동, 유저 간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몰입과 재미를 느끼며 공부할 수 있는 학습방법으로 기존 학습방법과 차별화된 새로운 시도로 평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G러닝을 실제 초등학교 수학 정규 교과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G러닝의 실제 활용에 대한 사례를 마련하고 아울러 G러닝을 통한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서울 소재의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G러닝을 실제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성취도 변화 값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의 결과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G러닝의 실제 적용 사례가 본 논문을 통해 정리 되었으며 학습자의 학습 효과에 대한 측정과 분석 결과 연구반이 일반반에 비교하여 성취도 변화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타남으로써 G러닝이 학습자의 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배움 공간 혁신 방안으로서의 녹색환경제공에 관한 효과와 영향 분석 연구 -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s and Impact analysis as innovation plan of learing space by providing green environment - Focused on children and adolescents -)

  • 임채영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2호
    • /
    • pp.22-30
    • /
    • 2021
  • 2020년 개최된 OECD의 한국교육 분석 중간보고에 따르면 발표자 안드레아스 슐라이허 OECD 교육국장은 '한국 학생들은 실패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감, 초조함을 많이 보인다'며 시험 점수가 괜찮아도 긴장감을 느끼는 모습에 대하여 말했다. 단적인 예시이지만 최근의 교육 발표에 언급된 만큼 한국의 학생들에게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모습이며 교육을 받으며 쉽게 겪는 일이다. 한국이 인적자원 양성 있어서 관심과 열의가 높은 만큼 그 방법에도 여러 가지 것이 고려되고 연구되고 현재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개선점, 발전 방향이 제시되어야 하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학교 교육의 질 개선에 있어서 배움 공간 혁신의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았으며, 그 방법과 수단 중에서도 녹색환경제공의 효과와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정리하였다. 기존에 제시된 학생들의 복합적 양상의 사회적 문제 해결에 본 학술이 작은 한 가지의 해결책과 역할이 될 수 있길 바란다.

학교시설 복합화를 위한 지역주민의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l Residents' Needs for Mixed-use School Facilities)

  • 황성혜;박수빈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5호
    • /
    • pp.125-135
    • /
    • 2010
  • A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qualitatively improved by revision of the school curriculum, local residents become increasingly interested in sharing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rough the mixed-use of school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se and need for school facilities. This study involved a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of local residents who have used school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sports and learning facilities were the most used of five different types of school facilities, (2) school facilities were mainly used in the evenings (18:00~22:00 hrs), but the respondents differed in terms of time of use according to gender, age and work hours, (3) the result showed high needs for all types of facility and needs for sports facilities among them were the highest, and (4) preferred time of use was varied according to the type of facility and the residents' characteristics. In conclusion, this study explored various directions for the mixed-use of school facilities by analyzing local residents' current use and their needs for further use of these facilities, taking into accoun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지역사회 커뮤니티 센터로서의 학교시설복합화 유형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일본의 사례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mplexes of the School facilities as a Local Community Center -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chool Facilities in Korea and Japan -)

  • 황성혜;박수빈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9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38-343
    • /
    • 2009
  •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use of the school facilities as a community center. The twenty-five elementary schools in Korea and nine schools in Japan are analyzed on the frame of the facility types(the athletic facility, the cultural facility, the convenience facility, the educational facility, the welfare facility, and the open-space), the building units(single, multiple), and the user's movement(separate, cros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frequently served complexes of the school facilities are the athletic facility, the convenience facility, and the cultural facility in Korea and the convenience facility, the educational facility, the athletic facility, and the cultural facility in Japan. The schools in Japan seem to be more concerned to the life-long studies. (2) Gyms and swimming pools are most popular as the athletic facility both countries. The schools in Japan supply the community members with more various contents encouraging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making as the convenience, educational and the cultura facilities. (3) The use of building units and the user's movement are not distinguishable in both countries.

  • PDF

취업 멘토 네트워크 시스템 시각화 도구 (A Visualization Tool for Job Mentor Network System)

  • 임보미;장인선;지은혜;김승태;박우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3-105
    • /
    • 2010
  • 소셜 네트워크는 인적 네트워크을 통하여 정보를 공유하거나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시스템이다. 소셜 네트워크가 많이 활성화 되고 있지만 구성원간의 연관성 파악, 직접적 관계가 없던 구성원간의 연결 등을 통하여 관계를 확대해 나가는 것을 돕는 시스템은 아직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취업 네트워크를 2차원 화면에 시각화를 통하여 취업 멘토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취업 멘토 네트워크 시스템은 취업 졸업생 멘토의 출신학교, 취업회사, 동아리, 학과, 출신고등학교에 대한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재학생 멘티가 이를 활용하기 위한 관심있는 멘토 필터링, 카테고리 검색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자바 애플릿을 이용해 웹상에서 가능함으로써 시공간적인 검색제약을 없앴다. 완성된 시스템은 졸업생 멘토와 재학생 멘티의 관계 형성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부산지역 학교영양(교)사의 직무변인이 직무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Burnout and Engagement in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in Busan Area)

