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환경평가 세구간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termination of Stream Reach for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Using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활용한 하천환경 평가 세구간 설정)

  • Kang, Woochul;Choe, Hun;Jang, Eun-kyung;Ko, Dongwoo;Kang, Joongu;Yeo, Hongkoo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4
    • /
    • pp.179-193
    • /
    • 2021
  •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satellite images for river class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stream reach, which is the first priority in the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In the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used in South Korea, it is proposed to set a stream reach by using 10 or 25 times the width of the river based on the result of river classification. First, river classification for the main stream section of Cheongmi stream was performed using various river-related data.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was applied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Sentinel-2 satellite imagery, which is an open data technology with a resolution of 10 m, was used. A total of four satellite images from 2018 was used to consider various flow conditions: February 2 (daily discharge = 2.39 m3/s), May 23 (daily discharge = 15.51 m3/s), June 2 (daily discharge = 3.88 m3/s), and July 7 (daily discharge = 33.61 m3/s). The river widths were estimated from the result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to determine stream reach.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reach classification were evaluated using indicators of stream physical environments, including pool diversity, channel sinuosity, and river crossing shape and structure. It is concluded that appropriate flow conditions need to be considered when using satellite images to set up assessment segments for the river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User assessment about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of Jeonjucheon - Focu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 (전주천 생태하천복원사업 후 이용자 평가 - 환경특성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중심으로 -)

  • Lim, Hyunjeong;Lee, Myungwoo;Jeong, Moonsu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4 no.3
    • /
    • pp.217-232
    • /
    • 2015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ction-based stream management with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user monitoring. In Jeonjucheon, upstream section located near to Jeonju Hanok village has very good water quality and natural stream landscape. In case of mid/down streams, water quality is good and heavy concentration of facility leads to high use rates of these section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5 parts: user characteristics, use behavior, citizen participation, importance rank, and Importance-Satisfaction(IS). 383 out of 454 responses with listwise deletion are used for demographic analysis and IS Analysis. In terms of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ecological experience activity' and 'stream stewardship activity', 'occasional participation' shows the average of 78% in all three sections. For importance rank, the results arranged in order of priority show 'water quality' > 'green corridor' > 'trail' in up/down streams and 'water quality' > 'vegetation management' > 'trail' in midstream. Therefore, 'water quality' appears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mong 13 variables. At last, the results of ISA indicate that all 10 variables need to be improved as satisfaction is lower than importance. In addition, 'plant management' variable falls into 'concentrate here' quadrant where importance is high and satisfaction is low.

A Study on Underwater Acoustic Characteristics by Vegetation in River (하천 식생에 따른 수중음향 분석)

  • Gu, Jung-Eun;Jung, Sang Hwa;Kang, Jo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22-522
    • /
    • 2017
  • 하천에서 식생은 하도내 흐름저항과 항력을 증가시켜 유속과 유사이동을 감소시킨다. 유속의 감소로 인해 유사가 퇴적되어 사주 발생이 증가하며 이는 하도 지형변화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하천내 식생은 하천생물의 서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물리적인 서식환경을 변화시키게 된다. 이러한 물리적인 서식환경 변화는 수중음향으로 표현되는 하천의 음환경(Soundscape) 변화로 연결된다. 본 연구는 하천 식생대에서의 수중 음향변화를 식생유무, 수온, 수심에 따라 분석하고 수리학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실규모 하천 수로에 식생 38 주/$m^2$를 식재하고 1 m정도 성장시킨 후 식생을 완전 침수시켜 $3.2m^3/s$의 유량을 공급하여 유속의 변화와 수중음향을 측정하였다. 오후시간대와 새벽시간대를 이용하여 수온이 다른 조건에서 측정하였고, 수심은 표면 3 cm, 40 cm, 80 cm 깊이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지점은 식생구간의 상류지점(A), 식생구간(B), 식생구간의 하류지점(C) 세 곳을 선정하였고, 유속은 micro-ADV, 수중 음향은 Hydrophone을 사용하여 5분간 측정하였다. 측정 주파수 spectrum은 1/3 Octave band로 처리하여 음압을 비교분석하였다. 주파수에 따른 음압을 분석한 결과 측정지점에 관계없이 주로 125 Hz, 315 Hz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심에 따른 음향을 분석한 결과 식생이 없는 상류(A)지점에서는 수중음향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식생지점(B)과 식생이 없는 하류(C)지점에서는 수중음향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는 식생에 의한 유속의 저하로 인해 흐름이 안정화되어 나타나는 현상으로 판단된다. 수온에 따라서는 식생구간(B)과 하류(C)지점에서 대체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류(A)지점에서는 수온이 높을 때 음압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는 온도가 높을수록 소리의 전달속도가 더 빨라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식생의 유무와 수심, 온도에 따라 하천의 수리학적 특성이 달라지고 이에 따른 수중음향도 달라지므로 하천의 물리적 서식환경을 평가하기 위한 인자로 수중음향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Quantified Evaluation and Application of Stream Environment (하천환경의 정량적 평가 및 활용에 관한 연구)

