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이브리드제어

검색결과 769건 처리시간 0.038초

준능동 TMD의 퍼지 하이브리드 제어 (Fuzzy Hybrid Control of Semi-active TMD)

  • 김현수;이동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9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33-43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준능동 TMD(STMD)가 설치된 초고층건물의 풍응답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한 퍼지 하이브리드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STMD의 응답저감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스카이훅(skyhook) 제어기와 구조물의 응답저감에 뛰어난 그라운드훅(groundhook) 제어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제어기를 적절히 조합하기 위하여 최적의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퍼지 하이브리드제어기를 개발함으로써 일반적인 가중합방식의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풍하중을 받는 76층 사무소 건물을 예제구조물로 사용하였다. MR 감쇠기를 이용하여 STMD를 구성하였고 STMD의 제어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TMD 및 ATMD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STMD의 제어성능이 TMD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퍼지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을 사용하면 스카이훅 및 그라운드훅 제어기를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STMD와 건물의 응답을 동시에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초고층건물의 풍응답제어를 위한 스마트 TMD의 퍼지 하이브리드제어 (Fuzzy Hybrid Control of a Smart TMD for Reduction of Wind Responses in a Tall Building)

  • 김한상;김현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35-14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건물의 풍응답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스마트 TMD(STMD)를 활용한 퍼지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효과적인 제어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하여 STMD의 응답저감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스카이훅(skyhook) 제어기와 구조물의 응답저감에 뛰어난 그라운드훅(groundhook) 제어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두 제어기를 적절히 조합하기 위하여 최적의 가중치를 실시간으로 결정하는 퍼지 하이브리드 제어기를 개발함으로써 일반적인 가중합방식의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제안된 제어기의 성능을 검토하기 위하여 풍하중을 받는 76층 사무소 건물을 예제구조물로 사용하였다. MR감쇠기를 이용하여 STMD를 구성하였고, STMD의 제어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TMD및 ATMD의 성능과 비교하였다. 수치해석을 통하여 STMD의 제어성능이 TMD에 비하여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퍼지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을 사용하면 스카이훅 및 그라운드훅 제어기를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STMD와 건물의 응답을 동시에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iquid-Slop 시스템의 하이브리드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brid Position Control of the Liquid-Slop System)

  • 주해호;이재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8-64
    • /
    • 1992
  • 이 논문에서는 Hoop속에 Ball이 구르는 간단한 전기 기계 구동 장치를 고려 하였다. 이 장치의 구조는 간단하지만 원유수송선과 같은 대형 액체를 고속 수송할 때 발생되는 "liquid slop"문제를 해석하고 제어하는데 좋은 모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liquid slop dynamics를 언급 하였고, 이러한 시스템을 제어 하기 위하여 재래식 PID, state-feedback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토하였고 하이브리드 제어방식을 제안하였다. 하이브리드 제어방식이 다른방식보다 성능면에서 다소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 PDF

간접 벡터 재어 방식 유도전동기에 대한 하이브리드 퍼지 제어기 설계 (A Hybrid Fuzzy Controller for Indirect Field-Oriented Induction Machine Drives)

  • 안덕우;우성도;이은욱;김응석;이형찬;양해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650-652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간접 벡터 제어 방식의 유도전동기를 위한 하이브리드 퍼지 속도제어기를 설계한다. 제안한 하이브리드 퍼지 속도제어기는 유도 전동기의 속도 응답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응답 상태에 따라 PI(비계적분) 제어기와 퍼지 제어기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형태이다. 정상상태에서는 PI 제어기를 사용하고 속도 오차값이 크면 퍼지 제어기를 사용한다. 또한 사용된 퍼지 제어기는 퍼지 입력의 파라미터를 튜닝하여 응답 성능을 높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하이브리드 퍼지속도 제어기와 기존의 PI 제어기의 성능을 실험을 통하여 비교 검증한다.

  • PDF

자동차 에어 서스펜션에 대한 퍼지 제어기 설계 (Fuzzy Controller Design for a Automotive Air Suspension)

  • 류하오;이재천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9권2호
    • /
    • pp.1-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어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우선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의 수학적 모델을 구하였다. 그리고 퍼지 제어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반능동식 하이브리드 제어 에어 서스펜션을 구하였다. 차체 가속도에 따라 퍼지 제어기는 오리피스 개도를 변경하여 특정 영역에서 에어 스프링의 강도를 조정한다. 동시에 서스펜션 운동 상태에 따라 서스펜션 댐핑이 제어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반능동식 하이브리드 제어 에어 서스펜션이 노면 접지능력의 상실이나 서스펜션 작동 공간의 증가 없이 최고의 승차감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하이브리드 퍼지 PID 제어기의 최적 자동동조 알고리즘 (Optimal Auto-tuning Algorithm for Hybrid Fuzzy PID Controller)

