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치조신경 전달 마취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하치조신경 전달마취가 미각역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on Taste Threshold)

  • 안영준;김성환;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2호
    • /
    • pp.177-185
    • /
    • 2007
  • 치과치료와 관련한 의원성 손상이나 국소마취의 후유증은 미각장애를 유발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편측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하여 마취 전후의 미각기능의 변화를 정량 및 정성적으로 비교하여, 치과치료와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는 하치조신경의 무감각증이나 감각저하로 인한 미각기능의 변화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20대의 건강한 지원자 30명(남:녀=1:1, 평균연령 $24.0{\pm}1.8$세)을 대상으로 하여 피검자의 우측에 2% 염산리도카인을 사용하여 통법에 따라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하였다. 마취 전후 미각기능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미각측정기를 이용하여 전기미각역치를 측정하였으며 국소적용법을 이용한 화학용액법으로 미각강도를 평가하였다. 검사를 위해 1M/l의 NaCl 및 sucrose 용액, 0.032 M/l의 구연산용액, 0.001 M/l의 염산키니네용액을 사용하였으며 미각강도는 9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검사는 구강내 8 부위, 즉 좌우측 혀 전방과 외측방, 유곽유두, 연구개에 대해 시행되었다. 편측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를 시행한 결과, 마취된 측의 혀 전방과 외측, 유곽유두에서 전기미각역치가 상승하고 짠맛, 단맛, 신맛, 쓴맛에 대한 미각강도 감소가 감소하였다.(p<0.05) 마취되지 않은 반대측의 혀 전방과 외측방에서도 짠맛과 단맛의 경우에 대한 미각강도가 감소되었으나(p<0.05), 전기미각역치의 변화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편측의 하치조신경 전달마취는 마취가 된 혀의 1/2 부위에서 고삭신경과 설인신경에 영향을 주어 미각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반대측에서도 미각강도의 변화를 일부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어린 아동의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발생한 주사바늘 파절 : 증례보고 (Fracture of a Dental Needle during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n a Young Child: A Case Report)

  • 이한별;김민근;박호원;서현우;이주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20-326
    • /
    • 2016
  • 국소마취 중 갑작스러운 움직임은 주사바늘 파절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예기치 못한 움직임을 보이기 쉬운 아동에게서는 더욱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주사바늘 파절이 발생한 경우 합병증을 최소로 하기 위하여 의료진의 신속한 대처가 중요하며, 환자 및 보호자에게 충분한 상황 설명과 진심 어린 유감표명을 하는 등의 의사소통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의료진은 사고 예방에 필요한 주의사항을 충분히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본 증례는 의식하 진정하에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갑작스러운 움직임으로 인해 주사바늘이 파절된 어린 아동에 대한 내용이다. 구강 내 존재하는 주사바늘 파절편의 위치를 방사선 사진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전신마취 하에 파절편을 성공적으로 제거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며, 주사바늘 파절 원인에 대한 고찰과 이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하여 주사바늘 파절 예방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당뇨환자에서 하치조신경 전달마취와 턱관절 탈구후 유발된 안면신경 마비 치험 1예 -증례보고- (The Care of Facial Palsy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location in Diabetic Mellitus Patient -A Case Report-)

  • 이천의;유재하;최병호;김종배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5-50
    • /
    • 2011
  • Bell's palsy is an isolated facial paralysis of sudden onset caused by a neuritis of the seventh nerve within the facial canal. It occurs often in the adult man with a history of recent exposure to local cold, such as sleeping next to an open window, or in some cases it occurs after infections of the nasopharynx or masticator spaces. Especially, this neuropathy have linked with the major collagen disorders (diabetes mellitus). A segmental demyelination develops rapidly, with vascultitis in microinfarcts and ischemia to the nerve segment. The authors experienced about the bizarre neurological symptom of Bell's palsy afte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and TMJ dislocation in diabetic mellitus. The early and correct consultation with the multiple medical and dental departments was important to prevent the inadequate care & medicolegal problems.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중 파절된 주사바늘

  • 장중희;송민석;김현민;김남훈;엄민용;구현모;이준규;양병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44권2호통권441호
    • /
    • pp.139-144
    • /
    • 2006
  • Local anesthesia is routine procedure in dental practices and has several complication. One of them, needle fracture is not uncommon in past, but rare in recent. The number of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of broken needle in local anesthetic procedure has shown a marked decrease since the use of disposable spiral-constructed dental needle began. This complication results from lack of patient cooperation, inaccurate anesthetic technique, sudden movement of patient, error in the manufacturing procedure, use of short needle, and bending before use. Most common site is pterygomandibular space during inf. alveolar nerve block. In two patients, we removed broken needles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out complication. So we report cases with review of literatures.

