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유사량조사

Search Result 166,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to Develop Monthly C Factor Database for Monthly Soil Loss Estimation (월단위 토양유실량 산정을 위한 식생피복인자 산정 방안 연구)

  • Sung, Yunsoo;Kum, Donghyuk;Lim, kyoung Jae;Kim, Jonggun;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79-279
    • /
    • 2017
  • 토양유실로 인해 발생된 토사는 강우 유출수와 함께 하류로 흘러들어 하천 및 호소의 탁수문제를 야기시킨다. 토양유실에 관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유역 내 토지이용현황과 피복되어 있는 작물 등의 현황조사와 더불어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유역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장기모니터링을 수행하기에는 많은 시간과 인력이 필요하므로 토양유실량 산정 및 유사거동특성을 계산하는 모형을 활용한 연구가 국내외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 모형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범용토양유실량산정공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은 5개의 인자를 사용하여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산정한다. 국내의 경우 환경부에서 제정한 '표토의 침식 현황 조사에 관한 고시'에 표토침식현황을 조사하는 방법으로 USLE 공식을 사용한다. USLE 모형을 구성하는 인자 중 식생피복인자는 작물의 생육과정에 따른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작물에 대한 획일적인 값을 제시하고 있어 밭에서 발생되는 정확한 토양유실현황을 예측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하는 USLE 모형의 구성인자인 식생피복인자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이를 유역별 월단위 인자값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국내의 4대상 유역 중 대청호 유역, 소양호 유역, 주암호 유역, 임하호 유역을 선정하여 각 유역의 기후 및 지역특성을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였다.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제안하기 위해 SWAT모형을 사용하여 일단위 식생피복인자를 출력하도록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구축된 인자의 지역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4대강 유역에 대한 작물 재배일정을 조사하여 모형에 반영하여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산정된 월단위 식생피복 인자는 모든 작물에 대해 작물이 파종되는 시점에서 수확되기까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작물에 따라서 그리고 동일한 작물일지라도 유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월단위 식생피복인자는 토양유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지표피복변화를 고려한 식생피복인자로써 정확한 토양유실량을 산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River-Crossing Structures (하천횡단구조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Kim, Ki Heung;Jung, Hye R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68-572
    • /
    • 2015
  • 하천횡단구조물은 하천을 횡단하는 시설물로, 크게 농업용수 취수용 보, 하도개수시 유속제어를 위한 낙차공 등을 들 수 있으며, 각각의 설치목적에 따라 그 형태와 설계제원(높이, 마루폭, 바닥보호공의 길이 등)이 다르나, 하천을 횡단하여 인공적인 구조물을 설치하는 형태는 동일하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은 홍수시 배수위 영향으로 상류에 수위상승을 초래하여 하천의 치수 안전도를 저하시킬 뿐 아니라 직하류에서는 하상의 세굴에 의하여 호안 및 제방이 파괴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하천횡단구조물은 생태계의 이동통로로서의 종적 연속성을 차단하는 것이다. 즉 하천을 따라 거슬러 올라가는 소하성 어종(anadromous species)이나 하천에서 바다로 내려가는 강하성 어종(catadromous species)과 같은 회유성 어종의 이동을 차단하기도 하며, 회유성 어종 이외에도 치어와 성어의 성장환경이 다른 어종의 경우는 상 중 하류를 옮겨가며 성장하는 어종의 이동도 차단하고 있다. 하천횡단구조물은 치 이수적 측면에서 반드시 필요한 하천구조물로서 치수, 생태 및 경관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어도설치나 기능을 상실한 보의 철거 등 소극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기에 적극적인 개선대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로 인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경남의 20개 시 군 684개의 지방 하천에 설치된 7,725개의 하천횡단구조물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구조형식, 높이, 재료, 어도 설치 여부, 세굴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하천횡단구조물의 용도별 구성비는 보가 49%, 낙차공이 51%로 나타났으며, 구조형식은 콘크리트 구조가 72%, 콘크리트 석재 구조가 25%, 석재 구조가 3%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하천횡단구조물의 본체 높이별 구성비는 0.5m 이하가 14%, 0.5~1.0m가 35%, 1.0~1.5m가 34%, 1.5~2.0m가 10%, 2.0m 이상이 7%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어도 설치는 약 9%인 669개소에 설치되어 있었으나 대부분이 어류 등의 이용하는 생태통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하폭, 하상고, 하상경사, 굴입정도, 유사량 등의 하도특성 및 용수이용 여건 등을 고려하여 유공관을 이용한 지하보, 석재 아치의 원리를 이용한 계단식 자연형 보/낙차공, 부분 램프 설치, 거석 놓기 등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개선방안은 하천복원 및 하천개수 사업 시행시에 반영하여 합리적인 하천복원 및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Effects of an Inflowing Urban Stream (Wonju stream) on Epilithic Diatom Assemblages in the Lower Seom River (도시 하천(원주천) 유입이 섬강 하류 부착규조 군집에 미치는 영향)

