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천생태복원

Search Result 44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precise analysis on the watershed based river-groundwater interaction (유역단위 하천 지하수 상호작용의 하천-정밀분석)

  • Kim, Nam-Won;Yoo, Sang-Yeon;Chung, Il-Moon;Lee, Jeo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919-1923
    • /
    • 2008
  • 지하수와 지표수의 상호작용은 혼합대(hyporheic zone)와 홍수터 물수지에도 영향을 끼치며 특히 생물학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혼합대의 경우 유역 전반에 걸쳐 불균일한 분포를 나타낸다. 그런데 기존하천-대수층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는 하천변에 근접한 지역의 대한 연구로 국한되어 있다. 따라서 단순히 하천-대수층간 상호작용의 영향을 하천변에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유역규모로 확장하여 유역단위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에 대한 심도 있는 해석을 해야만 보다 정확한 지표수-지하수의 연계운영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역단위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을 해석하기 위해 완전연동형 SWAT-MODFLOW를 이용하여 하천과 대수층의 상호작용의 강도를 하천 구간별로 찾아내고 그 교환의 공간적 범위도 추정함으로써 혼합대연구를 위한 실증을 수행하고자 한다. 유역 단위의 지표수-지하수 상호작용을 해석하기 위하여 SWAT-MODFLOW모형을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적용시킨 결과 하천과 대수층간에 상호작용의 영향범위와 영향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천-대수층 상호작용의 정밀분석을 통한 영향권 산정 및 혼합대의 발생범위 예측은 향후 하천복원 사업시 수생생태계 건강성 지표와 관련된 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pplication of SWAT model for Cheonggecheon watershed (청계천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적용)

  • Chang, Cheol Hi;Kim, Hyeon Jun;Noh, Seong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72-1076
    • /
    • 2004
  • 도시 개발에 의해 우수의 불투수지역 확대, 하천부지의 축소, 산림 및 유수지의 감소 등이 급속히 진행되어 하천유량의 변화, 지하수위의 저하, 용수의 고갈, 생태계의 파괴 등이 발생되어 왔다. 도시지역은 도시형 수해발생, 갈수시의 급수안전도 지하, 평시 하천유량의 감소, 공공수역의 수질악화, 지하수 오열 등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서울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며 청계천 복원 사업과 더불어 그동안 방치되었던 도시유역의 물순환 체계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도시하천 유역의 물순환을 해석하였다. SWAT모형은 미국 농무성 농업연구소(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ARS)에서 개발된 모델로서, 내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 장기간에 걸친 다양한 종류의 토양과 토지이용 및 토지관리 상태에 따른 물과 유사 및 농업화학물질의 거동에 대한 토지관리 방법의 영향을 예측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SWAT 모형은 물리적 이론에 근거한 연속모형으로 준분포형 (Semi-Distributed) 모형이다. 본 연구는 도시하천 유역의 물순환체계 변동을 고려한 물순환 정상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단계로서, 청계천 유역에 내해 모형을 적용하였다. 청계천은 중랑천의 제1지류인 지방2급 하천으로 유역면적 $50.96km^2$, 유로연장 13.75km이며, 2003년 7월부터 ,5.9km의 본류구간에 대한 복원공사가 진행 중이다. 적용유역의 수문${\cdot}$기상${\cdot}$지하수 자료는 1993널 1월 1일 $\~$ 2002년 12월 31일까지의 서울 기상청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지형, 토양, 토지이용 자료는 기존에 구축된 GIS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형 적용결과, 도시하천 유역에 대한 SWAT 모형의 적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역의 물순환계를 구성하는 강수, 지표수, 토양수, 지하수 및 하천수 등의 상호 관계 분석을 통해 장기간의 유역 물순환체계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Flow for Optimal Interval of Groynes (수제설치 간격에 따른 흐름특성)

