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도서관 컨설팅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18 seconds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in School Libraries (학교도서관컨설팅 장학 모형 구안 및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Ju-Hyeon;Hong, Hyun-Jin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5 no.1
    • /
    • pp.217-24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and to develop the evaluation indicators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Individual School library should contribute from school educational objectives to national level educational objectives. When school libraries have accountability, consulting supervision and evaluation for the school library education is needed. School library consulting supervision model was developed with seven components. School library evaluation index is proposed with seventy-two indicators in six categories. Results of the evaluation will be able to take advantage consulting supervision.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School Library Consulting: Based on the Schools not Employing a Teacher Librarian (학교도서관 컨설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사서교사 미 배치 학교를 중심으로 -)

  • Song, Gi-Ho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0 no.2
    • /
    • pp.335-353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actical plans to improve the school library consulting, especially in case of a teacher librarian is not assigned. As a result of analyses, consulting through methods of the School Library Assistant Group lacks spontaneity, expertise, council, and independence. Besides, each office of education operates it as a marketing. A main goal of school consulting is to foster independent problem- solving of individual school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build an union management system, develop a standard staff manual, construct DLS based on-line consulting, and design educational training programs of consultants for its successful consulting.

  • PDF

Exploring the Direction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학교도서관 평가의 방향성 탐구)

  • Lee, Jee Yeon;Lee, Yeon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2
    • /
    • pp.227-261
    • /
    • 2021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assessment and generate discussion points for the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assessment. Surveys, consulting, and evaluations related to school libraries conduct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were analyzed using meta-evalu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chool librarians. The analysis revealed problems such as duplication of evaluation by various institutions, no reflection of the national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low participation rate due to voluntary nature of the assessment, and lack of the educational evaluation index. The solution to the problem was a school libraries' operation evaluation improvement plan. The plan included the legal evaluation agent specification, the national school library development plan incorporation, inter-agency evaluation network & the case sharing system establishment, and the Office of Education's investigation and consulting cooperation.

도서관 발전정책 수립에 바라는 바

  • Korean Library Association
    • KLA journal
    • /
    • v.43 no.2 s.333
    • /
    • pp.2-19
    • /
    • 2002
  • 도서관정책을 총괄하고 있는 문화관광부는 2월 5일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수립계획(안)을 발표하고 금년 상반기 중 관계부처와의 협의를 거쳐 동 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계획이 수립되면 도서관 육성과 진흥에 대한 도서관계, 시민단체, 언론 등의 여망을 기반으로 각 부문에서 산발적으로 추진되어 온 도서관 진흥 정책을 종합하여 관계부처간 협력을 통해 효과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 동안 문화관광부는 1991년부터 지난해까지 도서관 건립지원에 769억원, 공공도서관의 콘텐츠 확충에 228억원(1995~2001)을 투입하는 등 도서관 육성 및 진흥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해 왔으며, 그 결과 1991년 267관이던 공공도서관이 2001년에 485관(건립중 포함)으로 2배 가까이 증가하였다. 이처럼 절대 부족한 도서관의 확충과 함께 지식정보화시대 도서관을 지식정보유통의 핵심기관으로 확성화시키고자 2000년부터 관계부처와의 역할 분담을 통해 공공 및 학교도서관 정보화기반 조성 및 도서관 소장자료의 디지털화(콘텐츠 확충) 등 '도서관정보화 종합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계획수립은 한국문화정책개발원이 주도하여 도서관계 전문인사와 공동연구로 추진하고 자문위원단을 구성하여 계획의 기본방향 및 내용에 대한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게 되며, 문화관광부, 국립중앙도서관, 한국도서관협회 등이 지원기관으로 참여하여 정부정책으로 연계되어 그 활용성을 높이는데 주력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에서는 기본적으로 국립중앙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발전방안을 중심으로 학교 및 대학 도서관 부분에 대해서는 관계부처간 효과적인 정책협의체계 구축을 통한 정책적 지원부분에 초점을 두고 정보화 시대에 부응하는 도서관의 역할과 기능 재정립, 도서관 관종 간의 협력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도서관 운영활성화 등 도서관의 조직ㆍ기능ㆍ인력ㆍ프로그램 등의 측면에서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마련, 궁극적으로는 도서관및독서진흥법 개정 등 도서관발전의 법ㆍ제도적 지원 토대를 마련할 방침이다. 한편 도서관정보화 부문에 대해서는 2003년부터 2단계 도서관정보화사업 추진을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현재 민간 컨설팅업체를 통해 추진중인「도서관 정보화전략계획(ISP)」을 종합계획에 반영할 계획이다. 또한 교육인적자원부를 중심으로 정부 6개 부처가 '학교도서관 활성화대책 기획단'을 구성하고 학교 및 대학도서관 발전 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그리고 대통령자문 교육인적자원정책위원회에서 4월 3일 '도서관 정보인프라 활성화 방안'을 대통령에게 보고한 바 있다. 우리 「도서관문화」에서는 도서관 및 관련 부문의 각계 인사들에게 정부 「도서관 발전 종합계획」등 계획 수립에 바라는 바를 알아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