  • Yoon, Sung-Ae;Kim, Nan-Young;Kim, Baik-Ho;Hwang, Soon-J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3 no.2
    • /
    • pp.232-241
    • /
    • 2010
  • Epilithic diatom communities and water quality were monitor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impact of the inflow of Wonju-stream passing through the urban area in the Seom River Watershed. We selected the 14 sampling stations (5 main stream sites and 9 tributary sites), and collected diatom and water samples between October 2007 and September 2008, on the seasonal ba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most water quality parameters showed the site-specific patterns over the study, except for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xygen. The level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highest at the site of Wonju stream, whereas the lowest in the upstream sites, and intermediate or gradually decreased in the downstream sites of the Seom river. One species, Achnanthes convergens, showed the highest biomass and frequency over the sites, while three saprophilous species-Navicula goeppertiana, Navicula subminuscula, Nitzschia palea were appeared only in Wonju Stream and other polluted sites. According to trophic diatom index (TDI) values, which were highly correlated with nutrients and EC, the study sit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asses: upstream and tributary (Class A and B), Wonju Stream (Class D), and mixed zone and downstream (Class C). A cluster analysis supported the result of TDI classification. Therefore, Wonju-stream located in populated urban area exerted the adverse ecological effects on the epilithic diatom community and water quality of the lower Seom River System, although its severity gradually decreased downstream.

Spatial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the Streams of Shihwa Lake (시화호 유입하천의 수질오염물질 농도에 관한 연구)

  • Jang, Jeong-Ik;Han, Ihn-Sup;Kim, Kyung-Tae;Ra, K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3 no.4
    • /
    • pp.289-299
    • /
    • 2011
  • We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concentrations in 9 streams that flow into Shihwa Lake in order to provide the scientific data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otal pollution loads management system (TPLMS) of the Lake. Suspended solid (SS), chemical oxygen demand (COD), dissolved nutrients ($NO_2$, $NO_3$, $NH_4$, $PO_4$ and $SiO_2$),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in stream water from industrial complexes, urban and agricultural regions were determined. Pollutant concentrations in December were higher than that in other sampling periods. COD concentration from industrial complex region with average of 12.6 mg/L was 2 times higher those from urban region (6.6 mg/L) and agricultural region (5.9 mg/L). TP concentration from industrial region also showed higher concentration than other regions. TN concentration in stream water was 5.89 mg/L for industrial region, 3.02 mg/L for urban region and 5.27 mg/L for agricultural region, respectively, suggesting inflow of TN due to fertilizer usage in agricultural field. Relative percentage of nitrogen compounds in TN follows the sequence: $NH_4$ (35.1%) > $NO_2$ (20.0%) > DON (22.8%) > PON (8.9%) > $NO_2$ (3.2%). Concentrations of dissolved nutrients, TP and TN in stream water were 3.2~37.2 times higher than that in Shihwa Lake seawater, therefore large amount of pollutants may be directly entered into Shihwa Lake without any treatment. For Gunja stream of industrial region, pollutants at midstream showed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 compared to upstream and downstream.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illegal discharging of sewage and waste water. Our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s on the estimation and reduction of total pollutant loads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dequately strategic and implemental plan of Shihwa Lake TPLMS.