  • PDF

편측 하악전달마취가 운동구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Unilateral Mandibular Block Anesthesia on Motor Speech Abilities)

  • 양승재;서인효;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59-67
    • /
    • 2006
  • 발치 등 치과치료 후에 발생한 하악신경의 감각이상(이감각증)으로 인해 발음문제를 호소하는 환자들이 있지만, 감각신경의 이상과 운동구어능력 사이의 직접적인 관련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존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 하악 신경의 마취로 인한 일시적인 감각손상이 운동구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여 감각이상과 운동구어능력과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 중 표준어를 구사하는 건강한 지원자 10명 (남:녀=7:3)을 대상으로 통법에 따라 우측 하치조신경, 설신경, 장협신경의 마취를 시행하였다. 주관적인 평가를 위해 대상자들은 마취전, 마취 후 30초, 30분, 60분, 90분, 120분, 150분, 180분에 마취 심도와 주관적으로 느끼는 발음불편감의 정도를 VAS로 기록하게 하였고, 운동 구어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선택된 문장과 단어를 각각의 경과시간 마다 피검자에게 읽도록 하여 녹음하고 채취된 녹음샘플을 Computerized Speech $Lab^{(R)}$, Model 4500을 사용하여 발화속도, 교호운동력, 억양, 음성진전, 발음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마취에 의한 주관적인 발음불편감 정도는 마취 후 60분에서 최고조에 이르고 이후 점점 감소하는데, 이는 주관적 마취 심도의 증감과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주관적 마취 심도와 마취에 대한 발음불편감 정도에 따르는 다중선형회귀 분석결과, 연속발화기본 주파수에서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발화속도, 교호운동력, 음성진전 등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마취 전후 발음상의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즉, 편측 하악 전달마취는 마취의 증감에 따라 주관적인 발음불편은 변화하지만, 객관적 항목에서 운동구어능력에는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는 없었다. 그러므로 편측 하악의 감각손상이 운동구어능력에 뚜렷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4% 아티카인과 2% 리도카인의 임상적 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Randomized, Double-blind, Comparative Clinical Trial on the Efficacy of 4% Articaine and 2% Lidocaine i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nesthesia)

  • 임태윤;황경균;박창주;김광수;오영;한지영;심광섭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10
  • Background: Articaine, commercially available in South Korea from 2004, is widely being used for dental treatments. In the surgical extraction of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the anesthetic efficacy of 4% articaine and 2% lidocaine, both with 1:100,000 epinephrine, was compared. Methods: A randomized double-blind clinical trial was conducted of 80 patients for bilateral surgical extraction of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informed consents. One operator carried out the routine surgical procedures using local anesthetic 4% articaine or 2% lidocaine with the same concentration of vasoconstrictor. Latency, duration of anesthesia and the amount of anesthetic solution were recorded. A visual analog scale (VAS) was used to evaluate the intraoperative pain. Results: The pain VAS scores reported similar anesthetic effect with both local anesthetics. Not in the latency of anesthesia and the amount of anesthetic solu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mean duration of anesthesia.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4% articaine could offer better or at least the same clinical feasibility compared to 2% lidocaine,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duration of the local anesthesia for common dental treatments.

하치조신경 전달 마취 시 알칼리화 된 리도카인의 마취 효능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F ANESTHETIC EFFICACY OF ALKALINIZING LIDOCAINE I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S)

  • 김태환;김경욱;김철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76-282
    • /
    • 2005
  •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using lidocaine is the most frequent local anesthetic method in the dental treatment, but clinically it is not always successful. The 2% lidocaine cartridge has been used commonly in dental anesthesia. It contains vasoconstrictor and antioxidant, which presents low pH which provides chemical stability and longer shelf life. But alkalinized local anesthetics has less tissue trauma, easier dissociation of the non-ionized base which penetrates nerve sheath, rapid onset and more intensity. In this study, i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lkalinized lidocaine using sodium bicarbonate (experimental group) is compared with plain lidocaine (control group) about injection pain, anesthetic onset, duration and postinjection discomfort. In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alkalinized lidocaine using sodium bicarbonate showed lower injection pai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rom plain lidocaine(p=0.019). Comparing with plain lidocaine, alkalinized lidocaine produced more rapid onset (lip & pulp anesthetic ons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p>0.05). but there was boundary significance (0.05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dition of sodium bicarbonate to 2% lidocaine(1:100,000 epinephrine) for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s more effective for reduction of injection pain and onset time.