  • 정병조;오성권;장성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114-2116
    • /
    • 2002
  • 본 논문은 개선된 Complex 방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퍼지 PID 제어기의 최적 자동동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어응답은 퍼지제어기의 환산계수 값에 의해 여러 종류, 여러 형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해당하는 제어계의 평가 기준을 만족하도록 제어 파라미터 값을 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PID 파라미터 조정법에는 많은 방법이 제안되어 왔었다. 대표적인 예로서 Ziegler-Nichols, Cohen-Coon, Chien-Hrones-Reswick(CHR) 등에 의해 제안된 방법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선된 Complex 방법을 이용한 강력한 자동동조 알고리즘이 하이브리드 퍼지 PID 제어기의 성능을 자동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알고리즘은 하이브리드 퍼지 PID 파라미터와 환산계수를 제어출력 변화율과 제한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추정한다. 지연시간을 갖는 1계, 2계 공정에 적용하고. 공정출력 기준치는 단위 입력으로 한다. 제어 결과의 성능평가를 위해 ITAE(Integral of Time multiplied by the Absolute value of Error)가 사용되며, 또한 제어기의 오버슈트도 토의된다.

  • PDF

$GO_2$/PE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기초실험 (System Design and Fundamental Experiment for Thrust Control of $GO_2$/PE Hybrid Rocket)

  • 이용우;강완규;허환일
    • 한국추진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0-4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드 로켓의 산화제 유량 제어를 통한 추력제어를 위한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와 산화제 유량 조절장치 그리고 데이터 획득을 위한 전체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산화제 유량 제어를 하기 위해서 니들밸브와 스텝모터를 결합하여 스텝모터의 구동에 의해 니들밸브의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LabVIEW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스텝모터를 컨트롤 하였다. 또한 기체산소($GO_2$)와 고체연료(Polyethylene)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로켓의 연소실험을 통해 산화제 유량 제어를 통한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MR댐퍼를 적용한 항공기 착륙장치의 하이브리드 제어기법 연구 (Hybrid Control of Aircraft Landing Gear using Magnetorheological Damper)

  • 탁준모;루엥 비엣;황재혁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하중제어기법을 보완한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하이브리드 제어기법은 기존 하중제어기법에서 발생하는 채터링 현상을 제거하고, 높은 충격흡수효율을 얻을 수 있는 제어기법이다. 제어기 설계를 위해 MR댐퍼가 적용된 착륙장치를 구성하고, 착륙장치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였다. 다물체 동역학 해석 소프트웨어인 RecurDyn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한 후 하이브리드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하이브리드 제어기는 스카이 훅 제어기를 기반으로 최대 스트럿 하중과 변위를 줄일 수 있으며, 부가되는 하중제어 기법을 통해 고효율의 제어기법을 구현할 수 있다. 채터링 방지를 위해 효율적인 제어기법 스위칭과 입력설계(Input Shaping) 기법을 적용하여 낙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고, 각각의 결과를 비교하여 착륙 특성에 대해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풍력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구현을 위한 디지털 피지 제어기 재발 (Development of the Digital Fuzzy Controller for a Hybrid Power System Using Wind and Solar Energy)

  • 성화창;주영훈;박진배;김도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퍼지및지능시스템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6권 제1호
    • /
    • pp.99-10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서브 발전 시스템 (풍력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개발한다. 풍력과 광전자 발전기에서 V-I 특성은 비선형 관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비선형 시스템 제어에 많은 장점을 가진 퍼지 모델 기반 제어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어 시스템 구현하기 위해서 본 과제에서는 디지털 재설계 기법을 통해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추종과 배터리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세 가지 모드 상태에서 제어 목적이 변화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 PDF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특허 출원인 동향 분석 (Patent Assignees Trend Analysis of Hybrid Vehicle)

  • 권영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5-336
    • /
    • 2011
  • 하이브리드 자동차 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현대자동차가 575건으로 가장 많은 등록특허를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본의 TOYOTA MOTOR가 565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출원인별 IPC 분포를 통해 연구개발 역점분야를 살펴보면, 주요 상위 출원인은 하이브리드 관련 배치(B60K), 하이브리드 관련 제어(B60W), 전기장치(B60L)에 집중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었다. TOYOTA MOTOR와 NISSAN MOTOR는 하이브리드 관련 제어(B60W), HONDA MOTOR는 하이브리드 관련 배치(B60K) 및 전동기(H02P)관련 연구에 역점을 두고 있었다.

  • PDF