Comparison of Time Series of Alluvial Groundwater Levels before and after Barrage Construction on the Lower Nakdong River (낙동강 하류 하천구조물 건설 전후의 충적층 지하수위 시계열 특성 비교)

  • Kim, Gyoo-Bum;Cha, Eun-Jee;Jeong, Hae-Geun;Shin, Kyung-Hee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3 no.2
    • /
    • pp.105-115
    • /
    • 2013
  • Increasing the river cross-section by barrage construction causes rises in the average river water levels and discharge rates in the rainy season. The time series patterns for groundwater levels measured at 23 riverside monitoring wells along the lower Nakdong River are compared for two cases: before and after water-filling at the Changnyeong-Haman Barrage. Monthly average groundwater levels indicate a distinct increase in groundwater levels in the upstream riverside close to the barrage. River-water level management by barrage gate control in August, during the rainy season, resulted in a 0.1 m decrease in groundwater levels, while water-filling at the barrage in December caused a 1.3 m increase in groundwater levels. The results of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ndicate that seven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and river water levels were in the same group before barrage construction, but that this number increased to 14 after barrage constructi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revealed that the explanation power of two principal components corresponding to river fluctuation, PC1 and PC2, was approximately 82% before barrage construction but decreased to 45% after constructio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effect of the river level component that contributes to change in groundwater level, decreases after barrage construction; consequently, other factors, including groundwater pumping, become more important. Continuous surveying and monitoring is essential for understanding change in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Water policy that takes ground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 into consid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riverside areas.

Riverbed Change Monitoring According to Geum River Restoration Project - Focused on the Geum River Weir - (금강살리기 사업에 따른 하상변동 모니터링 - 금강보를 중심으로 -)

  • Yu, In-Sang;Oh, Kuk-Ryul;Lee, Sung-Hyun;Park, Moo-Jong;Jeong, Sa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38-338
    • /
    • 2011
  • 금강살리기 사업은 장래 치수 및 물 부족 현상과 가뭄에 대비하여 용수 확보를 위해 금강 본류에 금남보, 금강보, 부여보 3개의 보를 건설하고 있다. 이러한 보의 건설은 하천의 흐름을 차단하여 토사퇴적에 많은 영향을 미치며 하상의 형상을 변화시킨다. 한 지점에서 하상재료 및 하상단면이 변화되면 하천 전 구간에 걸쳐 장기간의 하상변화를 일으키게 되며 이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작업은 하천계획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현재 금강에는 금강보가 건설중에 있으며 공사 후 보에 의해 상류로부터 하류로의 유사 유입이 차단되고 보 방류량이 인위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보 하류의 하상변동을 장기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모니터링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보 건설 기간 중 하상변동 및 퇴적 토사의 입도 변화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보 상 하류에 모니터링 지점을 선정하였고, 하상단면 수심측정기를 이용하여 하상변동 모니터링과 5회에 걸쳐 현장의 토사시료를 채취하여 하상재료 입도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금강보 상류 모니터링 지점은 하상침식에 의해 하상고의 평균높이가 0.29m 낮아졌고, 하류 모니터링 지점 역시 하상고의 평균 높이가 0.05m 낮아졌으며, 하상형상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5회에 걸쳐 하상재료를 채취하여 균등계수 및 곡률계수를 통해 입도분포를 분석한 결과 체가름시험 규정에 의해 5회 모두 '나쁜입도'로 분류 되었다.