증례보고 : 양측 하악지 시상골 절단술 후 발생한 안면신경 마비 (Case report: Treatment of Facial Nerve Palsy Follow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유지원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3호
    • /
    • pp.255-260
    • /
    • 2013
  • 양측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은 악안면 기형 및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필수불가결한 술식이라고 할 수 있다. 하악지 시상 골절단술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으로는 하치조 신경 손상, 출혈, 측두하악장애, 부적절한 골면의 유합 및 골절, 재발 등이 있다. 악교정 수술 후 안면신경 마비의 발생 유병율은 최근 0.1 퍼센트로 보고되고 있다. 증상 발생의 원인으로는 안면신경의 압박, 신경의 불완전 또는 완전 손상, 신경의 견인, 마취제에 의한 신경의 허혈 등이 있다. 술 후 발생된 안면 신경의 마비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사회활동을 기피하게 함으로써 가장 심각한 합병증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양측 하악지 시상 골전달술을 시행 후 발생한 안면신경 마비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IN KOREAN CHILDREN USING PANORAMIC RADIOGRAPHS)

  • 홍소이;정서영;마연주;정영정;안병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68-375
    • /
    • 2011
  • 본 연구는 소아에서의 성공적인 하치조신경 전달 마취를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에서 한국인 소아의 하악공 위치를 분석하였다. 총 240명의 7-15세의 파노라마 방사선 사진을 수집하여, 연령에 따라 7-8세, 9-10세, 11-12세, 13-15세의 하위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그룹은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였다. 좌우측의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 악각전절흔, 하악지 전연, 하악지 후연까지의 최단거리와 교합평면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으며,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절흔과 악각전절흔의 거리의 비와 하악공으로부터 하악지 전연과 하악지 후연의 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하악공의 하악지 내 상대적 위치는 남녀 모두에서 연령 증가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향이 관찰되나, 수직적인 위치는 연령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2) 하악공의 교합평면과의 상대적인 위치는 연령 증가에 따라 교합평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였으며, 연령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5). 3) 여자보다 남자에서 하악공이 교합평면을 기준으로 더 상방에, 하악지 내 전후방 및 수직적으로는 하악지의 후상방에 위치하여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05).

소아 청소년에서 하악공 및 하악소설의 위치에 대한 CBCT 분석 (Assessment of the Position of the Mandibular Foramen and Mandibular Lingul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CBCT)

  • 이지혜;최남기;김병기;김선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64-7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이용해 소아에서 연령에 따른 하악공과 하악소설의 위치 및 하악소설의 형태를 평가하고, 하치조신경 전달마취 시 고려할 수 있는 자입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 또는 매복치 평가를 위해 CBCT를 촬영한 만 6 - 16세의 영상을 수집하였다. 연령에 따라 만 6 - 7세, 10 - 11세, 15 - 16세의 3군으로 분류하였으며 군당 남녀 각 30명씩을 포함하여 총 180명의 하악지 좌우가 분석되었다. 좌우 측의 하악소설로부터 하악지의 전연, 후연, 상연, 하연까지의 최단거리를 계측하고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최단거리,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수직거리를 각각 측정하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를 기준에 따라 4가지 형태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하악지의 전후방 및 수직적 기준점으로부터 하악소설의 위치는 연령에 따라 모든 방향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하악소설과 하악공 사이의 거리 역시 연령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합평면에 대한 하악소설 및 하악공의 거리는 연령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다. 하악소설의 형태는 삼각형 형태가 가장 많았고 결절형, 절두형, 동화형 순이었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연구를 통해 수평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하악지의 전연으로부터 연령에 따라 각각 17 mm, 18 mm, 19 mm로 증가된 지점이 권장되며, 수직적인 마취의 자입점은 연령에 따라 교합평면 상방 2 - 3 mm, 5 - 6 mm, 9 - 10 mm로 자입점을 높이는 것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