  • 류은순;이경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32-139
    • /
    • 2017
  • 본 연구는 부산지역 초 중 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직무변인(업무량, 자율성, 보상, 커뮤니티, 공정성, 가치)이 직무소진(정서적 소진, 냉소)과 직무열의(활기, 헌신, 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함으로써 영양(교)사의 직무개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 초 중 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2014년 2월 11일 총 532부를 배부하여 401부(회수율 75.4%)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부실 기재된 것을 제외한 393부를 통계자료로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영양(교)사의 직무변인 평균 점수는 커뮤니티 3.38/5.00점, 자율성 3.32/5.00점, 가치 3.07/5.00점, 공정성 2.93/5.00점, 보상 2.91/5.00점, 업무량 2.21/5.00점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소진 중 정서적 소진은 3.50/5.00점, 냉소는 2.69/5.00점이었다. 직무열의 중 활력은 2.79/5.00점, 헌신은 3.22/5.00점, 몰입은 3.21/5.00점으로 나타났다. 직무변인, 직무소진 및 직무열의의 변인 간의 상관관계에서, 업무량은 정서적 소진(P<0.001)과 냉소(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활기와는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율성은 정서적 소진(P<0.001)과 냉소(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활기, 헌신, 몰입과는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상은 정서적 소진(P<0.001)과 냉소(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활기, 헌신, 몰입과는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커뮤니티는 정서적 소진(P<0.001)과 냉소(P<0.01)와는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활기, 헌신, 몰입과는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공정성은 정서적 소진(P<0.01)과 냉소(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활기, 헌신, 몰입에 대해서는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치는 정서적 소진과 냉소와는 유의한(P<0.01) 음(-)의 상관관계를, 활기, 헌신, 몰입에 대해서는 유의한(P<0.01)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무변인이 직무소진, 직무관여에 미치는 영향력에서, 정서적 소진에는 업무량(${\beta}=-0.521$, P<0.001), 보상(${\beta}=-0.164$, P<0.001), 공정성(${\beta}=-0.129$, P<0.01), 가치(${\beta}=-0.094$, P<0.05)는 음(-)의 영향력을 주었고, 냉소에는 보상(${\beta}=-0.137$, P<0.05), 가치(${\beta}=-0.325$, P<0.001)가 유의하게 음(-)의 영향을 주었다. 활력에는 업무량(${\beta}=0.090$, P<0.05), 보상(${\beta}=0.165$, P<0.001), 가치(${\beta}=0.392$, P<0.001)가 양(+)의 영향을 주었고, 헌신에는 보상(${\beta}=0.147$, P<0.01), 가치(${\beta}=0.443$, P<0.001)가 양(+)의 영향을 주었으며, 몰입에는 가치(${\beta}=0.444$, P<0.001)가 양(+)의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영양(교)사는 일과 보상이 적절하고 자기 일에 대해 가치를 느끼면 심리적 이탈감이 낮아지고 자발적으로 직무를 수행하는 열의가 높아지지만, 자신의 직무에 대해 공정하지 않은 처우를 받게 되면 정서적으로 지치고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따라서 1일 2식을 제공하는 고등학교 영양(교)사의 과중한 업무량을 줄이는 방안을 마련하고 공정한 처우와 업무에 따른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무엇보다 영양(교)사들이 자신의 직무 가치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해야 하겠다.

초등학생을 위한 자율학습형 교육 콘텐츠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rovementation of Self-Learning Education Contents for a Primay-School)

  • 공옥춘;육동철;박승섭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27-230
    • /
    • 2003
  • 정보화 사회에서 으뜸가는 정보인 육성을 위해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주어진 환경에서 웹을 이용하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 벗어나 직접 웹의 관리자가 되어보는 경험을 갖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이용자로서의 입장에서 벗어나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에 대한 주제를 설정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관리자의 입장에서 학습을 자율적으로 할 수 있는 기본능력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웹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자신만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주제로 선택하고 초등학생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알맞은 운영방식을 제공함으로써, 정보를 제공받는 이용자의 입장에서 벗어나, 정보 제공하는 웹 관리자의 기본능력을 기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어 자율학습형 웹 컨텐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