  • PDF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Loading Flux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Riverine Waters of Jinhae Bay, Korea (진해만 하천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유입부하량과 오염특성)

  • You, Young-Seok;Kim, Jwa-Kwan;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4
    • /
    • pp.275-282
    • /
    • 2009
  •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compounds may enter into the marine environment in a number of ways, and PAHs in coastal area and estuary adjacent to urban area and industrial activities region are mainly introduced into marine environment via atmosphere or river. The field surveys to evaluate the pollution of PAHs in rivers of Jinhae bay were carried out in August, 2008.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main rivers and Deokdong WWTP(Waste water Treatment Plant) which lead to Jinhae bay. 16 PAHs which had been selected as priority pollutants by EPA were analyzed. The range and mean of dissolved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the rivers and Duckdong WWTP that lead to Jinhae bay were shown to be 9.79~128.25(mean 36.94)ng/L, while the range and mean of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SPM(Suspended Particulate Matter) were shown to be 1,81434~8,893.37(mean 4,657.73)${\mu}g$/kg dry wt. The dissolved Total PAHs and Total PAHs in SPM were shown to be high concentrations in the Semhocheon which leads to Masan bay that is the most polluted area of Jinhae bay, while those were shown to be low concentrations at rivers which lead to the west area of the bay. The ranges and means of the loading fluxes from rivers and Duckdong WWTP were calculated at 0.06~12.05(mean 1.86)g/day for dissolved Total PAHs and at 0.12~16.00(mean 2.41)g/day tor Total PAH in SPM. The loading flux of Total PAHs from Duckdong WWTP was shown to be the greatest, occupying more than 80% of Total loading flux from all rivers and WWTP to Jinhae bay. The composition patterns of PAHs compound by the number of benzene ring between dissolved PAHs and PAHs of SPM were different each other. Low molecuar weight PAHs of dissoloved compounds were in high concentration, while high molecular weight PAHs of SPM were in high concentration. These results were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Hs and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The total PAHs concentrations of dissolved and SPM in this study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The extent of PAHs pollution appeared to be not serious in reverine waters of Jinhae bay.

  • PDF

An application of image processing technique for bed materials analysis in gravel bed stream: focusing Namgang (자갈하천의 하상재료분석을 위한 화상해석법 적용: 남강을 중심으로)

  • Kim, Ki Heung;Jung, Hea Rey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8
    • /
    • pp.655-664
    • /
    • 2018
  • The riverbed material surve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pecific gravity, porosity, etc. as basic data necessary for river channel plan such as calculation of sediment transport and change of river bed. In principle, the survey spots are 1 km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ver and 3 points or more in the 1 cross section. Therefore, depending on longitudinal length of the river to be investigated, the number of surveyed sites is very large, and the time and cost for the investigation are correspondingly required.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rticle size analysis method with the volumetric method and the image analysis method in work efficiency and cost and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the image analysis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diameter of the equivalent circle converted by the image analysis method can be applied to the analysis of bed material particle size. In the gravel stream with a particle size of less than 10 cm and a large shape factor, the analytical result of the bed material by the image analysis method is accurate. However, when the shape factor decreases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s, the error increases. In addition, analysis results of the work efficiency and cost of the volume method and the image analysis method showed a reduction of about 80%.

Change in Stream Morphology after Gongneung Weir 2 Removal (공릉2보 철거에 따른 하천형태학적 변화)

  • Choi, Sung-Uk;Lee, Hea-Eun;Yoon, Byung-Man;Woo, Hyo-Seop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2 no.5
    • /
    • pp.425-432
    • /
    • 2009
  • Gongneung Weir 2 was built in 1970s to supply water for irrigation. For a long time, the weir was left uncared because of the land use change of the nearby area. The weir is 1.5 m high, and the stream in which the weir was installed has bed materials of fine sands to fine gravels. In 2006, the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agreed on uninstalling the weir, and the weir was removed completely on April 14.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s of three field investigations for the study of the stream morphology change after the weir removal. Changes in grain size distribution, bed elevation, and cross section before and after the weir removal are provided and discussed. Net amount of sediment deposits within 1 km reach of the stream is estimated, and the results illustrates that the sediment process, leading to an equilibrium of the bed, progressed very swiftly, namely within 45 days.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High Water Channel in the Lower Han River (한강 하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관한 분석 및 평가)

