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 토사량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ediment Yield Analysis of River Using RUSLE and GRID (RUSLE와 GRID를 이용한 하천의 유사유출량 분석)

  • Park, Eui-Jung;Kim, Chul;Kim, Yun-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34-339
    • /
    • 2005
  • 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의 경우 하천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토사는 하천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지만 하천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토사는 강우에 의해 하천으로 이송되는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유역에서 발생되는 토사량중 하천으로의 유사유출량을 계산해 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역에서의 토양침식량을 계산하고 강우시 유출되어 하천으로 유입되는 유사유출량을 예측하여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분석하는 것이다. 하천의 유사유출량을 분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RUSLE와 GRID를 이용하여 토양침식량을 계산하고, 유역침식량과 유사전달비 방법을 이용하여 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유역의 DEM자료와 경사도, 토양도, 토지이용도를 구축하여 RUSLE의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광주광역시에 있는 영산강상류 유역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하천으로의 유사유출량은 유역과 하천관리의 기본적인 사항이며 댐이나 하도의 계획, 설계, 관리, 재해영향평가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Reduction Rate in Coastal Sediment Discharge by Dam Construction (댐 건설로 인한 해안 유입 토사 감소율의 산정)

  • Lee, Sahong;Bae, Soen Han;Lee, Jung 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4-2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하천부터 하구까지의 댐 구조물 건설로 인해 해안으로의 표사 공급원이 감소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내륙과 해양의 전이역인 연안은 농수산업, 임해산업단지, 발전소 및 항만과 같은 산업 인프라,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등의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여 높은 경제 사회 환경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무분별하게 추진되어온 각종 연안 개발은 직 간접적인 해안의 침식문제를 발생시켰다. 우리나라 서해의 경우 하천으로부터의 토사 유입 차단은 심각한 수준이다. 아직 그 영향이 해안으로 완전히 파급되지 못하여 그로 인한 장기 해안 침식이 두드러지지 않고 있으나 고파랑에 의한 빈번한 침식과 저질의 세립화 현상을 통하여 현재 진행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피해가 심각해지기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측면도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 유역의 개발과 수리구조물 건설 현황을 살펴 이로 인한 해안 침식 결과가 얼마나 심각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구조물로 인한 토사량 감소 중 가장 주요한 토사 공급원 감소 원인인 댐으로 인한 토사량 감소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각 댐의 건설 전, 유역면적당 토사량과 댐 건설 후, 해안 유입 토사량 사이에 감소율을 계산하고, cascade 방법에 의하여 댐군에 의한 토사감소율을 산정한다. 유입 토사량 감소율을 산정하고 토사 공급원 감소로 인한 표사 수지 분석을 통해 해안 침식 폭의 위험도 평가를 실시한다.

  • PDF

A Studies on the Bed Elevation Variation for an estuary using LiDAR (하구지역 하상변화 분석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 Jun, Kye-Won;Ahn, Myung-Gil;Jun, Byong-Hee;Jang, Chang-Deok;Park, Hwan-Se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6-466
    • /
    • 2012
  • 하천의 하구에서는 해수의 흐름에 따른 연안토사의 이동과 하천유황에 따른 상류에서의 토사량에 따라 하상이 변화한다. 특히 하구부에서의 퇴적토사 증가는 하천의 수질변화와 어도단절 등으로 인해 하천환경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하구폐쇄를 발생시킬 수 있어 이에 따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으로 유출되는 지방 1급 하천인 가곡천과 호산천을 대상으로 하구부 퇴적토사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상변화의 모니터링은 최신장비인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다시기로 스캔한 지상 LiDAR 측정자료를 활용하여 퇴적량을 산출하고 퇴적과 침식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퇴적지점과 침식지점 및 이에 대한 체적량 변화를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지상 LiDAR를 활용한 하상변화 분석기법은 정밀한 퇴적량 추이를 빠르게 관찰할 수 있어 하구지역 뿐만 아니라 하천 전반에서의 하상변화를 조사하는 데에 있어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Sediment Budget Analysis of the Naesung-cheon Watershed (내성천 유역의 토사 수지 분석)

