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도서실

Search Result 16,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일본의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4 no.1 s.338
    • /
    • pp.74-85
    • /
    • 2003
  • 일본 정부는 지난 2002년 8월 2일 각료회의에서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기본 계획’을 결정하였다. 이 기본 계획은 어린이가 자주적으로 독서활동을 할 수 있도록 그 환경을 정비한다는 관점에서, 2001년 12월에 의원입법되어 공포.시행된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따라, 정부가 수립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된 것이다. 이 계획을 2002년부터 2006년까지 5년에 걸친 시책의 기본 방향과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가정, 지역사회, 학교를 통하여 어린이가 독서와 친해질 수 있는 기회 제공 가정교육에 관한 학습기회를 통하여 부모에게 독서의 중요성을 이해시킨다. 도서관에서의 어린이 독서활동을 추진하여 민간단체 활동을 지원한다. 학교에서의 학습활동을 통하여 독서습관을 확립하고 독서활동을 추진한다. 2. 도서자료 정비 등 제반 조건의 정비 및 충실화 도서관과 공민관 도서실 등 지역사회의 독서환경을 정비한다. 도서관 자료를 정비하고 정보화를 추진하며 사서 연수를 충실화한다. 학교도서관의 도서정비 5개년 계획, 정보화 추진, 사서교사 발령을 촉진한다. 3. 학교, 도서관및 관계기관, 민간단체의 연계.협력체제 추진 4.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한 보급.계발 어린이 독서의 날(4월 23일)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홍보한다. 홈페이지 개설로 관련정보를 광범위하게 제공한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 기본계획에 기초하여 관계부처 등과 긴밀히 협조하여 어린이 독서활동 추진에 관한 시책을 더욱 충실히 하기로 하였다. -편집자주

  • PDF

A Study on the Basic Investigation for the Fire Risk Assessment of Education Facilities (교육시설 화재위험성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에 관한 연구)

  • Lee, Sung-Il;Ham, Eun-Gu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7 no.2
    • /
    • pp.351-364
    • /
    • 2021
  • Purpose: Fire load analysis was conducted to secure basic data for evaluating fire risk of educa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calculate the fire load through a preliminary survey, basic data related to the fire load of school facilities were collected. Method: The basic data were the definition and types of fire loads, combustion heat data for the calculation of fire loads. The fire load was evaluated by multiplying the combustion heat by the weight of the combustibles in the compartment when calculating the fire load. Result: As for the fixed combustible materials of A-elementary school, the floor was mainly made of wood, in consideration of emotion and safety in the classroom, music room, and school office, and the rest of the compartments were made of stone. The ceiling and walls were made of gypsum board and concrete, so they were not combustible. The typical inflammable items in each room were desks, chairs, and lockers in the classroom, and the laboratory equipment box and experimental tool box were the main components in the science room, and books, bookshelves, and reading equipment occupied a large proportion in the library room. Conclusion: 'The fire loads of A-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combustibles loaded were in the order of library, computer room, English learning room, teacher's office, general classroom, science hall, and music room.

A Study of Psychological Descrip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the Sojabo Post Noticed on their Bookshelves (서가대에 게시된 소자보를 통해 본 과학영재들의 심리적 특성)

  • 육근철;김언주;이군현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1
    • /
    • pp.43-65
    • /
    • 2001
  • The contents of scribbling made by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hat is called Sojabo, were analyz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interests and goals in the future.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were those who attended a senior high school of science in T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cribbling shown on a bulletin board in a bookroom were gathered for seven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ifted students interested in school work and university entrance. And they showed goal-oriented behaviors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They were stressed under competition among friends. They showed difficulties in making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However, they could be characterized as invulnerable students.

  • PDF

A Study on the Layout Type and Space Size in Elementary School Library (초등학교 도서실의 배치유형과 실내공간 규모에 대한 연구)