  • Kim, Keun-Yeong;Park, Hyo-Gil;Chun, Do-Seok;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843-847
    • /
    • 2009
  • 본 연구는 가상하도에서의 합리적인 수제공 설계 근거를 확립하기 위하여, 가상하도에서 수제설치 간격에 따른 수제군 주변의 유속 및 벡터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수제는 하천에서의 흐름을 하도 중앙으로 집중시켜 일정수심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며, 하안 및 제방의 보호 및 유로제어를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근래 하천정비사업에는 견고한 재료로 하안을 피복하는 호안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침식퇴적작용을 억제하고 하안을 고착화, 단순화 시켜왔다. 또한, 최근 자연생태계 복원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함에 따라 하천정비사업에서도 자연친화적인 기법적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렇지만 아직도 수제 서리에 있어서 하천의 흐름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함으로써 수제를 올바르게 이용하지 못하는 예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상하도에서 수제설치 간격에 따른 수제군 주변의 흐름특성을 수제공의 수리학적 원리를 통해 수제설치간격에 따른 수제군 주변의 흐름특성을 비교 분석하겠다.

  • PDF

The Flood Elevation Reduction Effect by Sluice Operation at Multistage Movable Weir System (다단식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시스템에서 수문개도 조작에 의한 홍수위 저감효과)

  • Lee, Ji Haeng;Han, Il Yeong;Ra, Su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67-367
    • /
    • 2016
  • 우리나라는 하상계수가 큰 하천의 특성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의 고정보를 설치하여 하천수위를 유지하고, 취수용으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고정보는 유수방해, 토사퇴적으로 인한 홍수위 상승 등의 다양한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4대강에는 다양한 형상과 운영방식이 적용된 가동보가 설치되었으며, 소하천과 중규모 하천 역시 하천기능의 복원을 위한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하천관리의 목표는 하천의 이수, 치수 및 생태환경 기능의 종합적이며, 유기적인 관계를 조화롭게 유지하면서 각 기능을 극대화시키는 것이다. 우선, 토사의 퇴적을 사전에 예방하고, 퇴적된 토사는 유수에 따라 배출될 수 있도록 하단방류 형식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홍수기에는 통수가 원활하도록 보의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야 하는 한편, 하류구간이 범람하지 않도록 상류구간에서의 완충기능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 다단형태의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 시스템을 고려할 수 있다. 다단형태의 하단방류형 가동보 수문시스템은 경사 하천에 가동보에 의해 물을 저수하고, 저수된 물을 보 상류에서 유입되는 유입수량 만큼만을 수문 하단 개도부를 통하여 방류하도록 하여, 일정량이 항상 저류되면서 퇴적토사가 배출되도록 하여 수질을 개선하는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의 지류인 치성천 9Km 구간을 대상으로 HEC-RAS 4.1 모형을 적용하여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하류부터 상류구간까지 다단형태로 설치하였을 경우, 하천의 저류와 분배기능 회복에 따른 홍수위 저감 효과를 고정보 설치의 경우와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소통 능력을 검토하기 위해서 연구대상 구간을 200년 빈도의 확률홍수량 별로 10개 구간으로 나누어 검토한 결과, 고정보 설치의 경우에는 여유고 기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나타났으나, 다단식 하단방류형 가동보를 설치하고, 수문개도를 조작하여 운영할 경우에는 여유고 기준을 초과하는 부분이 없어, 홍수위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홍수기이후에도 하천유지용수 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치 및 유지관리의 비용측면과 용수확보 및 홍수피해 절감의 편익측면에서도 50년 운영주기의 비용편익성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태환경보전과 친수공간 확보측면의 편익성을 추가로 고려할 경우, 경제성은 충분히 확보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The Analysis of Vegeta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Revetment Structure at Rural Small Streams (농촌지역 소하천의 제방형태에 따른 식생특성 분석연구)