  • Lee, Sam-Hee;Hwang, Seung-Yong;Ryu,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616-1621
    • /
    • 2006
  • 하천 지형은 흐름과 유사거동에 의한 세굴 또는 퇴적에 의하여 끊임없이 변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하천지형의 변화가 크게 일어나고 있는 한강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고수부지 형성 이력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981년 이전까지 하중도(제주초도)가 안정된 형태로 존재하였으나, 1980년대 중반을 거치면서 하중도는 소멸되었고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우안에 비슷한 규모의 고수부지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고수부지의 형성과정을 평가하면 다음과 같다. 1) 초기단계(흐름 변화에 따른 이동사주의 정지): 1995년 이전까지는 하천 내 자연적/인위적 교란에도 불구하고 이열사주 형태의 이동상이 유지되다가 1995년 이후 1988년 준공된 신곡수중보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이로 인한 하중도의 소멸이 가중되면서부터 신곡수중보 직하류 우안의 이동사주가 정지하기에 이른다. 2) 성장단계(조석에 따른 부유사 반복 퇴적): 이동상 사주가 정지된 뒤 매일 2회씩 반복되는 조석의 영향을 받은 고농도의 부유사가 정지된 사주 위에 반복되어 퇴적되는 양상이 일어난다. 3) 정착단계(정지사주의 고수부지화): 정지사주에서 부유사가 퇴적하고 갈대와 같은 초본류 식생이 활착하게 되면서 부유사 퇴적은 가중되어 간다. 이러한 과정에서 1999년과 같은 대홍수 때 부유사의 고수부지 내 퇴적이 결정적이었을 것이다. 4) 확장단계(고수부지 확장단계): 대홍수 때 고수부지의 퇴적과 아울러 산재하던 버드나무가 교란을 받아 고수부지에서 새로운 버드나무 군락의 터전을 이루어 밀생하게 된다. 향후 고수부지가 잠기는 규모의 홍수가 빈발할 경우 퇴적층의 유실보다는 부유사 퇴적이 많아져 고수부지는 확장단계에 접어들게 된다.70{\sim}90$ 시간 동안 실험을 수행하였다. 세굴의 측정은 투명한 아크릴로 제작된 수제 내부에 CC카메라를 수제 전 후면 및 측면에 설치하여 월류수제의 세굴 발생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동시에 수제의 각 면에 각각 3개의 압력센서를 설치하여 압력분포를 측정함으로써, 월류수제 주변의 압력변화에 따른 세굴심의 실시간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수심이 연중 $25{\sim}35m$를 유지하는 H호의 경우 간헐식 폭기장치를 가동하는 기간은 물론 그 외 기간에도 취수구의 심도를 표층 10m 이하로 유지 할 경우 전체 조류 유입량을 60% 이상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되었다.심볼 및 색채 디자인 등의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들을 고려한 인터넷용 GIS기본도를 신규 제작한다. 상습침수지구와 관련된 각종 GIS데이타와 각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공공정보 가운데 공간정보와 연계되어야 하는 자료를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단계별 구축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GIS를 이용하여 상습침수구역관련 정보를 검색, 처리 및 분석할 수 있는 상습침수 구역 종합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토록 하였다.N, 항목에서 보 상류가 높게 나타났으나, 철거되지 않은 검전보나 안양대교보에 비해 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의 기상변화가 자발성 기흉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고 추론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추론된 기상변화와 기흉 발생과의 인과관계를 확인하고 좀 더 구체화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게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초과수익률이 상승하지만, 이후로는 감소하므로, 반전거래전략을 활용하는 경우 주식투자기간은 24개월이하의 중단기가 적합함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