  • Kim, Jong Oh;Kim, Ok Sun;Kim, Sun Hye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6 no.3
    • /
    • pp.83-9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of streams based on the quantified evaluation method of the stream environment. The six streams in Jinju city flowing into the Nam-river were selected for the case study. The stream environment evaluation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following three independent field surveys. First, the stream naturalnesses considering 20 evaluation elements were investigated for each unit section of the streams having the length of 500m and the width of 100m, and then were evaluated into 5 grades. Second, water qualities of the streams were evaluated into 5 grades based on the results of eight times water quality survey. Third, the landuse patterns in the stream basins were evaluated into 5 grades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ratio. Finally, the stream environments were classified into 5 grades by integrating the above three subfactors - stream naturalness, water quality, and residential landus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of stream environments, the three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 of streams were suggested. A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Panmun stream and Ghajwa stream were evaluated to the forth grade that need active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Nabul stream and Yonga stream were evaluated to the second grade that need partial environmental restoration while Youngchun river and Dogsan stream were evaluated to the first grade showing the desirable stream environmental condition. The above environmental evaluation results for each stream will be an important reference for the further stream restoration or management plan.

  • PDF

Development of the stream bed restoration and application - Case of the Anyang stream - (하상복원공법개발 및 적용 - 안양천 시험구간 적용사례 -)

  • Lee, Sang-Mi;Lee, Du-Han;Lee, Sam-Hee;Choi, J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728-72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자연하상 복원을 위한 하상복원공법을 개발하여 시험구간에 적용하였다. 공법적용 대상 지역은 안양시역내의 안양천 일정구간으로 화창교로부터 상류방향으로 약 500m 거리에 웅덩이 수제공법이 적용되어 있으며, 그로부터 다시 상류방향으로 130m 떨어진 거리에 낮은 바닥막이 공법이 적용되어 있다. 낮은 바닥막이 공법의 경우 완만한 곡류사주의 직상류 부로서 강한 수류와 함께 빠른 유속이 형성될 경우 하상의 세굴이 예상되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수로의 유하방향으로 완만한 호형으로 설치하였으며, 웅덩이형수제 공법은 완만한 곡류로 좌안 수충부가 형성되어 있어 물의 흐름방향과 유속을 제어하여 흐름에 의한 호안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현 위치를 선정 및 적용하였다. 첫 번째, 경관모니터링 결과 낮은 바닥막이 공법과 웅덩이 수제 공법을 적용한 구간에서 대규모 홍수 이후에도 저수로 호안과 하상의 안정성이 유지되었으며, 이는 공법 설치 전 후 하상 경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수리적 안정성 유지를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웅덩이 수제 공법 설치 후, 미소서식처가 형성되면서 포식자인 왜가리, 백로류를 지속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 어류서식처로서의 기능이 강화되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두 번째, 생태계 모니터링 결과 저서성 무척추동물의 경우 한국오수생물지수(KSI)는 낮은 바닥막이 공법을 적용하여 하상구조가 변화된 조사 지점 st.1의 환경상태가 "양호"에서 "최적"으로 변화하였기 때문에 공법 적용이 서식처 건강성 증진에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세 번째, 수질 모니터링 결과 용존산소의 경우 상부지점보다 하부지점이 낮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낮은 바닥막이 공법에 의한 용존산소 상승효과보다는 다양한 서식처의 제공이라는 측면이 보다 중요한 효과를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공법의 실용화를 위한 적용 공법에 대한 생태계 모니터링 및 평가를 통하여 하천에서의 다양한 서식처(Habitat) 창출을 통해 수생 생물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하천 하상공법에 대한 생태계의 조사 및 평가기법을 확보하여 연구성과를 다른 하천으로의 확대 적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Flood Season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limate Change (지역기후변화 특성을 고려한 홍수기 개선에 관한 연구)