  • Kim, Mi-Heui;Kang, Banghun;Kong, Min-Jae;Jeong, Myeong-Cheol;Son, Jin-K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4
    • /
    • pp.359-369
    • /
    • 2015
  • Stream ecosystems are highly valued natural resources, however, stream environments are currently under threat in several respects. We evaluated vegeta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different revetment types. The distribution of vegetation differed with revetment type, with a 42~45 taxa found in natural revetments, and 23~38 taxa in vertical revetments. Thus, natural revetments host more diverse vegetation than vertical revetments. We also found more plants belonging to the families Labiatae and Cyperaceae growing in natural revetments than in vertical revetments. We proposed that habitat space be apportioned to introduce annual plants as part of stream restoration projects. And, we identified 7 families and 18 taxa of naturalized plants, majority taxa were either biennial or perennial. Moreover, naturalized ratio was higher in vertical(14.3%) than natural(12.1%), we proposed a plan to promote and improve natural streams and revetments. Furthermore, we applied a waterfront evaluation method developed by the 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of the USDA-NRCS, which confirmed that stream health can be improved in most regions by controlling naturalized plants and ensuring shrub and tree growth. We adopted a new method to remove naturalized plants and establish natural revetments to ensure shrub and tree growth to aid in small-stream restoration and improvement. In future studies, we hope to develop methods for small-stream restoration projects in rural areas.

Restoration design of step-pool sequence in mountain streams (산지하천의 스텝-풀 연속체 복원설계)

  • Kim, Ki H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3 no.1
    • /
    • pp.29-43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sign criteria and detailed design model by reviewing the issues related to geometry, formation process, destruction process, hydraulic function, restoration and ecological function of the step-pool from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o apply the step-pool sequences to river restoration. Based on the analysis and review results, the design criteria for the structure and size of the step-pool are presented as ratio of the step spacing and the channel width, ratio of the unit step slope and channel slope, and ratio of step height and the particle size. To ensur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step, stability analysis method of overturning based on the keystone theory was proposed as a design criterion. As a detailed design concept, a layout model was proposed by applying the imbricating structure of keystones and arch stones to the planar, longitudinal and transverse configurations of the step-pool.

Analysis on the Vegetation and Flora for the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생태적 하천복원을 위한 식생 및 식물상 분석)

  • You, Ju-Han;Jung, Sung-Gwan;Lee, Cheol-Hee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9 no.4
    • /
    • pp.471-479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the natural restoration plan of river by objective analyz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round stream in Mt. Midong and to develop the materials for restoration. The flora were summarized as 95 taxa; 33 families, 84 genera, 81 species and 14 varieties.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5 taxa; Dactylis glmerata, Panicum dichotomiflorum, Rumex crispus, Chenopodium glaucum, Trifolium repens, Hibiscus trionum, Oenothera lamarckiana, Ambrosia artemisifolia var. elatior, Aster pilosus, Erigeron annuus, Erigeron canadensis, Coreopsis tinctoria, Taraxacum officinale, Bidens frondosa and Cosmos bipinnatus. The major dominant species was Phragmites japonica in all communites and semi dominant species were Salix gracilistyla, Phalaris arundinacea, Bidens frondosa and Persicaria thunbergii. To restore the river, we must consider the biddiversity, habitats and so forth, and use the plant materials like Phragmites japonica, Salix gracilistyla, Persicaria thunbergii and Veronica anagallis-aquatica.

A Study of Impacts of Human Interference on the Gapcheon River Basin in Daejeon City (도시하천에 대한 인위적 간섭 특성 및 하천 관리 방안 - 대전시 갑천유역을 중심으로 -)