  • Kim, Dae-Gon;Yang, Moon-Yong;Ha, Sung-Won;Yu, Kwon-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755-1759
    • /
    • 2010
  • 유역내 토사의 산출, 이송, 퇴적, 유출 과정을 분석하는 토사 수지 분석은 유역의 토사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데 핵심적인 과정이다. 또한, 댐건설은 하상에 급격한 변화, 댐 상류 하상의 상승, 댐저수지의 매몰, 댐하류 하상의 저하 등 하상 변동을 일으킨다. 그러나 기존의 하상 변동 분석에서는 모형의 핵심적인 입력 자료인 댐 저수지의 토사 유입에 대해서는 합리적인 검토를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 자료와 하천 자료, 유사량 측정 자료 등을 이용하여, 유역의 토사 산출량을 추정하고 이를 하상 변동 모형의 입력 자료로 하여, 전체 유역의 토사 수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유역의 토사 산출은 GIS 자료와 RUSLE를 적용하였다. 이 방법을 영주댐이 건설될 계획이 있는 내성천 유역에 적용하였으며, 댐 건설 후 장기적인 토사 수지의 변화를 추정하였다. 그 적용 결과 제시된 방법에 의해 기존의 하천 유사량 측정에 의한 유역의 비유사량 산정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영주 댐 건설에 따라 상당히 큰 규모의 하상 변동이 예상되며, 이에 대한 토사 관리 대책의 수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파와 해류에 의한 토사이동

  • 유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51-56
    • /
    • 1995
  • 일방향 흐름에 표면파가 중복하여 작용할 때 해저면 마찰력의 증가로 토사이동량의 증대가 예상된다. 표면파는 왕복운동 특성을 갖고 있으며, 유속과 해저전단력간의 위상차와 해저잔단력과 토사이동발생 시각간의 위상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토사이동량 산정에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나 이렇게 복잡한 현상이 내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기법으로 하천 토사이동량 산정식을 수정하거나 비례상수를 재조정하여 파와 해류에 의한 토사이동량을 산정해 왔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Soil Loss into Sap-Gyo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and RUSLE (GIS와 RUSLE 기법을 이용한 삽교호유역의 토사 유실량 산정)

  • Kim, Man-Sik;Jung, Seung-Kwon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3 no.4
    • /
    • pp.19-27
    • /
    • 2002
  • Prediction of exact soil loss yield has as important engineering meaning as prediction of exact flow measurement in a stream. The quantity of soil loss in a stream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and water quality such as design and maintenace of hydraulic structures : dams, weirs and seawalls, channel improvement, channel stabilization, flood control, design and operation of reservoirs and design of harbors. In this study, the soil loss of Sap-gyo reservoir watershed is simulated and estimated by RUSLE model which is generally used in the estimation of soil loss. The parameters of RUSLE model are selected and estimated using slope map, landuse map and soil map by GIS. These parameters are applied to RUSLE's estimating program. And soil loss under probability rainfall in different frequencies are estimated by recent 30 years of rainfall data of Sap-gyo reservoir watershed.

  • PDF

Estimation of Sediment Yield to Sangju-Dam of Nakdong-River Using the RUSLE Model (RUSLE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상주보까지의 토사유출량 산정)

  • Kim, J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95-499
    • /
    • 2012
  • 토사유출량이란 강우가 발생한 지점에서 토양침식에 의해 생산된 토사가 퇴적 및 이송 등의 과정을 거쳐 유역의 특정 지점까지 도달한 토사량을 의미한다. 토사유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방법은 현재까지 없다. 그러나 유역단위의 대략적인 토사유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경험적 모형인 USLE 모형과 수정된 형태의 RUSLE 모형 또는 MUSLE 모형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형정보시스템(GIS)의 발달로 RUSLE 모형과 MUSLE 모형이 주로 사용되는데 연평균 토사량 산정에는 RUSLE 모형이 사용되며 단일호우에 대한 토사량은 MUSLE 모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 모형들은 구곡 및 하천에서의 수리학적 특성 반영하기 힘든 단점이 있어서 유출지점에 따라 유사전달률(SDR)의 개념이 요구된다. RUSLE 모형과 MUSLE 모형에 사용되는 유사전달률은 외국에서의 경험적 공식으로서 우리나라 유역 실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추후 연구에는 8~10년 이상의 토사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그 유역의 유사전달률을 결정하고, 그 결과 값을 이용하여 단일호우 사상의 유출량과 모의유출량을 비교하여 MUSLE 모형의 강우인자인 R값을 산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 선행 작업으로, 본 연구에서는 RUSLE 모형과 기존의 유사전달률을 사용하여 낙동강 상주보까지의 토사유출량을 산정하였다. 상주보유역은 안동댐유역, 임하댐유역, 안동댐하류유역, 내성천유역, 영강유역으로 구성되며 안동댐유역과 임하댐유역은 댐의 차단으로 본 연구의 토사유출량 산정에서 제외하였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by Soil Loss and Sediment Yield Analysis Calculation Method of River using RUSLE and GRID (RUSLE와 GRID를 이용한 하천의 토양유실량 및 유사유출량 산정방법별 비교분석)