  • Heo Young-Hwan;Lee Sang-Ho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4 no.4 s.51
    • /
    • pp.79-86
    • /
    • 2005
  • According to the new multi-media appeared as a result of rapid growth of the information and science technique, the school library must be changed to the integration of the teach-study media resource from the existing print media. It means that the school library has to play a role of the study center with a different media from the existing teaching material, teaching instrument, facility and opportunity. The Information education must be conducted in the way of an integrated education course and able to do both information transaction and problem settlement. The education facility to solve this problem is the school library. Therefore, the school library becomes important more and more. It means that the school library is the center of entire study and education material for the teacher and student is focused on it. It is urgent to make the standard of the school library In order to cope with the new education and information environments. And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 plan about the location and scale of the school libr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hildren's studying activity. The location of the school library is decided under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 room of school house and the proper scale of it is between 2.5units and 7.0units of classroom based on the number of class.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현대 일본 중학교 건축의 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 Lee, Jeong-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3
    • /
    • pp.668-676
    • /
    • 2016
  • This study reviewed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Japanese middle school architecture on which related studies are insufficient, aiming to obtain new ideas for planning Korean middle school facilities. Fourteen case schools built after 1990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y were divided into learning-living space and other major spaces.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the case sch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ase school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departmentalized classroom type (D type) and usual with variation type (UV type) by school system. These categories can also be the classification standard for basic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in learning and living space of case schools. 2) D type case schools have departmentalized classrooms, home base, media space and teacher's space for learning-living space. D type case schools are divided into 'attached-to-classroom type' and 'separate type' depending on the adjacency of the home base and departmentalized classroom. 3) UV type case schools have multipurpose space around the classroom for learning-living space an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i.e., 'directly adjacent' and 'separate', depending on the connectivity to classroom of multipurpose room. 4) Specialized classrooms are designed to have the openness to the public and the own characteristics of school subjects strengthened and show the spatial differentiation with connected ancillary spaces. 5) Libraries are designed as complex zones grouped with computer labs, audio visual rooms and multipurpose halls not as a single room and as open plan not with a closed wall. 6) The gymnasium is the basic sports facility with a martial arts room and outdoor pool, which are for after-school activities as well as physical education class. 7) The terrace, balcony and outdoor stairs are frequently used architectural vocabularies as diverse outdoor space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LIBRARY EDUCATION IN JAPAN, THE REPUBLIC OF KOREA AND TAIWAN A COMPARATIVE STUDY(I) (일본, 한국, 대만의 도서관학 교육 비교연구)

  • Um Young A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7
    • /
    • pp.203-227
    • /
    • 198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한 일본, 한국, 대만의 도서관학 교육을 비교하여 유사점과 상이점을 발견하고 그들의 배경이유를 찾아서 사회와 도서관학 교육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비교의 대상이 된 교육기관은 4년제 대학(교)의 도서관학과로 일본의 다섯 대학교, 한국의 아홉 대학교, 대만의 네 대학교의 도서관학 교육을 비교하였다. 연구가 증명하려고 시도한 가설은, 1. 일본, 한국, 대만은 유사한 문화적 배경을 공유하는 한편,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을 받아들였으므로, 세 나라의 도서관학 교육에는 유사점들이 있을 것이다. 2. 상이점들이 있다면, 그것들은 각 국의 특성을 반영할 것이다. 3. 세 나라의 도서관학 교육에 유사점들이 있다면 도서관학 교육의 경향, 문제점들 및 전망도 비슷할 것이다. 가설의 증명을 위하여 교육의 목적, 교수진, 남$\cdot$여학생의 비율, 입학시의 학생들의 학력수준, 교과과정, 과정수료에 요구되는 특수조건, 교과서, 연구, 학과 도서실 및 시설, 학과와 도서관과의 협력관계, 정보학 교과목, 사회가 요구하는 도서관 봉사 및 그에 대응하는 도서관학 교육의 청도, 교육의 경향, 문제점 및 장래 그리고 학과 졸업생들의 도서관 취업률 등을 비교하였다. 비교의 결과 가설을 타당한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었다. 결론에 대한 설명과 아울러 도서관학 교육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1. 미국의 도서관학 교육이 근거로 한 이론적인 배경 및 개념을 재검토하여 적합한 것은 받아들이고, 필요한 경우에는 변형하여 적용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미국과 다른 나라의 실제 도서관 업무 및 봉사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하여 사서와 교육자가 함께 자국의 상황에 적합한 고유한 도서관학을 정립하여야 한다. 2. 도서관 이용 및 봉사에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바람직한 개념을 홍보하고 그것에 호응하는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 미래의 사서인 학생들을 이용자에게 접근하여 그들을 가르칠 수 있고 도서관을 이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끔 교육을 시켜야 할 것이다. 3.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 실시되는 교육제도에도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4. 도서관 및 도서관학 교육에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른 전문직과 같은 대우를 받으려면, 국가고시제도가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5. 도서관협회가 도서관학 교육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사서 자격증을 관할하는 단체가 될 수도 있고 교육의 내용에도 관여할 수 있다. 6. 도서관학과와 도서관과의 협력관계가 보다 강화되어야 하며, 도서관현장을 토대로 한 연구활동이 필요하다. 진정한 의미의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활동이 없이 이론적, 실제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없다. 7. 대학(교) 도서관 및 특수도서관의 사서를 위한 전문교육은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고, 학부의 도서관학 교육은 학교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사서를 위한 교육으로 전문화되어야 한다. 8. 도서관학의 교육자들이 모여 문제를 토론하고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며, 세 나라가 공동의 경험을 나누고 문제를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공식적인 회의나 학회의 구성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