  • Kim, Doo-I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1
    • /
    • pp.1-18
    • /
    • 2008
  • If there is no choice but to be urbanized, we should examine how human interference has had influences on the area to keep the river environment safe and stable.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improvement by examining the effect of human interference in Gapcheon river in Daejeon, which is developing fast. Distinctive features of human interference in Gapcheon river are followings. First, middle and upper reaches of Gapcheon river are being maintained and restored focusing on flood control but are scheduled to develop city and channel. Second, the rear area of middle and lower reaches of Gapcheon river is already developed into an urban district and solidified into artificial stream for leisure activities installing the artificial structure for fun. Third, lower reaches of Gapcheon river are in an unstable condition because of straightening waterway and developing rear area of river. Up to now, geographical features and bio-diversity of Gapcheon river has been ruined by the artificial management of river centered for technical engineering. From now on, followings should be considered for management of urban river. First, it is focused on maintaining eco system by itself than usage for human. Second, natural features of rear area of riv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should be preserved before developing urban city and hills, back marsh, channel deposit and swamp to directly have an influence on river.

  • PDF

Study on Topographical Changes by Frame of Wooden Groyne at the Riparian of the Pyungchang River (유도틀 설치에 따른 평창강 수변의 지형변화 연구)

  • Kim, Byoung-Moon;Kim, Hyun-Ho;Hwang, Gil-Son;Kim, Dong-Oug;Park,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0-970
    • /
    • 2012
  • 최근 치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원래 자연하천의 모습을 보전 혹은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시설물의 조성 시 유황에 따른 자연 하안 유도와 습지형태의 생물 서식공간 조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창강 일원에 목재 유도틀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지형변화, 저서무척추동물을 포함한 수생생물들의 서식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창강 금당계곡 일원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통해 수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산에 있는 수리모형 실험장에서 기본 수리특성 실험 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된 지점에 목재 유도틀을 2009년 9월에 설치하여 유도틀 설치 전과 설치 후 2010년 10월까지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형의 측량은 광파측정기(니콘 DTM-520)로 하였으며 측량된 자료를 이용하여 Contour Map을 작성하여 지형변화를 분석하였고, 유도틀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에 3차에 걸쳐 지형 및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량 및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유도틀 설치 후 2010년 하절기에 집중호우에 의한 유도틀의 파손 및 형태변형 등 문제가 없어 수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유도틀 조성 전 사질로 되어있던 단순한 선형의 하안이 유도틀 설치 후 다양한 하상재질 및 형태가 변화했으며 유도틀의 배치에 따라서 굼치 및 둠벙형 습지가 형성되었다. 유도틀 설치지역의 3개지점(상부, 중간배후습지, 하부)에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설치된 유도틀의 중간지점에서 가장 높게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상부지점 보다는 하부지점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개체수의 변화에서는 종수변화와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깔다구와 꼬마줄날도래등 특정종의 증식이 많았다. 또한, 굼치 및 둠벙형 습지 내에 어류의 치어 및 유어, 양서류, 파충류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도틀에 의해 생성 및 유도된 지형변화가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에게 다양한 피난처 및 은신처 역할을 잘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hysical Disturbance and Fish Habitat Suitability before and after Channel Structure Rehabilitation (하천구조 개선에 따른 어류 서식적합도와 물리적 교란의 상관분석)

  • Choi, Heung Sik;Lee, Woong H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1
    • /
    • pp.33-41
    • /
    • 2015
  • In this study, an optimal improvement method of stream channel structure is presented for the enhancement of fish habitat suitability by genetic algorithm. The correlation between fish habitat suitability and physical disturbance in stream is analyz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channel structure rehabilitation. Zacco koreanus which is an indicator fish of the soundness of aquatic ecosystem was selected as a restoration target species by investigating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river environments in Wonju stream. The habitat suitability is investigated by PHABSIM with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Zacco koreanus. Hydraulic analysis by HEC-RAS and physical disturbance evaluation in stream are carried out. The optimal channel width modified for the enhancement of fish habitat suitability is provide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habitat suitability and physical disturbance with the change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channel modification showed that the proper channel modification enhanced fish habitat suitability and mitigated physical disturbance in the stream. The improvement of physical disturbance score by the channel structure rehabilitation for the enhancement of fish habitat suitability was confirmed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