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 인식도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3초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노동조;신화정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89-108
    • /
    • 2012
  • 학생의 교과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태도를 변화시키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실현하기 위해선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들의 인식이 높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전담인력(사서교사, 사서, 일반교사)에 따라 일선 교과교사들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집단형태별, 수업모형별, 협력수업모형별)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서 그 결과를 교육현장에 발전적으로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10개 지역의 30개 고등학교의 교과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al Method through Multiple Intelligences)

  • 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3-60
    • /
    • 2003
  • 정보활용능력이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하나의 리터러시로 등장하면서 정보교육(ILI)은 학교도서관의 주요 역할로 인식되고 있다. 효과적으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고, 학생들의 동기 유발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활동 모형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간의 다양한 지적 능력과 이에 적합한 활동을 강조하는 다중지능이론(multiple intelligences theory)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의 교수학습 활동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전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of Expertise)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49-270
    • /
    • 2009
  • 우리나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사서교사는 양성과정에서 정보관리와 관련된 전문성에 대해서 많은 교육을 받지만, 현장에서는 학교도서관 교육 및 경영과 관련된 전문성을 보다 중요하게 평가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서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원자격검정령의 개정, 사서교사 선발제도 개선, 현직연수 강화를 제안하였다.

  • PDF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서울 S여자고등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Using Human Library: Case of S Girls' High School Library in Seoul)

  • 조미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5-26
    • /
    • 2020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도서관 협력수업의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서울 S여자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운영된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수업의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여고 도서관에서는 다문화에 대한 인식 개선, 모두를 위한 월경권, 세대공감 메모로, 임신과 출산, 장애인 인식개선의 5개 휴먼라이브러리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둘째, 휴먼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휴먼북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상상을 하면서 몰입하게 되며, 궁금한 것이 있으면 질문할 수 있는 점이 좋다고 하였다. 또한 휴먼북으로 참여해 준 분들이 현실적인 조언을 해주어서 생각보다 배울 점이 많은 것 같고 의미가 있다고 하였다. 그동안 부정적으로 가지고 있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다수였다.

학교도서관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Establishing School Library Digital Resource Roo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67-90
    • /
    • 2003
  •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하는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를 육성하고, 제7차 교육과정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학교도서관이 필수적이라는 인식 하에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 시범 구축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효과적으로 설치하고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시범 운영중인 디지털자료실의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도에 설치된 96개의 학교도서관 디지털자료실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와 교육적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초.중등학교의 도서관정보화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마련하고자 한다.

  • PDF

학교도서관의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인천 중등 학교도서관 사례 및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Book Curation in School Libraries: Focused on the Case and Current Statu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Library in Incheon)

  • 오혜민 ;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5-137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사례 조사와 담당자의 북큐레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와 함께,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 학교 중 상시 운영이 이루어지는 전수 192개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인천 중등 사서교사 4명과 문헌정보학과 교수 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학교도서관 방문 관찰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으로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증원, 교과교사와의 협력과 정보 공유, 북큐레이션 운영을 위한 매뉴얼 확립, 주제 선정 사례집 출판을 제안하였다.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alue of School Libraries in the LIS(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he Field of Libraries in Korea)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73-97
    • /
    • 2013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과 현장분야로서 학교도서관의 가치를 규명하고, 가치실현을 위한 과제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은 국민 대다수가 경험하는 초 중 고 학생을 이용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문헌정보학과 도서관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일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되며, 문헌정보학의 지속적 연구분야로서 그리고 양질의 사서직 진출분야로서 높은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학교도서관의 가치실현을 위해서는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하는 전담인력배치에 대한 도서관계의 협력과 법제화 노력이 필요하며, 전문성 높은 사서교사의 양성과 더불어 학교도서관 현장연구가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연구인력을 확대해야 한다.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및 실내 환경 요소의 구성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 분석 (Analysis of Current Status and Teacher Librarians' Perception about Space Composition and Interior Environment of School Libraries)

  • 송기호;강봉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7-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공간 영역 구성과 실내 환경 구성에 대한 현황과 사서 교사 인식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이 미래 교육 기본 시설로 자리매김하는 데 필요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설문에 참여한 126명의 사서 교사가 가장 많이 확보한 공간은 자유 독서 영역이고, 가장 낮은 확보 정도를 보인 공간은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이다. 공간 영역 중 사서 교사가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영역은 교수 영역과 자유 독서 영역이고, 매체 제작·집단 프로젝트 영역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내 환경 평가 요소 중 안전성과 쾌적성은 가장 중요하게, 다양성과 융통성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학습공유공간과 창작 공간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계와 도서관계의 흐름에 비해 사서교사는 여전히 전통적 도서관 공간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서 교사 양성 및 재교육 과정에 창작공간 및 학습공유공간 구축과 운영 방안을 포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용자의 실내 환경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공간 구성과 실내 환경 구상에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 등 도서관 이용자의 참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인지발달에 따른 도서관 이용과 독서성향 연구: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을 중심으로 (A Study on Library Use and Reading Tendency According to Cognitive Development: Focused on Fourth and Six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 이은경;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79-207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과 6학년의 인지발달 차이가 도서관의 이용행태, 독서성향, 도서관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의 초등학교 세 곳을 선정하여 4학년과 6학년을 대상으로 인지발달 검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발달이 높은 6학년은 도서관 정보서비스 요구가 4학년보다 많았으나 4학년에 비해 독서량과 도서관 이용이 적고, 흥미 위주의 책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여, 인지발달이 높다고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학년은 도서관 인식에서도 4학년보다 낮았다.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이용행태와 독서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즉, 학생의 도서관 이용 정도, 도서 선정 시 사서의 도움 경험, 그리고 교과 연계 도서 선호도는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5학년 이상의 고학년 초등학생 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른 도서관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신문보도를 통해 본 우리 도서관의 과제 (Library Issues Reported on Press Release)

  • 김용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295-314
    • /
    • 2007
  • 이 연구는 신문보도에 나타난 도서관에 관련된 기사를 분석하여, 신문은 도서관의 문제가 무엇이라고 이해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도서관 행사나 새로운 도서관이 설립될 때 단순히 사건 중심으로 보도하는 기사보다는 도서관의 본질에 대한 심층보도를 하는 특집기사를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공공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및 독서운동 등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이 결과는 도서관 이용자인 시민들이 도서관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인식이므로 봉사내용을 마련할 때나 도서관 홍보에서도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