  • Park, Eui-Jung;Kim, Chu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2
    • /
    • pp.112-121
    • /
    • 2007
  • In occasion of soil loss happened in a basin, soil in the near of a stream may flow into the stream easily, but in case that soil is far away from the stream, sediment yield transferred to rivers by rainfall diminishes. To forecast sediment yield of a stream is an essential item for management of basins and streams. Therefore, sediment yield of soil loss produced from a basin is needed to be calculated as accurate as possibl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calculate soil erosion amount in a basin and to forecast sediment yield flowed into a stream by rainfall and analyze sediment yield in the stream. There are various methods that analyze sediment yield of rivers. In the present study, the soil erosion amount was calculated using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RUSLE) and GRID, and sediment yield was calculated using sediment delivery ratio and empirical methods. DEM data, slope of basin, soil map and landuse constructed by GIS were used for input data of RUSLE. The upstream area of the Yeongsan river basin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for the study area. Three methods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of LS factor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soil erosion amount. Two sediment delivery ratio methods for the respective methods were applied and, correspondingly, six occasions in sediment yield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 above results were compared by relative amount with estimation by the empirical method of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Sediment yield calculated in the present study may be utilized for the plan, design and management of dams and channels, and evaluation of disaster impact.

  • PDF

Comparison of Runoff and Sediment Yield According to Factors to Environmental Change in Mountainous Watersheds (산지유역 환경변화 요인에 따른 유출 및 토사유출 특성 비교)

  • Park, Sang Deog;Shin, Seung Sook;Kim, Seon Jeong;Lee, Jong Seol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1-201
    • /
    • 2011
  • 산지유역의 지표 환경이 급격히 교란된 지역에서 집중 호우가 발생하면, 과대한 토사유출로 인해 하천유역 홍수 재해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불발생지역, 벌목지역, 도로공사지역과 같이 산지환경이 급변한 지역을 토사유출 시험유역으로 운영하였다. 세 개의 시험유역 중에 지표교란이 심각한 도로공사시험유역에서 강우유출 및 토사유출이 가장 크게 발생하였다. 그림 1은 각 시험유역별 강우강도에 따른 첨두유량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산불 후 10년이 경과된 급경사 산불시험유역이 벌목시험유역보다 유출 및 토사유출량이 많았다. 벌목시험유역은 벌목이후 잔류물과 빠른 식생회복으로 지표상태가 빠르게 안정화되어 유출 및 토사유출량이 적게 발생하였다. 도로공사 시험유역 나지사면에서 시행된 사면처리 공법 시공 전 후로 토사유출량의 변화가 현저히 크며(그림 2), 이는 공사를 진행하는 중에 적절한 사면관리 처리를 통한 토사유출량 저감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Evaluation of GIS-based Soil Erosion Amount with Turbid Water Data (탁수자료를 이용한 GIS 기반의 토사유실량 평가)

  • Lee, Geun-Sang;Cho, Gi-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4 s.31
    • /
    • pp.75-81
    • /
    • 2004
  • Because geological types and land cover conditions of Imha basin have a very weak characteristics to soil erosion, most soil particles (low into river and bring about high density turbidity in Imha reservoir when it rains a lot. This study used GIS-based RUSLE model and analyzed soil erosion to make basic data for the countermeasures of turbidity reduction in Imha reservoir. Total soil erosion amounts was evaluated as 5,782,829 ton/yr using rainfall data(2003) and especially Dongbu-basin was extracted as most source area or soil erosion among Imha sub-basin. Also it was evaluated that soil erosion amount by RUSLE model was suitable by applying turbidity survey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