  • Lee, Jae Hwang;Kim, Gi Joo;Kim, Yo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0-190
    • /
    • 2022
  • 최근 30년 강수량은 20세기 초보다 124mm 증가하였으며, 지역별 변동성 역시 매우 크다. 또한 일 강수량 80mm 이상의 강한 강수의 증가가 뚜렷하고 약한 강수가 감소하는 양극화로 인하여 홍수기에 홍수피해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하지만 홍수에 대비하는 기간인 홍수기는 1970년 이전에 제정된 후 개선된 적이 없어 기후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 동일한 홍수기를 적용하고 있기에 최근 강수량의 지역특성이 강한 점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세기와 21세기 두 그룹의 통계특성을 비교하여 홍수기의 강수량 변화를 정량화하여 기후변화를 보이고 국내 18개의 다목적댐 유역에서의 강수량 변화를 통계기법을 통해 지역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후 장마와 태풍을 기준으로 한 기존의 홍수기와 extension, shift, 그리고 split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개선한 홍수기를 비교하였다. 모의 방법은 댐 운영 기본 규칙에 국내 다목적댐에 가장 많이 활용되는 일정률-일정량 방식의 Rigid ROM과 예측한 유입수문곡선의 정확도가 관건인 일정량 방식의 Technical ROM을 활용하여 방류량을 결정하였다. 홍수저감효과는 계획방류량을 기준으로 한 세 가지 지표(frequency, duration, magnitude)를 통한 비교와 하천의 계획홍수량과 댐의 200년 빈도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한 K-water 방법을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20세기와 21세기 홍수기의 통계량을 비교했을 때 강수량의 평균값이 86.55mm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각 댐 유역별로 비교하였을 때도 1개의 댐을 제외한 94%의 댐에서 증가 추세를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모평균 차이를 95% 신뢰구간으로 확인한 결과 80% 이상의 범위에서 증가추세를 확인하였다. 가설검정 결과인 p-value가 최소 0.038에서 최대 0.3의 값을 가져 지역별 강수 차이 또한 유의미한 통계적 차이를 파악하였다. 홍수저감효과의 경우 2020년의 시범 유역에 대해서 15일의 extension을 적용한 홍수기가 기존의 홍수기에 비해 평균적으로 frequency는 0.002%, duration은 1.85hr, magnitude는 26.96% 정도 저감됨을 확인하였으며, flood의 횟수도 6회정도 적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기후변화에 대응한 새로운 홍수기의 기준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Efficient method for acquirement of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drone equipment in stream (드론을 이용한 하천공간정보 획득의 효율적 방안)

  • Lee, Jong-Seok;Kim, Si-Ch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5 no.2
    • /
    • pp.135-14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Drone utilization and the accuracy of the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Drone RGB (Photogrammetry) (D-RGB), and Drone LiDAR (D-LiDAR) surveying performance in the downstream reaches of the local stream. The results of the measurement of Ground Control Point (GCP) and Check Point (CP) coordinates confirmed the excelle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comparing GNSS, D-RGB, and D-LiDAR with the values which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calculated using HEC-RAS model. The accuracy of three survey methods was compared in the area of the study which is the ownership station, to 6 GCP and 3 CP were installed. The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the D-LiDAR survey was excellent. The 100-year frequency design flood discharge was applied in the channel sections of the small stream. As a result of D-RGB surveying 2.30 m and D-LiDAR 1.80 m in the average bed elevation, and D-RGB surveying 4.73 m and D-LiDAR 4.25 m in the average flood con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the performance of D-LiDAR surveying is efficient method and useful as the surveying technique of the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the drone equipment in stream channel.

A Comparative Study of Trophic State in Lake Andong, Korea (안동호의 수역별 영양상태와 평가방법간 상관성 비교)

  • Park, Jung-Won;Kim, Dae-Hyun;Shin, Jae-Ki;Lee, Hee-Moo;Park, Jae-Chung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38 no.1 s.110
    • /
    • pp.95-104
    • /
    • 2005
  • Using TSI, TSIm and LTSI, we compared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and trophic state of 5 stations in Lake Andong from June 2002 to June 2003 and examined the correlation of them. It is difficult to evaluate trophic state of waters by each parameter, TP, Chl-a and SD, because TSI and TSIm in each section show different results, oligo-, meso- and eutrophic state. But three methods, TSI, TSIm and LTSI, show the same result that trophic degree lows as it goes to a lower area of the lake. The correlation among them is closer in the upper shallow waters than in the lower deep waters. The reciprocal application of trophic state indices is possible because the coefficient of mean correlation ranges 0.9117 to 0.9909. In conclusion, it seems that LTSI reflects a characteristic of water quality in each section better than TSI, TSIm and is very effective to simplify trophic state evaluation and minimize researcher's subj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